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73277216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1-10-31
책 소개
목차
1부 여성과 민족의 자주성을 위한 이화인의 활동 : 1886-1945
1장 여성들이 만들어낸 배움의 집 - 이화학당의 시작
1. 여성제도교육의 시작 : 이 땅 여성의 삶을 확장하다⋅25
2. 이화학당이 추구한 교육이념 : 자신의 삶을 확장하고 조국과 공동체에 기여하다⋅28
3. 이화학당의 성장과 그것이 갖는 사회 개혁적 의미⋅30
2장. 학생 자치활동과 졸업생의 사회활동
1. 교육의 결과물을 나누는 이화 졸업생의 사회활동⋅35
2. 학생 자치활동과 계몽활동⋅38
3장. 국권 회복을 위한 이화의 독립운동
1. 국권침탈의 시작과 이화의 저항⋅41
2. 3.1 독립만세운동과 이화⋅45
3.1 독립만세운동의 준비|이화 학생들의 독립만세운동|이화 졸업생들의 독립만세운동
3. 3.1 독립만세운동과 근대여성의 탄생⋅54
4장. 1920년대의 학생운동과 이화
1. 1920년대 조선의 교육상황과 활발해진 학생운동⋅57
이화 교육제도의 변화|다양한 학생조직과 활발해진 학생운동
2. 6.10 만세운동과 학생운동의 성장⋅61
3. 이화가 주도한 제2차 서울 여학생 독립만세운동 : 1929-1930년⋅63
5장. 1920, 30년대 민족운동과 민중계몽운동
1. 이화의 양적 성장과 지향을 향한 도전 : 신촌캠퍼스의 이화여전⋅68
2. 1920, 30년대 학생활동의 이분화⋅71
반제국주의, 반봉건주의 타파를 위한 고민과 실천
3. 1940년대 일제의 대대적인 억압과 이화의 고군분투⋅76
2부 1960년대 이화 학생운동
1장. 독립국가와 민주주의 완성을 위한 노력
1. 독립과 분단, 전쟁의 시기⋅81
2. 1950년대 이화의 학생활동⋅84
3. 4.19와 이화의 침묵⋅86
2장. 민족의 자주성을 위하여 - 이화대학의 한일협정 반대 투쟁
1. 한일협정 추진과 학생들의 저항⋅90
2. 이화대학의 한일협정 반대 투쟁⋅92
한일협정 반대 투쟁|한일협정 비준 반대 투쟁
3. 3선개헌 반대와 복장시위 : 1969년⋅102
3장. 1960년대 이화 학생운동
1. 정치적 저항과 함께 산업화의 그늘에 눈을 돌리다⋅105
불균등발전의 그늘|농촌의 변화와 농촌계몽대 활동
2. 진보적 서클의 탄생⋅108
3. 1960년대 이화 학생운동의 특징⋅110
3부 민주주의 억압에 대한 저항과 민중운동의 시대 : 1970년대 이화 학생운동
1장. 민중민주주의로의 확장
1. 노동자와 도시 빈민의 생존권 투쟁⋅115
2. 본격적인 서클 활동의 활성화⋅119
3. 산업화의 그늘과 여성 노동문제에 대한 관심⋅121
2장. 유신체제의 시작과 반독재 민주화운동
1. 강경한 학원탄압과 저항의 구도가 시작되다⋅124
대학에 대한 본격적인 통제와 탄압|학원탄압에 대한 이화인의 저항
2. 반헌법적인 유신체제의 시작⋅133
3. 우유부단과 좌절과 패배주의를 내던진 이화공동체의 시간 : 1973년⋅136
민주주의의 죽음을 상징하는 검은 리본|대규모 시위와 이화공동체의 밤
4. 학생 대중의 참여와 여성 문제 인식을 특징으로 하는 1970년대 초반 이화의 학생운동⋅142
5. 긴급조치시대의 시작과 확산된 유신반대 투쟁⋅145
민청학련을 통한 전면적인 저항|학생 대중과 함께 전개된 이화대학의 유신반대 투쟁 : 1974년|언론과 종교계의 저항
3장. 긴급조치 9호와 저항의 시기
1. 긴급조치 9호와 민주주의의 퇴행⋅154
2. 긴급조치 9호와 이화 학생운동⋅157
모든 학생활동이 정지되다|행동은 대담하게, 말은 겸손하게 : 동아 언론 지원 활동|새벽을 기다리며 : 긴급조치 9호 세대|이화대학 서클의 재활성화
3. 1970년대 후반 노동 현실과 학생운동의 연대⋅166
4. 긴급조치 철폐와 학원 자유를 위한 투쟁 : 1977-1978년⋅169
5. 전면적인 반유신 투쟁과 유신체제의 몰락⋅173
4장. 민주주의와 민중연대를 위한 1970년대 이화 학생운동
1. 1970년대 한국 사회와 학생운동⋅179
2. 1970년대 이화의 학생운동⋅182
민중민주주의로의 확장과 여성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탐구|전통문화에 대한 탐구와 재창조 작업의 확산|농촌활동과 빈민 활동|야학의 활성화와 초보적인 민중연대
4부 학생운동의 성장과 민중연대의 시기 : 1980년대 이화 학생운동
1장. 학생운동의 이념 변화와 새로운 모색
1. 학생활동의 재개와 민주화의 좌절⋅197
학생회부활추진위원회와 학원 자율화를 위한 준비|학생회 부활과 학원 자율화의 시작|5월 이화 민주화 대행진|민주화의 좌절|신군부의 권력 장악과 광주항쟁|1980년 봄에 대한 평가와 새로운 모색
2. 학생운동의 양적 발전과 새로운 모색의 시기⋅219
새로운 전환과 모색의 시기 : 1981년|학내 운동체계의 활성화 : 1982년|학원 자율화 투쟁과 대중화 : 1983년-1984년
