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차이가 만드는 기적 융합연구 방법론

차이가 만드는 기적 융합연구 방법론

(제2판)

노영희, 김광환, 김병만, 김지연, 김지은, 박아르마, 반영운, 송인한, 유정원, 이은석, 이은정, 이현진, 전상완 (지은이)
청람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50원
24,250원 >
25,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50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차이가 만드는 기적 융합연구 방법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차이가 만드는 기적 융합연구 방법론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59729531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3-03-25

책 소개

융합연구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전략적 접근방법, 실제 사례를 다루는 책이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학제적 관점에서 융합연구를 다룬 사례도 담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협력과 상생을 위한 소통의 방법을 익히게 하는 유용한 지식을 제공한다.

목차

PART 1 융합 및 융합연구자의 개념
Chapter 01 융합연구와 학제간 융합연구의 이해
1. 융합연구란 무엇인가?
2. 학제간 융합연구의 필요성과 가능성
✱생각하고 나눠 보기
Chapter 02 융합연구의 노하우 및 고려사항
1. 필자가 융합연구를 하게 된 배경
2. 융합연구의 노하우
3. 융합연구 진행과 운영, 지원에서의 개선사항
✱생각하고 나눠 보기
Chapter 03 융합연구자의 이해
1. 연구자와 융합연구자
2. 융합연구자의 역할과 자세
3. 성공하는 융합연구자와 실패하는 융합연구자
4. 융합연구자의 실천 프로토콜
5. 융합연구자의 현재와 미래(관심사)
✱생각하고 나눠 보기

PART 2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
Chapter 04 융합연구의 종류
1. 인문사회와 공학의 융합연구
2. 인문사회와 자연과학의 융합연구
3. 자연과학과 공학의 융합연구
4. 기타 융합연구
✱생각하고 나눠 보기
Chapter 05 인문학기반 융합연구방법
1. 인문사회과학과 연계한 공학의 궁극적 목적
2. 인문사회과학과 연계한 융합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컨설팅과 코칭
✱생각하고 나눠 보기

PART 3 융합연구정책
Chapter 06 융합연구정책
1. 국내외 융합연구정책
2. 융합연구정책 방향
3. 융합연구 활성화제도 개선 방향
✱생각하고 나눠 보기

PART 4 융합연구 실제
Chapter 07 융합연구 계획단계의 실제
1. 융합연구 준비단계
2. 융합연구 과제 도출
3. 융합연구 연구자 간 협력체계 구성
✱생각하고 나눠 보기
Chapter 08 융합연구 진행단계의 실제
1. 융합연구방법론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2. 융합연구를 위한 자료는 어떻게 수집되는가?
✱생각하고 나눠 보기
Chapter 09 융합연구 결과도출 및 완료단계의 실제
1. 융합연구의 결과분석 및 해석방법은 무엇인가?
2. 융합연구의 결과 발표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 융합연구자들이 말하는 융합연구 개선점
✱생각하고 나눠 보기
Chapter 10 융합연구 실제 - 웰다잉 융합연구
1. 웰다잉(well-dying) 융합연구의 출발점
2. 웰다잉 융합연구팀의 구성과 협력
3. 융합연구의 성과 확산을 위한 외부협력과정
4. DACUM기법을 활용한 연구결과
5. 새로운 융합연구를 위하여: 웰다잉에서 웰에이징으로
✱생각하고 나눠 보기

PART 5 융합연구 평가와 초학제성의 미래
Chapter 11 융합연구평가
1. 융합연구평가
2. 융합연구평가의 실제 사례
3. 융합연구평가를 위한 제언
✱생각하고 나눠 보기
Chapter 12 초학제성의 미래
1. 초학제적 융합연구의 시대적 역할과 필요성
2. 초학제적 융합연구의 과제와 미래
3. 융합연구를 위한 지식의 여행자
✱생각하고 나눠 보기

