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노동운동
· ISBN : 9788974114770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6-04-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축사
머리말
제1장 미래 노동운동을 위한 두 가지 초점
1. 자리다툼과 밀려오는 급류
2. 노동운동, 어디로 가야 하는가?
제2장 노동운동의 시대적 흐름과 방향
1. 간단한 노동운동사 정리
서설
일제강점기의 노동운동 : 1919~1945
해방 공간에서의 노동운동 : 1945~1950
한국전쟁 이후의 노동운동 : 1950~1959
1960년대의 노동운동 : 1960~1970
1970년대의 노동운동 : 1970~1980
1980년대의 노동운동 : 1980~1990
1990년대의 노동운동 : 1990~1997
외환위기 이후의 노동운동 : 1998~2003
2000년대의 노동운동 : 2003~현재
중간 정리
2. 한국 노동운동사의 비판적 이해
노동운동이란 무엇인가?
아전인수격 역사인식의 극복
노동운동 성공의 역사
80년대 노동운동 성공 요인
노동운동 성공의 요인이 사라졌다
제3장 거시적인 고찰
1. 산 위에 올라서서 멀리 살펴보자
멀리서 다가오는 급류
4차 산업혁명
2. 국가 안보도 중요하다
국가 안보는 최우선 고려사항
국가 자체도 중요하다
국가 안보 우선의 실질적 의미
마르크스를 생각하며
제4장 현재의 노동운동 비판
1. 현재(2010년대) 노동운동의 문제
현재 노동운동의 세 가지 문제점
2. 본질을 벗어난 이념성
노동운동과 관념적 이념의 탈피
노동운동 이념의 분류와 이해
꼬리가 몸통을 흔들면 안 된다
정치적으로 성공한 공산주의·사회주의 세력의 실상
3. 위선적인 노동운동
귀족 노조, 이래서는 안 된다
자기 변명을 그만 둬야 한다
4. 불필요한 강경 노선
강경 노선, 때로는 필요하다
노동운동, 강경 노선만으로는 안된다
파업은 무조건 정당한가?
제5장 노동운동 v2.0
1. 현명한 투쟁
노동운동 버전 업
노동운동, 투쟁의 역사
노사관계의 세 가지 목적
2. 노동운동의 새로운 기본 전략 : 사회공공성 강화
사회공공성이란?
왜 사회공공성 강화인가?
공공기관과 공무원 노조
3. 노동운동 v2.0의 과제
노동운동 지도부의 전문화
인문학적 지식과 감성
<부록>
사회 공공성의 개념 -그 의미와 실천 과제
1. 서론
2. 공공성의 개념과 의미
가. 공공성
나. 공공성 강화
3. 공공성과 유관 개념의 층위
가. 복지, 사회안전망, 공공성
나. 그 밖의 관련 개념들
4. 공공성 강화의 당위성
가. 실제적 필요성
나. 윤리적 필요성
5. 사회 공공성 훼손의 원인
가. 공공성 약화의 2대 원인
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기본 지침
6. 사회 공공성 강화를 위한 방법론
가.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나. 공공성 강화를 위한 3대 실천 과제
7. 사회 공공성 실패 사례 고찰
가. 실패 사례 1 : 볼리비아의 물 민영화
나. 실패 사례 2 : 영국 철도 민영화
8. 결론과 제언 : 사회 공공성 지수의 개발
· 참고문헌/ 1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