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3669707
· 쪽수 : 463쪽
· 출판일 : 2012-12-01
목차
국문요약
제Ⅰ부 서론
제1장 연구목적과 방법
제1절 연구목적 및 방법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의 배경 및 운영현황
제1절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의 배경
1.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의 이론적 모델
2.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의 실질적 내용
3. 성범죄자 치료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2절 교정시설 내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 운영현황
1. 우리나라의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
2. 국외의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
제3절 소결
1. 위험도에 따른 성범죄자 분류: 재범위험성 평가도구의 활용도 강화
2. 성범죄자의 개별적 범인성 파악: 성범죄자 다면평가 실시
3. 치료 후 사후관리 필요
4. 기타: 이수명령 부과방식 개선
제Ⅱ부 성범죄자 다면평가도구(K-MIDSA) 개발
제1장 성범죄자 위험성 및 위험요인 평가도구
제1절 성범죄자 위험성 및 위험요인 평가도구
1. 위험성의 원리를 적용하는 보험계리적 평가도구
2. 범죄자들의 욕구를 평가하는 자기보고식 평가도구
3. 성범죄 관련 특성을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MASA의 개발
제2절 성범죄자 다면평가도구(MIDSA)의 개요
1. MIDSA의 개발 배경
2. MIDSA의 내용 및 척도 설명
제2장 한국판 K-MIDSA의 개발 및 심리측정학적 지표
제1절 한국판 K-MIDSA에 대한 설명
제2절 한국판 K-MIDSA 타당화 조사결과
1. 피조사자의 준거집단 별 인구사회적 특성
2. 성범죄자들의 범죄 경력
3. K-MIDSA의 신뢰도 분석방법
4. 조사연구 결과
제3장 종합논의 및 제언
1. 한국판 K-MIDSA의 타당도 결과 요약 및 논의
2. 한국판 K-MIDSA의 활용가능성
제Ⅲ부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제1장 성범죄자 치료프로그램 : 일반 매뉴얼
제1절 이론적 배경
1. 치료 모델
2. 치료 방식
3. 치료 모델의 적용결과
제2절 운영상의 특징
1. 집단치료 또는 개인치료
2. 폐쇄형 또는 순환형 집단
3. 운영원칙
제3절 성범죄자 치료방식
1. 목표 기술
2. 행동 기술
3. 인지 기술
4. 정서 기술
제4절 치료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
1. 일반적인 치료 특성
2. 구체적인 치료 목표와 구성요소
제2장 성범죄자 예비 프로그램 : 동기 강화 프로그램 매뉴얼
제1절 예비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
1. 치료 거부자
2. 중도 탈락
3.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치료전 전략
제2절 예비 프로그램의 절차적 특징
1. 예비프로그램의 치료안
제 1회기: 소개
제 2회기:~5회기: 사례화 과정
제 6회기: 손익 분석
제 7회기~8회기: 자존감
제 9회기~10회기: 공감
제 11회기~12회기: 문제해결 및 대처
제 13회기~14회기: 미래 바라보기
제3절 소결
제3장 성점죄자 정규 치료프로그램 : 장점기반 매뉴얼
제1절 일반적 이슈
제2절 정규 치료프로그램의 내용
1. 제 1단계: 치료 소개
제 1회기~2회기: 소개
제 3회기~6회기: 미래 바라보기
제 7회기: 목표 설정
제 8회기~9회기: 손익 분석
제 10회기~15회기: 자서전
제 16회기~21회기: 즉시적 범행유발요인
제 22회기~25회기: 자존감
2. 제 2단계: 감정 문제
제 26회기~31회기: 감정 관리 및 대처
제 32회기~35회기: 공감
제 36회기~41회기: 친밀감
제 42회기~43회기: 고립감
제 44회기~49회기: 애착
제 50회기~61회기: 대인관계 기술의 강화
제 62회기: 질투
제 63회기~65회기: 건강한 성
제 66회기~68회기: 성적 집착
제 69회기~74회기: 일탈적 성
3. 제 3단계: 자기 관리
제 75회기~80회기: 좋은 삶 계획하기
제 81회기~82회기: 재발을 피하기 위한 전략
제 83회기~85회기: 지지 그룹
제 86회기~87회기: 종료 계획
제Ⅳ부 결론
제1절 성범죄자 평가
1. 성범죄자 다면평가
2. 한국판 성범죄자 다면평가도구(K-MIDSA)의 이용과 치료의 연계
제2절 성범죄자 치료
1. 성범죄자 치료의 효과성
2. 성범죄자 치료의 주요 원칙
제3절 제도적 변화
1. 판결 단계
2. 분류심사 단계
3. 처우(치료) 단계
4. 사후관리 단계
제4절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 K-MIDSA 설문지(수형자용)
부록 2 : K-MIDSA 설문지(일반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