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소설론
· ISBN : 9788974113131
· 쪽수 : 540쪽
· 출판일 : 1996-12-16
목차
제1부 시점이론
시점이론의 새 지평 = 12
시점이론에 관한 반성적 모색 = 35
서사적 공간성과 시점론 = 50
제2부 시점 연구사
한국 현대소설의 시점연구사 = 72
제3부 한국 현대소설의 형성과 시점
현대소설의 형성과 시점 = 92
개화기 소설의 시점과 서술 = 117
한국 근대소설론과 시점 문제 = 138
계몽 이념과 주관적 시점 ―이광수의 초기 일인칭 단편― = 152
'믿을 수 없는' 일인칭 서술 ―1920∼30년대 단편소설― = 170
제4부 시점의 시학(1910∼1945)
서술 상황과 작가의 욕망 ―이광수의 「무정」― = 194
액자 소설의 시점 ―김동인의 「광염소나타」,「광화사」― = 217
권위적 서술과 여성인물의 형상화 ―염상섭의 「이심」― = 235
삼인칭 소설의 미적 원리 ―김유정의 소설― = 249
유년시점의 서사적 의도 ―김남천의 단편소설― = 266
시점과 작가의 의도 ―정인택의 단편소설― = 286
액자 형식과 양가적 시선 ―김동리의 「무녀도」― = 309
내부 시점의 두 양상과 주관적 현실인식 ―김이석과 유향림의 소설― = 329
자기비판과 소설의 목소리 ―이태준의 「해방전후」와 지하련의 「도정」― = 349
소설의 서사적 거리와 태도 ―손창섭의 소설― = 368
인물 제한적 서술 시점과 현실의 내면화 ―황순원의 「술」,「황소들」― = 390
제5부 시점의 시학(1945∼1994)
일인칭 제한 시점의 의미 ―김승옥의 단편소설― = 408
패로디 소설의 이중 시점 ―최인훈의 「춘향뎐」과 「놀부뎐」― = 428
소설의 화자와 수화자 ―최인훈의 「구운몽」― = 448
양면적 서술어법과 중층 시점 ―이청준의 「이어도」― = 464
소설의 인물지각과 서술태도 ―오정희의 「별사」― = 486
전화 텍스트와 역동적 수화자 ―박완서의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 510
찾아보기
1.인명 = 535
2.용어 = 5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