저자소개

박아르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불문학과에서 미셸 투르니에 연구로 불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양대학교에 재직하면서 글쓰기와 문학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글쓰기란 무엇인가>(여름언덕)가 있고, 논문으로 “An Analysis of Death Education-related work duty on medical care providers using the dacum method”(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와 번역한 책으로 루소 <인간불평등 기원론>(세창)과 루소 <고백>(책세상) 등이 있다. 현재 건양대학교 웰다잉 융합연구소의 공동연구원으로 웰에이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반영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이며 한국산업생태학회 회장이다. 연세대학교에서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환경정의를 주제로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충북 EIP(생태산업단지) 사업단장, 한국도시행정학회 및 한국지역학회 학회지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지속가능발전의 바탕 위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합을 통해 특정 연구목적에 다각도로 접근, 분석하고자 하는 융합연구에 관심이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지속가능한 도시계획 및 도시재생, 스마트 도시 공간 정보분석, 환경정의, 생태산업개발 등이 있다. 2016년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하는 2016 학제간 인문사회 융복합연구지원사업 새싹연구에 ‘지속가능한 도시 메타볼리즘을 활용한 도시의 안전성 평가모델 개발 및 적용’을 주제로 선정되었다. 이외에도 근린 재생형 도시재생사업 운영매뉴얼(2016), LID기반 도시계획 평가 및 수립지원 체계 개발(2016), 지속가능한 환경도시 계획을 위한 Space Syntax분석 확장모델 개발(2014)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합연구를 실천해 나가고 있다.
펼치기
송인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교수(정신보건·보건의료복지·지속가능발전 전공), 학생복지처장, 반기문국제협력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며 미래융합연구원 융합아카데미 소장을 맡고 있다.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자이자 인류학자인 Sarah Gehlert와 생물심리학자인 Martha McClintock 교수의 지도하에 여성의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시카고대 학제간 건강불평등연구소(CIHIDR) 연구원 및 연계교수, 삼성종합기술원 미래기술연구회 멤버이자 “기술사회와 인간의 미래” 워킹그룹 리더로 융합연구 활동을 했으며, 건강과 정신건강, 자살,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비롯해 학제간 융합적 접근이 필요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저역서로 <융합연구방법론>(2015, 박영사) 등이 있고 중앙일보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이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영상예술학 분야, 미디어아트 전공 교수이다. 미술대학 서양화과에서 페인팅과 비디오 설치 등을 공부한 후, 인문학과 공학이 연결된 디지털 미디어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디어아트 작가 및 현대미술과 미디어 예술/디자인 연구자로 활동 중이며, 2017년부터 동양철학과 미디어아트, 컴퓨터공학 분야가 함께하는 학제간 융합연구, ‘성학십도VR’ (http://www.visionguider.com) 프로젝트를 연구책임자로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현진의 다른 책 >
김광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에서 환자이탈군 특성요인과 이탈환자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로 보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양대학교 병원경영학과에 재직하면서 의무기록 강의를 하고 있다. 대한보건정보관리학회 학회장을 맡았고, 현재 한국연구재단 융합연구총괄센터 융합연구학회 부회장으로 재임하고 있으며,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융합학회 의과학분과 논문지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지혜로운 삶을 위한 웰다잉>(구름서재), <내 인생 저만치에 죽음이>(북랩) 등 웰다잉 관련 도서 4편을 공동저자로서 저술하였다. 논문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Deceased at Convalescent Hospitals”(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등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현재 건양대학교 웰다잉 융합연구회의 책임연구원으로 죽음교육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병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경남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부산대학교에서 ‘유아교육정책 평가준거 개발’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유아교육 정책 및 평가,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행복교육, 창의.인성교육 등이며, SCI급 등재 10여 편, KCI 등재 50여 편의 논문 실적과 <아동권리와 복지>(정민사), <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공동체),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학지사) 등을 포함한 다수의 저서가 있다.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학제간 융합 새싹형 연구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한 영상기반 창의.인성 증진 교육 콘텐츠 개발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인문학, 교육학, 공학, 디자인학 등의 전공영역 전문가들과 융합하고 협업하여 창의.인성 교육콘텐츠,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 창의.