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언약신학, 쟁점으로 읽는다

언약신학, 쟁점으로 읽는다

(개정3판)

안상혁 (지은이)
영음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언약신학, 쟁점으로 읽는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언약신학, 쟁점으로 읽는다 (개정3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73041848
· 쪽수 : 510쪽
· 출판일 : 2024-03-11

책 소개

“언약”은 하나님의 심오한 사랑을 깨닫게 해주는 키워드인 동시에 신구약 성경 전체를 가장 풍성하게 보여주는 키워드이며, 더 나아가 교회와 사회의 본질과 현실을 이해하게 해주는 키워드이기도 하다. 안상혁 교수의 역작인 이 책은 이러한 언약의 달콤함과 심오함과 방대함과 난해함을 예리한 학자의 붓끝으로 기술한다.

목차

추천사 09
머리말 14
재판에 부쳐 19
개정3판에 부쳐 20

제1장 서론:
언약신학의 쟁점들 31
1. 역사[신학]적 접근: 현대의 논의들
1) 밀러 테제와 “칼뱅주의자들에게 대항하는 칼뱅” 테제 32
2) “두 전통” 테제 36
3) 자연법과 사회계약론 38
4) 사회 통제에서 막스 베버의 테제까지 41
2. 신학적 접근: 주요 쟁점들
1) 타락 전 [행위] 언약 46
2) 은혜 언약 60
3) 구속 언약 73

제2장
타락 전 언약(행위 언약)의 주제들 95
1. 들어가며: 열두 가지 논제 95
2. 타락 전 언약에 대한 논의: 사무엘 루더포드를 중심으로 98
1) 과연 아담과 맺은 언약이 존재하는가? 98
2) 아담과 맺은 언약의 명칭들 100
3) 율법과 언약: 타락 전 아담의 두 상태 103
4) 아담에게 선악수의 열매를 금지하는 명령을 주신 목적 104
5) 타락 전 언약은 결여된 것을 보충하는 것이 아니라 107
이미 주어진 것을 확증하는 것이다
6) 행위 언약 안에서 약속된 생명 108
7) 죽음의 위협 113
8) 에덴동산의 두 나무가 가지는 중요성 118
9) 은혜 및 공로에 관한 문제들 119
10) 타락 전 언약과 시내산 언약의 관계 122
11) 과연 아담과 맺은 언약은 폐기되었는가? 123
3. 맺는말 125

제3장
레위기 18:5에 대한 교회사적 고찰 128
1. 들어가며 128
2. 어떤 종류의 생명인가? 132
3. 율법과 복음 135
4. 레위기 18장 5절과 그리스도 138
1) 크리소스토모스(c.349-407) 138
2) 우르시누스(1534-1583) 139
3) 칼뱅(1509-1564) 141
4) 투레티누스(1623-1687) 143
5) 루더포드(1600-1661) 147
5. 맺는말 151

제2부 은혜 언약: 통일성과 다양성

제4장
윌리엄 퍼킨스의 언약신학 157
1. 들어가며 157
2. 리처드 그린햄(c.1535-c.1594): 예정, 불안, 확신 160
1) 목회 상담의 주제로서의 구원의 확신과 불안 160
2) 예정론과 선택의 표지들 162
3) 가장 확실한 근거: 말씀과 그리스도 165
3. 윌리엄 퍼킨스(1558-1602)의 언약신학 169
1) 언약신학: 과연 예정론에 대한 대안인가? 171
2) 선택, 언약, 구원의 확신 175
3) 그리스도와의 연합: 확신의 궁극적 토대 185
4. 맺는말 188

제5장
윌리엄 에임스의 언약신학 193
1. 들어가며 193
2. 에임스의 『신학의 정수』와 언약신학 196
1) 『신학의 정수』의 언약적 구조 197
2) 구속 언약 199
3) 타락 전 언약 205
4) 은혜 언약 212
5) 교회 언약 220
3. 맺는말 224

제6장
존 프레스톤의 언약신학 228
1. 들어가며 228
2. 역사적 정황 232
1) 정치-사회적 정황 232
2) 신학적 정황 235
3. 프레스톤의 언약신학과 적용 241
1) 두 개의 언약: 정의와 범위 242
2) 언약의 실천적 함의 247
3) 언약과 구원의 확신 254
4. 맺는말 258

