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74181208
· 쪽수 : 381쪽
· 출판일 : 2001-02-20
목차
머리글
서론 동아시아 정치변동 연구의 정향과 맥락 / 김웅진
제1장 정치변동론의 개념적 쟁점 / 김형철.최경희
1. 머리말
2. 정치변동론의 전개
3. 정치변동의 개념과 유형
1) 정치체제의 변동
2) 정치제도의 변동
3) 리더십 변동
4. 정치변동의 방법론적 쟁점
1) 개념화와 측정
2) 분석수준과 분석방법
5. 요약 및 결론
제2장 동아시아 정치변도의 쟁점과 과제 - 민주화와 아시아적 가치 / 김형기.우준모
1. 머리말
2. 민주주의의 개념과 동아시아 정치체제의 유형
1) 민주주의의 개념
2) 동아시아 정치체제의 유형
3. 동아시아의 경제발전과 정치변동
4. 아시아적 가치와 동아시아의 민주화
1) '아시아적 민주주의론'의 본질
2) 아시아적 민주주의 대 서구적 자유민주주의
5. 맺음말
제3장 동아시아 정치변동 연구의 전개 / 서경교.김향기
1. 머리말
2. 민주주의와 정치변동 - 이론적 검토
1) 민주주의의 개념과 동아시아 정치체제
2) 정치변동의 원인
3. 동아시아 정치변동의 원인
1) 구조적 접근
2) 행위자적 접근
4. 맺음말
제4장 동아시아 정치변동 분석모형의 구상 - 방법론적 전략과제안 / 김웅진
1. 동아시아 정치변동 모형의 의미
2. 동아시아 정치변동 분석모형의 설계전략
1) 분석모형의 구축맥락
2) 작동변인의 선정 : 소거와 적극적 선택전략
3) 모형구조와 모형 검증방식의 선정
3. 요약과 결론
제5장 동남아 국가의 시민사회와 정치변동 - 사회제세력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이정희
1. 국가, 시민사회와 정치변동
2. 동남아 국가의 정치변동과 시민사회 - 일반적고찰
3. 정치변동 주체로서의 시민사회
1) 노동자세력
2) 농민세력
3) 학생세력
4) 기능집단
5) 전문가집단
6) 종교집단
7) NGO와 시민, 공익단체
4. 맺음말
제6장 정치이데올로기로서의 불교와 정치변동 - 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 김용민
1. 서론
2. 불교와 정치
1) 불교의 창조신화
2) 불교와 정치변동의 역사
3. 종교의 양면성 - 정치동원의 수단인가, 민주화의 토대인가?
1) 정치동원의 수단으로서의 종교
2) 민주화의 토대로서의 종교
4. 결론
제7장 군부 권위주의 체제 이후의 정치변동 - 민주화 이행? 정체된 민주화? / 서경교
1. 머리말
2. 군부 권위주의 체제 붕괴의 원인과 양상
3. 군부 권위주의 체제 이후의 정치변동
1) 군부에 대한 문민통제
2) 군부퇴진 이후 선거의 과정과 내용
3) 지배엘리트의 구성과특성
4. 평가 - 민주화 이행? 정체된 민주화?
제8장 민주화 과정에 있어서 정치행위자의 전략과 선택 - 한국과 대만의 사례 / 안승국
1. 서론
2. 민주화와 정치행위자 이론
1) 정치행위자 이론
2) 정치행위자들의 게임과 전략
3) 민주화의 경로와 유형
3. 권위주의 정권과 반대세력의 대치
4. 정치행위자들의 전략적 선택과 민주화
5. 이행선거의 정치지형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