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74098377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02-09-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단군과 고조선
고대사 연구의 문제점 / 단군 이전-환국 신시 시대 / 단군의 개국 / 고조선의 중심지 요동 / 단군조선의 흥망 / 동이족과 공자 / 기자조선의 허구 / 개기종야 - 한사군 / 조선사편수회와단군 / 단군을 위하여 / 내가 만난 정인보
2. 건국 이념의 맥 - 단군에서 고려초까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 단군의 홍익인간 / 광개토 대왕비와 고구려 건국이념의 구현 / 진흥왕순수비의 신라 건국이념 / 조의국선과 화랑도 / 문무왕 유조에 나타난 통일신라 건국이념 / 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 통일 전까지의 지도이념 / 발해의 융성과 고문자 연구
3. 상고 이래의 법습
고조선의 금법팔조 외 / 부여의 책임정치 / 예맥과 옥저, 동예 및 삼한 / 삼국, 고려, 근조선 / 마을규범, 두레와 품앗이, 동제 및 향약
4. 한국의 전통사상
제천 / 조상숭배 - 효와 충/ 현묘지도 - 풍류 / 무교의 퇴화 / 유학의 전래 / 호국불교의 성행과 원효사상 / 실학사상과 개화주의의 연결
5. 고대 한일관계사
일본국의 시원 한국 / '정한론'의 실체
6. 일본 속의 한국 불교
최초의 전법과 불교의 수용 / 소가 가문과 도일 한인의 조직화 / 백제인이 세운 아스카 불교문화 / 백제천변의 백제대사와 백제궁 / 망명한인 대집단 - 일본국 건설과 문화에 대공헌 / 백제인의 씨사 강사와 백제왕신사/ 원효, 의상의 '화엄연기' / 일본의 원료사상 연구 / 동대사와 행기 / 고구려인의 무사시노
정리를 마치고 - 법학과 역사의 지성 / 김유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