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3168217
· 쪽수 : 743쪽
· 출판일 : 2025-02-28
목차
제Ⅰ편 행정학 총론
제1장 행정의 의의 및 행정국가 / 3
제1절 행정의 의의 / 3
1. 행정의 개념 / 3
2. 행정과 경영 / 5
제2절 행정국가 / 14
1. 행정국가의 전개 / 14
2. 정부팽창을 설명하는 이론적 관점들 / 16
3. 행정국가의 특징 / 26
4. 행정국가의 재평가: 신행정국가 / 28
제2장 행정의 환경적 맥락 / 32
제1절 행정의 정치적 맥락 / 32
1. 이론적 관점에서의 정치와 행정의 관계 / 32
2. 현실적 관점에서의 정치와 행정의 관계 / 37
제2절 행정의 경제적 맥락 / 40
1. 시장실패 / 40
2. 정부규제 / 58
3. 정부실패 / 64
제3절 행정의 사회적 맥락 / 71
1. 시민사회의 등장과 특징 / 71
2. 시민사회조직으로서 비정부조직 / 71
제3장 행정이론의 역사적 맥락 / 78
제1절 전통적 행정이론 / 78
1. 고전파 행정학 / 78
2. 행정행태론 / 80
3. 비교행정론 / 81
4. 발전행정론 / 82
5. 신행정론 / 83
제2절 신공공관리론 / 85
1. 의의 / 85
2. 대두배경 / 86
3. 신공공관리론의 주요 내용 / 91
4. 신공공관리론의 한계 / 105
5. 탈신공공관리론 / 114
제3절 신공공서비스론 / 116
1. 신공공서비스론의 의의 및 대두배경 / 116
2. 신공공서비스론의 주요 내용 / 118
3. 신공공서비스론의 한계 / 121
제4절 거버넌스 / 123
1. 거버넌스의 의의 / 123
2. 거버넌스의 다양한 양태 / 129
3. 뉴 거버넌스 / 131
4. 공공가치 거버넌스 / 134
5. 거버넌스의 한계 / 135
6. 거버넌스의 제도론적 함의 / 141
제5절 사회적 자본 / 144
1. 사회적 자본의 의의 / 144
2. 사회적 자본의 특징 / 145
3. 집합적 행위의 딜레마와 사회적 자본 / 146
4. 사회적 자본의 함의 / 149
5. 사회적 자본의 순기능과 역기능 / 150
6.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기 위한 방안: 신뢰할 수 있는 약속 제시 / 151
제6절 포스트모더니즘 행정이론 / 153
1.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 및 지적 특징 / 153
2. 포스트모더니즘 행정이론 / 153
3. 평가 / 156
제4장 행정학의 접근방법 / 157
제1절 전통적 접근방법 / 157
1. 역사적 접근방법 / 157
2. 법률적ㆍ제도론적 접근방법 / 158
3. 생태론적 접근방법 / 158
4. 체제적 접근방법 / 159
제2절 행태주의적 접근방법 / 164
1. 의의 / 164
2. 주요 내용 / 164
3. 평가 / 169
4. 후기행태주의 / 172
제3절 신제도주의적 접근방법 / 173
1. 의의 / 173
2. 하위분파 / 176
3. 평가 / 217
제4절 공공선택론적 접근방법 / 222
1. 의의 / 222
2. 기본가정 / 222
3. 평가 / 228
제5장 행정의 가치 / 232
제1절 본질적 행정가치 / 232
1. 공익 / 233
2. 정의 / 238
3. 형평성 / 242
제2절 수단적 행정가치 / 246
1. 합법성 / 246
2. 합리성 / 247
3. 효과성 / 249
4. 능률성 / 251
5. 민주성 / 260
6. 투명성 / 261
제Ⅱ편 행정학 각론
제6장 조직론 / 265
제1절 조직의 개관 / 265
1. 조직의 의의 / 265
2. 조직의 유형 / 270
3. 조직의 목표 / 278
제2절 조직이론의 역사적 맥락 / 283
1. 고전적 조직이론 / 283
2. 신고전적 조직이론 / 288
3. 현대조직이론 / 292
4. 조직이론 간 비교 / 303
제3절 조직구조론 / 305
1. 조직구조의 변수 / 305
2. 관료제 / 312