2장. 학원 민주화와 학생운동의 질적 전환의 시기
1. 학원 자율화를 위한 투쟁⋅233
정권의 유화책과 복학생들의 자율화 투쟁|학원 자율화, 학내민주화의 진행 과정|학생회 부활과 학내민주화 운동의 활성화
2. 대학 연대투쟁의 시작 : 1984년 하반기~1985년⋅247
3. 미문화원 점거 농성과 반미투쟁의 확산⋅252
4. 학내민주화의 진전과 연대투쟁의 상시화⋅255
학원안정법 저지 투쟁|수입개방 반대와 민정당사 점거 투쟁|해방이화
5. 1980년대 전반기 이화의 민중연대, 노학연대
노동현장의 파업과 활발한 노학연대 활동
6. 민중 생존권과 민주적 권리를 위한 개헌 투쟁⋅271
파쇼헌법 철폐와 민주헌법 쟁취투쟁|경찰의 학교침범과 학생들의 저항, 수업 거부 투쟁
7. 학생운동 노선 논쟁⋅280
8. 억압으로부터의 해방과 시대적 가치를 향한 이화의 역사 : 이화 100주년⋅282
9. 애학투련과 학생운동의 타격, 그리고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다⋅285
아시안게임 반대|애학투련 이후 학생운동의 변화를 모색하다
3장. 6월항쟁과 이화대학
1. 호헌철폐 투쟁과 서대협의 건설 : 1987년 상반기⋅293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2. 6.10 민주항쟁과 이화대학의 6월 민주화 대투쟁⋅296
호헌철폐와 군부독재 종식투쟁|6.10 민주항쟁|시험거부와 등교 투쟁|6월항쟁 기간의 이화광장
3. 언론의 자율과 민주화를 위한 대학언론의 투쟁⋅312
4. 학생운동의 대중노선, 전대협 결성⋅314
5. 여대협의 구성과 활동, 그리고 이화대학의 역할⋅317
6. 1987년 대선과 민주 정부 수립의 실패⋅322
대선에 대한 다양한 입장이 표면화되다|민주 정부 수립에 실패하다
7. 노태우집권과 미국의 개방압력에 대한 반대 투쟁⋅330
4장. 학생들의 통일운동
조국통일 촉진 운동과 6.10 남북학생회담을 위한 노력|8.15 남북학생회담 성사 투쟁과 남북교류의 확산|89평양청년학생축전
5장. 노태우 정권에 대한 공세와 민중연대의 강화
1. 5공 비리 처벌과 노태우 정권 퇴진을 위한 투쟁⋅350
5공 비리 청산과 전⋅이 구속을 요구하다|현대중공업 노동자 투쟁과 노학연대|이화대학의 5월 반미운동|전교조 지원과 노동 악법철폐 투쟁: 1989년 하반기
2. 대학언론의 자율권과 독립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361
6장. 다양한 민중연대 활동과 1980년대 이화 학생운동의 변모
1. 학원민주화운동과 문화운동⋅367
학생 대중이 진행한 교육 민주화 싸움과 학내민주화를 위한 노력: 1988-1989년|예술성과 운동성의 결합, 문화운동의 활성화
2. 이화의 민중연대 활동―1980년대 후반⋅377
노학연대 투쟁의 변화: 현장 중심에서 공조와 연대로|폭넓어진 농촌활동, 농민과의 지속적인 연대: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활발하게 진행된 도시 빈민연대 활동: 1980년대 후반
3. 평등하고 자주적인 여성의 삶을 위하여: 변혁운동과 함께 전개된 이화의 여성운동⋅392
4. 1980년대 학생운동과 이화⋅396
5부 1990년대 학생운동의 새로운 모색과 대안
1장. 보수 대연합 구도에 대한 저항과 학원 자율화 투쟁 : 1990년
1. 이화 학생회의 전환 및 학원자주화투쟁⋅405
2. 보수 대연합 반대 투쟁과 민중연대 강화⋅408
3. 자주화를 위한 투쟁과 남북교류 추진⋅414
팀스피리트에 대한 문제 제기|학생운동이 추진한 남북교류사업|학원자주화투쟁의 질적 전환|대학언론 통제에 저항하고 언론 자율화를 위해 싸우다
2장. 노태우 정권의 공세와 학생운동의 치열한 대응 : 1991년
1. 수서 비리와 민생파탄에 대한 항의⋅424
2. 6공화국 최대의 대중투쟁-5월 투쟁⋅426
3. 학생운동에 대한 대대적인 공세⋅433
4. 노태우 정권의 북방정책과 학생들의 통일운동⋅435
5. 제도개선을 통한 학원 자주화 사업⋅441
3장. 탈정치화 흐름과 이화 학생운동의 새로운 모색
1. 탈정치화 흐름과 학생회의 변화 모색⋅444
2. 다양한 학생 정치조직을 통한 대선 활동⋅450
3. 문민정부의 출범⋅454
4. 학생운동의 새로운 정신과 구조를 요구받다⋅456
학생운동 쇄신을 위한 조직의 재구성|학생운동의 진화를 모색하다
4장. 1990년대의 지속적인 민중연대 활동과 여성운동
1. 적극적으로 전개된 빈민 활동과 지역연대 활동⋅461
2. 여성의 문제와 그 해소방안을 확장해가다 - 1990년대 이화의 여성학, 여성운동⋅468
5장. 시대환경의 변화와 학생운동의 새로운 모색
6부 이화 민주화를 위한 유연하고 수평적인 연대
미래라이프대학 사태와 새로운 민주주의⋅485
기억하는 글 : 그들의 삶이 시대를 만들다⋅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