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3166787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0-10-22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저자 서문 6
감사의 글 12
서장 일본에서 파트타임 노동이란 17
1. 불가사의한 현상 18
2. 분석 시각 20
3. 선행연구 36
4. 연구대상과 자료 42
5. 책의 구성과 특징 49
제1장 슈퍼마켓 산업과 파트타임 노동 55
1. 슈퍼마켓 산업의 성장과 주부 파트타이머 56
2. 사례점포 소개 68
3. 주부 파트타이머의 양적 기간노동력화 72
4.주부 파트타이머의 질적 기간노동력화 88
5. 주부 파트타이머의 기간노동력화와 여성정사원 110
6. 기간노동력화와 젠더 139
제2장 기업: 제한적 내부화와 구별 짓기 147
1. 기업의 과제: 두 마리 토끼 쫓기 149
2. 선별적 내부화: 파트타이머 고용구분 152
3. 의사 내부화 1: 파트타이머의 교육 훈련 및 평가 165
4. 의사 내부화 2: 임금 제도 188
5. 구별 짓기: 가정우선성 인정 211
6. 주부 파트타이머 활용 모델 218
7. 기간노동력화와 주부협정의 충돌 230
제3장 노동조합: 배제와 포섭 237
1. 노동조합의 과제 - 3개의 위기 극복 239
2. 사례 노동조합의 파트타이머 조직 현황 247
3. 파트타이머 조직화 전략과 결정 요인 265
4. 2000년대의 파트타이머 조직화 전략 변화 283
5. 조직화와 기간노동력화의 상관관계 294
제4장 주부 파트타이머: 수용과 저항 301
1. 생애 경험과 취업경험 302
2. 주부 파트타이머의 프리즘 320
3. 수용: 현실 끌어안기 347
4. 저항: 자율적 공간 열기 366
5. 비공식 권력의 확대와 공식권력의 균열 383
제5장 주부협정의 개정과 제한적 내부화의 확장 389
1. 개정 인사제도의 내용과 목적 391
2. 개정인사제도의 사원구분별 처우 격차 398
3. <노동 방식의 젠더화>와 <신분으로서의 젠더> 402
4. 더불어 사는 사회를 위한 젠더 평등 407
부도와 부표 413
참고문헌 425
설문지 435
색인 455
저자소개
책속에서
<저자 서문>
필자가 기혼여성의 파트타임 노동에 주목한 것은 성별분업에 관한 그 사회의 제도와 규범, 즉 젠더 시스템을 응축해서 보여주는 영역이기 때문이었다. (6쪽)
다른 사회에 대한 연구의 궁극적 역할은 자기 사회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심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필자 자신도 일본의 노동현장을 연구하면서 한국 사회와 노동현장에 관해 새롭게 알게 되거나 더 깊이 이해하게 된 여러 지점들이 있다. 제한적 자료로 대형마트에 관한 한일비교연구를 할 수 있었던 것도 일본의 노동현장에 대해 장기간 연구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필자의 일본연구가 한국의 노동시장과 젠더 시스템에 관한 더 깊은 설명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으면 좋겠다. (11쪽)
<서장>
일본에서 파트타임 노동이란 노동시간의 길이가 아니라 기업의 호칭이 처우를 결정하는, 기혼여성의 비정규 노동을 의미한다. 즉, 일본의 파트타임 노동은 성별과 혼인상태에 기초한 <신분적 노동>이다. 따라서 젠더 분석 없이 파트타임 노동을 연구한다면 핵심을 포착하기 어렵다. (51쪽)
<1장>
파트타이머의 기간노동력화는 파트타이머에 의한 정사원 대체로 이어진다. 정사원 중에서도 주부 파트타이머에 의해 먼저 대체되는 것은 남성 정사원보다 여성 정사원이다. (111쪽)
(육아휴직 끝나고 복귀할 때쯤 불안하지 않았어요?) 불안했어요. 휴가기간이 끝나가는데도 회사에서는 아무런 연락도 없고 내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 고민했어요. 좀 지난 이야기지만, 육아휴직 급부금이 나오잖아요? 그게 너무 늦어서.... 휴직 들어갈 때 서류를 전부 갖추어 제출하지 않았다는, 결과적으로는 그런 거였지만. 그 때 인사치프(주임-필자)에게 “이거면 되나요”고 물으면 잘 모르는 것 같았고, 지금도 그렇지만, 단축근무에 관해서 “그런 근무방식이 있구나”라고 윗사람들이 모두 그렇게 말하는 정도였으니까요. (萩原 하기와라, G2점, A사원, 대졸, 32세, 근속 10년, 영업기획, 담당자) (127-8쪽)
파트타이머의 기간노동력화에 영향력이 가장 큰 요인은 기업의 파트타이머 활용 정책이지만, 기업의 정책은 지역노동시장 및 노동과정의 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런데 지역 노동시장이라는 요인은 젠더 요인과 동의어이다. 대부분의 파트타이머가 가족 책임에 묶여있는 주부 노동자이며, 지역의 산업구조와 임금노동자의 비율이 주부 노동력의 공급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139쪽)
중요한 점은 정사원과 거의 같은 노동시간에 거의 같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주부 노동자의 수가 정사원 수보다 더 많다는 점이다. 주부 노동자의 기간노동력화의 현실은 파트타이머는 주된 생계부양자가 있는 피부양자이기 때문에 그녀들은 정사원과 같은 수준의 생활임금을 보장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파트타임 노동에 관한 통념이 현실과 다른 것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14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