제7장
사무엘 루더포드와 토머스 후커의 언약신학 263
1. 들어가며 263
2. 사무엘 루더포드의 언약신학 266
1) 사무엘 루더포드의 언약신학과 역사적 정황 266
2) 사무엘 루더포드와 행위 언약 269
3) 사무엘 루더포드와 은혜 언약 272
4) 사무엘 루더포드와 구속 언약 276
5) 루더포드의 언약신학이 가진 교회론적 함의 281
3. 토머스 후커의 언약신학 284
1) 토머스 후커와 행위 언약: 아담의 특수성 285
2) 토머스 후커와 은혜 언약 288
3) 토머스 후커와 구속 언약 298
4) 토머스 후커의 언약신학이 가진 교회론적 함의 299
4. 맺는말 305

제8장
프란키스쿠스 투레티누스와 토머스 보스턴의 언약신학 311
1. 들어가며 311
2. 토머스 보스턴의 역사적 정황 315
1) 토머스 보스턴과 그의 사회-정치적 정황 316
2) 보스턴과 신학적 정황: 매로우 논쟁 1717-1723 320
3. 토머스 보스턴과 시내산 언약 324
1) 자연법과 모세 언약 326
2) 모세 언약과 그리스도의 법 328
3)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복음적 순종 330
4. 프란키스쿠스 투레티누스와 시내산 언약 333
1) 투레티누스의 신학적 정황 333
2) 시내산 언약에 계시된 율법과 복음 335
5. 토머스 보스턴: 시내산 언약의 목회적 적용 345
6. 맺는말 348

제3부 언약신학과 실천

제9장
구속 언약과 죄 죽임 교리
355
1. 들어가며 355
2. 루더포드의 “죄 죽임” 교리 358
1) 죄 죽임이란 무엇인가? 358
2) 그리스도의 죽음과 신자의 죄 죽임 361
3) 신자는 무엇에 대해 죽어야 하는가? 362
4) 죄 죽임의 행동 양식 367
3. 그리스도와의 연합: 죄 죽임과 구속 언약의 연결고리 370
1) 법적인 연합의 기초로서 보증인(구속) 언약 371
2) 죄 죽임의 도덕적 근거로서의 구속 언약 374
4. 맺는말 379

제10장
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의 교회 언약
382
1. 들어가며 382
2. 뉴잉글랜드 비분리파 회중교회의 공예배 순서 385
1) 실례: 보스턴 교회의 공예배 385
2) 보스턴 교회 공예배의 특징 388
3. 예배 신학으로서의 교회 언약 395
1) 교회 언약과 설교 400
2) 교회 언약과 기도 406
3) 교회 언약과 성만찬 408
4) 새 언약 시대의 회중 예배 410
4. 맺는말 412

제11장
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의 교회 언약과 절반 언약
417
1. 들어가며 417
2. 교회 언약, 과연 내면 언약인가? 421
1) 명시적/묵시적 교회 언약 425
2) “보이는 성도”의 성격 428
3) 교회 언약과 성례 431
3. 절반 언약 논쟁을 통해 드러난 교회 언약의 성격 434
4. 맺는말 438

제12장
정교 분리의 관점에서 조명한 루더포드-후커의
17세기 교회론(교회 정부) 논쟁
442
1. 들어가며 442
2. 토머스 후커의 정치사상 445
3. 사무엘 루더포드의 정치사상 449
4. 후커-루더포드의 교회론 논쟁과 정교분리 453
1) 역사적 배경과 주요 쟁점 454
2) 후커-루더포드의 치리권 논쟁 456
3) 루더포드와 후커의 교회 정부론과 정교분리 465
5. 맺는말 475

참고문헌 481
인명색인 515
주제색인 523

저자소개

안상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사학(B.A.)을 공부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서양사(M.A.)를 전공하였다. 이러한 인문학적 토대를 쌓은 다음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M.Div.)에서 신학 수업을 시작하여, 미국 예일대학교 신학부(S.T.M.)와 칼빈신학대학원에서 역사신학(Ph.D.)을 전공하였다. 유학에서 돌아온 뒤 모교인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현재 교회사를 가르치고 있다. 연구 관심사는 16, 17세기를 구성하는 역사신학 분야이다. 즉 종교개혁과 개혁파 정통신학과 청교도 신학을 관통하여 흐르는 성경 주해의 전통이 무엇인지 탐구하여 신학적으로 한국교회를 섬기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현재 화평교회 협동목사로 섬기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