3. 관료제에 대한 대안적 조직 / 322
4. 공기업 / 336
5. 책임운영기관 / 350
6. 준정부조직 / 355
7. 사회적 기업 / 356
제4절 조직과 개인의 관계(동기부여 이론) / 359
1. 내용이론 / 360
2. 과정이론 / 366
제5절 조직관리론 / 369
1. 리더십 / 369
2. 갈등관리 / 388
3. 성과관리 / 396
제7장 인사행정론 / 408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 / 408
1. 인사행정의 의의 / 408
2. 인사행정의 중요성 / 408
3. 인사행정과 인사관리의 비교 / 409
제2절 인사제도 / 411
1. 엽관주의 / 412
2. 실적주의 / 415
3. 직업공무원제 / 421
4. 대표관료제 / 425
제3절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 432
1. 인사행정의 관계 법규 / 432
2. 중앙인사기관 / 433
제4절 공직의 분류 / 434
1. 공직분류의 방식 / 434
2. 한국의 공직분류 체계 / 444
3. 고위공무원단 / 447
제5절 채용 / 453
1. 모집 / 453
2. 시험 / 453
3. 임용 / 454
4. 개방형직위제도 / 457
제6절 능력발전 / 460
1. 교육훈련 / 460
2. 근무성적평정 / 464
3. 승진 / 479
4. 배치전환 / 483
제7절 사기관리 / 486
1. 사기의 의의 / 486
2. 사기의 측정 방법 / 486
3. 사기의 앙양 방안 / 487
4. 보수제도 / 490
5. 성과급제도 / 501
6. 연금제도 / 509
7. 공무원단체 / 513
제8절 공무원의 근무규율 / 516
1. 공무원의 충성 / 516
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517
3. 공무원의 신분보장과 제약 / 521
제9절 공무원의 윤리 / 526
1. 행정윤리의 의의 / 526
2. 행정윤리의 철학적 기초 / 527
3. 공무원의 부패 / 530
제8장 재무행정론 / 532
제1절 재무행정의 기초이론 / 532
1. 정부재정을 설명하는 이론적 관점들 / 532
2. 정부 재정의 기능 / 542
3. 재무행정의 의의 및 접근방법 / 544
제2절 예산의 개관 / 548
1. 예산의 의의 / 548
2. 예산과 법률 / 551
3. 예산의 종류 / 552
4. 예산의 분류 / 559
5. 예산의 원칙 / 561
6. 중앙예산기관 / 564
제3절 예산과정 / 565
1. 예산과정의 개관 / 565
2. 예산편성 / 569
3. 예산심의 / 581
4. 예산집행 / 589
5. 결산 및 회계검사 / 599
제4절 예산이론 / 607
1. 예산결정의 경제논리와 정치논리 / 607
2. 총체주의 예산이론 / 610
3. 점증주의 예산이론 / 614
4. 최근의 예산이론 / 622
제5절 예산개혁 / 624
1. 전통적 예산개혁 / 624
2. 신공공관리론에 입각한 최근의 예산개혁 / 641
제6절 재정관리 / 654
1. 정부회계 / 654
2. 정부조달 / 661
3. 정부계약 / 664
4. 임대형 민자 사업(BTL) 제도 / 667
제7절 재정적자 / 670
1. 현실정치와 재정적자 / 670
2. 국(공)채 발행을 둘러싼 논쟁 / 673
3. 재정적자의 경제적 효과 / 675
제9장 행정환류론 / 679
제1절 행정통제 / 679
1. 행정책임 / 679
2. 행정통제의 유형 / 684
제2절 행정개혁 / 687
1. 행정개혁의 의의 / 687
2.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 689
3. 행정개혁의 과정 / 691
4. 행정개혁의 저항과 극복방안 / 694
5. 향후 행정개혁을 위한 정책 제언 / 699
참고문헌 / 706
색인 / 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