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전체주의/국가주의
· ISBN : 9788973273911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06-09-20
책 소개
목차
제1편 동북아 근대와 내셔널리즘
제1장 한국민족주의의 전체상: 사상사적 갈등구조를 중심으로 / 김영작
1. 머 리 말
2. 한말 내셔널리즘의 사상적 갈등구조― 체제관에서 ‘봉건 대 반봉건’과 가치관에서 ‘전통 대 근대’의 갈등
3. 일제 치하의 반식민?저항민족주의(내셔널리즘)의 사상사적 갈등구조― 독립운동의 노선 및 민족국가 건설론(체제관)에 나타난 좌?우익 간의 사상적 갈등
4. 해방 후 내셔널리즘의 사상사적 갈등구조― 체제관의 대립 및 체제관(이데올로기) 우선이냐, 민족주의(통일) 우선이냐의 갈등과 내셔널리즘의 공동화
5. 맺 음 말
제2장 중국 민족주의와 중화주의: 모순과 변용의 이중주 / 이진영
1. 서 론
2. 본 론
1) 국가민족주의
2) 개혁개방기 중화주의와 국가민족주의
3. 맺 음 말
제3장 일본의 내셔널리즘: 마루야마 마사오의 내셔널리즘론을 중심으로
/ 飯田泰三
1. 머 리 말
2. 근대 내셔널리즘과 그 변질 형태
1) 네이션과 내셔널리즘의 정의
2) 근대 국민주의의 형성
3) 내셔널리즘의 구성요소와 원형
4) 내셔널리즘의 변용(변질)
3. 유럽형 내셔널리즘과 비유럽 세계의 내셔널리즘
1) 유럽형 내셔널리즘과 아시아형 내셔널리즘
2) ‘제3세계’의 내셔널리즘
3) 동서 ‘냉전체제’ 붕괴 후의 내셔널리즘
4. 일본의 내셔널리즘과 천황제
1) 해방론 및 양이론적 내셔널리즘: 전기적 내셔널리즘
2) 근대 국민주의의 고전적 형성: 후쿠자와 유키치
3) 정한론과 내셔널리즘
4) 자유민권운동과 내셔널리즘
5) 메이지 20년대의 ‘국민주의’와 ‘평민주의’의 경쟁적 공존
6) 천황제국가의 성립 및 청일?러일전쟁 후 내셔널리즘의 변질
7) 다이쇼데모크라시→쇼와파시즘: 초내셔널리즘화
8) 패전→점령[내셔널리즘 부활]→부흥?고도성장[경제 내셔널리즘]
5. 맺 음 말
제2편 한국 내셔널리즘의 유형과 사적 전개
제1부 한말기의 내셔널리즘
제1장 개화파와 내셔널리즘 / 김현철
1. 머 리 말
2. 개화파의 서구 근대문명 수용과 한말 내셔널리즘의 대두
3. 개화파의 대외관과 자주독립의 모색
1) 갑신정변 주도 개화파의 대외관과 자주독립 구상
2) 갑오개혁 참여 개화파의 대외관과 자주독립 구상
3) 독립협회 참여 개화파의 대외관과 자주독립 구상
4. 개화파의 근대국가 건설구상과 국민통합의 추구
1) 갑신정변 주도 개화파의 부국강병 구상과 국민통합의 추구
2) 갑오개혁 참여 개화파의 부국강병 구상과 국민통합의 추구
3) 독립협회 참여 개화파의 부국강병 구상과 국민통합의 추구?
5. 맺 음 말
제2장 동학의 민족주의적 성격 / 오문환
1. 민족, 국가, 민
2. 민족자주의 사상, 운동, 전쟁
1) 자주의 학: 동학
2) 민족자주의 운동: 척왜양
3) 침략주의와의 전쟁: 제2차 동학농민전쟁
3. 민의 민족주의: 민의 사상, 민의 조직, 민의 혁명
1) 민의 사상: 개벽
2) 민의 조직: 접포제
3) 민의 혁명과 자치: 제1차 동학농민혁명과 집강소
4. 한국민족주의의 한 원형
제3장 척사위정사상과 내셔널리즘 / 이재석
1.머리말: 서양세력의 도전과 척사위정사상의 형성
2. 척사위정사상의 기본 사상체계
1) 중화?이적의 계서적 세계관
2) 내수외양책: 문명국가 보전을 위한 정책론
3. 척사위정의 실천운동
1) 척사상소 운동에서 의병운동으로의 이행
2) 해외의 항일투쟁
4. 척사위정사상의 좌절과 한계
1) 척사위정사상의 이데올로기적 힘
2) 도덕주의의 한계
3) 새로운 체제에 대한 비전 결여
제2부 국권상실기의 내셔널리즘
제1장 민족주의 진영의 독립운동 노선과 대중운동 전략 / 김용직
1. 서: 식민지시기 민족주의운동 연구
2. 1920년대 초기 우파민족주의의 민족운동: 물산장려운동 사례
1) 1920년대 초기 우파민족주의와 물산장려운동
2) 춘원의 민족개조론과 ‘합법적 민족운동’으로서의 문화운동론
3) 1920년대 초기 우파 민족주의자들의 독립운동 노선과 체제관
3. 1920년 중기 우파민족주의의 정치운동 노선: 자치운동론 사례
1) 1920년대 중기 민족주의 진영의 대중운동 모색
2) 타협주의와 ‘친일’논쟁
3) 국내운동과 해외운동의 연계?218
4. 1920년대 후기 좌파 민족주의자들의 민족운동: 신간회운동 사례
5. 결: 식민지 하 민족주의 대중운동: 전략과 한계
제2장 사회주의운동에 나타난 계급문제와 민족문제 인식 / 전상숙
1. 머 리 말
2. 저항적 민족의식과 ‘성공한 해방운동’ 사회주의