인성 검사도구 개발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노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융합연구총괄센터장으로서 2017년부터 현재까지 활동하면서, 융합연구학회를 창설하고(융합연구 초대학회장 역임), JTS(The Journal of Transdisciplinary Studies) 학회지를 창간하여 한국연구재단등재지화에 기여하였다. 한국 융합연구의 발전을 위해 융합연구의 발전전략, 융합연구 학술분류체계의 제안, 융합인재 양성 교육과정제안 등 융합연구 및 융합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다양한 각도에서 진행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2004년부터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에 재직 중이며,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3권을 포함하여 50여 권의 책을 출판하였으며, 300여 편 이상의 SSCI급 및 KCI급 논문을 등재하였다. 현재, 한국문헌정보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산학협력정책학회 학회장, 지식콘텐츠연구소 소장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이은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학과를 졸업하고(1993)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이종영 교수의 지도로 스포츠사회학 분야로 체육학 석사(1997)와 이학 박사(2003)를 받았다. 현재 가천대학교 운동재활복지학 정교수로서 주로 운동재활철학과 운동재활심리학, 운동재활연구방법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운동재활과 건강을 중심으로 병원환자와 노인 그리고 장애인대상 IT, VR, AI, 생체신호, 서비스디자인기술을 융합한 연구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다수의 국책사업과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주요 활동학회로는 한국운동재활학회 학술연구위원장 및 부회장과 한국스포츠사회학회 부회장 그리고 한국융합연구회 총무이사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김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가천대학교 운동재활학과 교수이며, 운동생리학, 스포츠영양학, 운동재활 분야를 전공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새싹형, 씨앗형 연구의 전임연구인력으로 연구에 참여하고 일반공동연구 융복합과제의 과제책임자 등 오랜 기간 동안 인문사회기반 건강관리와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한 학제간 융합연구에 대한 다년간의 연구경험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경도인지장애 위험 노인의 당독소 저감화연구(한국연구재단 이공과학학제간연구), 시니어건강관리[Re:]솔루션을 주제로(인문사회연구소지원과제 미래공유형) 건강실천을 위한 실증적 융합연구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https://www.instagram.com/ex_column/
펼치기
김지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교수(보건의료 및 정신건강사회복지)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송인한 교수의 지도로 자살생존자의 정신건강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객원교수로 보건의료영역에서 학제간 교육, 여성에 관한 폭력 등을 연구하였다. 연세대학교 미래융합연구원 연구원 및 사회복지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융합연구평가, 자살예방정책, 성폭력, 유데모니아 등 실천현장기반 융합연구에 다수 참여하였으며, 정신건강 및 건강영역에서 융합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유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숙명여대 및 숭실사이버대학교 외래강사로 출강하고 있으며, 근로자 그리고 아동 및 가족의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고용의 질과 근로자의 건강 수준 간의 관계에 대한 비교연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연세사회복지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융합연구평가, 자살예방정책 평가, 소아청소년 암 생존자 및 가족의 삶의 질 관련 연구 등에 참여하였다.
펼치기
이은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및 사회복지대학원과 숭실사이버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송인한 교수의 지도로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우울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자살실태조사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융합연구평가, 자살예방정책, 국제의료사업 발전방안, 시청각중복장애인 지원계획 수립 등 다수의 연구에 참여하였다.
펼치기
전상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대학교에서 한국 예비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결정요인 탐색과 성공적 노화행동에 관한 연구로 체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천대학교 운동재활학과 연구교수 및 운동재활융합연구소 부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스포츠사회학을 기반으로 사회적 취약계층 및 건강소외자들을 위한 건강, 운동재활, 윤리 등의 주제로 융합연구를 수행하면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활동학회로는 융합연구학회 총무이사로 재임하고 있으며, 한국스포츠사회학회, 한국체육정책학회, 한국스포츠학회 등에서 이사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노인의 건강관리>, <시니어 운동재활>, <시니어복지론> 등 운동재활 관련 도서 3편을 공동저자로서 저술하였다. 논문으로 SCI급 논문 등재 13편, KCI 등재 65여 편의 논문이 있다. 현재는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고 있는 일반공동연구자지원사업(융복합)에서 스포츠 인권 및 윤리에 대한 가상현실기반의 교육콘텐츠 개발 연구를 스포츠사회학, 스포츠철학, 문학, 공학 등의 전공영역 전문가들과 융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