3. 1920년대 국내 사회주의운동의 실제화와 사회주의 민족해방운동
1) 국내 사회주의운동 실제화의 의미와 민족 문제
2) ‘민족협동전선’ 방침과 사회주의혁명의 계급 인식 심화
4. 1930년대 국내외 사회주의 민족해방운동의 민족.계급문제 인식의 편차
1) 코민테른 ‘12월테제’와 국내 전위당 재건운동의 계급성 강화
2) ‘반파시즘인민전선론’과 국내외 사회주의 민족해방운동의 민족문제 인식의 편차
5. 맺 음 말
제3장 동화주의의 협력운동과 국가관.민족관 / 김동명
1. 서 론
2. 참정권청원운동
1) ‘신일본주의’ 제창과 국민협회의 창립
2) 참정권청원운동의 전개
3. 내선융화운동
1) 각파유지연맹의 결성
2) 내선융화운동의 전개
4. 척식성조선제외운동
1) 일본정부의 척식성 신설 관제의 제안
2) 척식성조선제외운동의 전개
5. 결 론
제3부 국가형성과 내셔널리즘
제1장 건국과 내셔널리즘: 1940~50년대 / 심지연
1. 머리말
2. 해방과 내셔널리즘의 대두
1) 해방정국과 좌.우의 분열
2) 좌?우의 대립과 내셔널리즘
3. 내셔널리즘의 분화와 분단국가 형성
1) 대내외적 환경
2) 내셔널리즘의 분화
3) 분단국가 형성
4. 내셔널리즘의 충돌과 전쟁 발발
1) 남?북 내셔널리즘의 형성
2) 내셔널리즘의 충돌과 한국전쟁 발발
5. 내셔널리즘의 공고화
1) 남한: 평화통일론 봉쇄
2) 북한: 종파주의 청산
6. 맺 음 말
제2장 박정희 시대와 민족주의의 네 얼굴 / 김일영
1. 국가와 민족의 시대
2. 방어적 근대화 민족주의
3. 통일지향적 민족주의
4. 민족경제지향적 민족주의
5. 반미 민족주의: 시작은 미약하나 끝은 장대하리라
6. 국가와 민족 속에서 실종된 개인을 찾아서
제3장 소련과 북한: 1945-1956 / 下斗米伸夫
1. 소련 참전에서 건국까지
2. 점령 권력과 북한 체제의 형성
3. 북한 건국 후와 소련
4. 조선전쟁의 원인과 과정
5. 한국전쟁 후의 북한정세
6. 스탈린 비판과 북한
7. 8월 종파사건
8. 이상조 대사의 김일성 체제 비판?395
9. 소련공산당? 중국공산당의 개입?397
제4장 북한의 체제이데올로기와 내셔널리즘 / 김영수
1. 서 론
2. 주체사상 이전의 이데올로기
1) 체제이데올로기의 보편성과 특수성
2) 주체사상 이전의 체제이데올로기
3. 체제이데올로기로서의 주체사상: 체계화 과정과 이데올로기적 특성
1) 주체사상의 체계화 과정
2) 주체사상의 이데올로기적 특성
4. 체제이데올로기와 ‘우리민족제일주의’, ‘민족공조’
5. 결론: 체제이데올로기의 변화 전망
제3편 내셔널리즘과 글로벌리즘
제1장 내셔널리즘의 기원과 전개 / 박동천
1. 서 론
2. 민족, 국가, 그리고 내셔널리즘
3. 내셔널리즘의 기원
4. 내셔널리즘의 전개
1) 유럽의 내셔널리즘?
2) 유럽 바깥의 내셔널리즘
5. 맺음말 ― 한국민족주의 담론에 대한 제언
제2장 글로벌리즘과 동아시아 지역질서, 그리고 대한민국 / 정윤재
1. 머 리 말
2. 약화되는 내셔널리즘과 국민국가
1) ‘역사적 존재’로서의 국민국가: E. H. 카아
2) 존립 자체가 도전받는 ‘거대’ 국민국가들: P. 드러커
3. ‘세계국가’에의 비전과 그 가능성
1) ‘국가의 역설’과 세계정부론: 칼 W. 도이치
2) ‘지구국가’의 필요성: S. 탤보트
4. 글로벌리즘과 동아시아 지역질서: 중국과 일본의 움직임
1) 과거 ‘제국’의 복원을 꿈꾸는 중국
2) 동아시아의 ‘맹주’가 되고자 하는 일본
5. 몇 가지 생각들: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적응과 생존을 위하여
제3장 글로벌화에 대한 시점과 글로벌 공공 철학 / 山脇直司
1. 서 론
2. 글로벌화의 여러 국면과 사상적 대립축: 경제, 정치, 문화?종교?
1) 경제의 글로벌화와 사상적 대립의 축
2) 정치의 글로벌화와 사상적 대립의 축
3) 문화?종교의 글로벌화와 사상적 대립의 축
3. 글로컬 공공철학의 이론과 비전
1) 로버트슨의 글로컬라이제이션으론
2) 글로컬 공공철학의 ‘자기(나)-타인(남)-공공세계’론: 응답적·다차원적 네트워크를 위하여
3) 글로컬 공공철학의 학문론과 방법론: 상관사회과학적인 협동을 위하여
제4장 변화하는 세계와 한반도의 선택 / 하영선
1. 뒤늦은 역사의 선택
2. 변화하는 세계: 복합화
1) 21세기 세계정치의 주인공
2) 21세기 세계정치의 무대
3) 21세기 세계의 연기
3. 21세기 한반도의 선택: 매력국가
1) 5중 그물망국가의 건설
2) 지식기반 육각형 복합국가의 건설
3) 한국적 세계화 세대의 양성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