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좋은 삶의 정치사상

좋은 삶의 정치사상

김용민, 육혜원, 장의관, 박의경, 안외순, 안정석, 오수웅, 김동하, 신복룡, 최순영, 정원섭, 설한, 김주성, 김병욱 (지은이)
이학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27,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좋은 삶의 정치사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좋은 삶의 정치사상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사상사
· ISBN : 9788961471916
· 쪽수 : 559쪽
· 출판일 : 2014-05-30

책 소개

정치사상총서 5권. 정치에서 좋은 삶은 나 혼자만 잘 사는 이기적 삶이 아니라, 동료 시민들과 더불어 잘 사는 협동적 삶을 의미한다. 더불어 잘 산다는 것은 공동선이며, 정의는 다름 아닌 공동선의 중요한 기준이다.

목차

서문 _ 김용민

제1부 좋은 삶과 고중세 정치사상
1장 소크라테스의 사상에서 좋음(agaton)과 정치 _ 육혜원
2장 아리스토텔레스 정치 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_ 장의관
3장 종교적 좋은 삶과 정치적 좋은 삶: 아우구스티누스를 중심으로 _ 박의경
4장 맹자의 인정론과 좋은 삶 _ 안외순

제2부 좋은 삶과 근대 정치사상

5장 마키아벨리에게 있어 좋은 삶과 정치 _ 안정석
6장 비례 균형과 조화에 이르는 삶: 루소의 미학 _ 오수웅
7장 헤겔이 생각한 '좋은 삶'의 질서와 '인정의 정치' _ 김동하
8장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눈에 비친 민중의 삶 _ 신복룡

제3부 좋은 삶과 현대 정치사상

9장 니체의 위버멘쉬와 고귀한 삶 그리고 정치 _ 최순영
10장 정치적 자유주의에서 좋은 삶 _ 정원섭
11장 킴리카의 자율성과 문화 _ 설한
12장 현대 정치와 실존 양식 _ 김주성

제4부 좋은 삶과 좋은 정치

13장 좋은 삶과 정치: 좋은 삶을 누리는 정치적 주체는 누구인가?_ 김용민
14장 좋은 일에 관여하는 삶과 정치학 _ 김병욱

각 장에 대한 안내 및 각 장이 처음 게재된 학술지
지은이 소개

저자소개

신복룡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청북도 괴산 출신/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동대학원 수료(정치학 박사)/ 건국대학교 교수(1979~2007)/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객원교수(1985~86)/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1999~2000)/ 건국대학교 중앙도서관장·대학원장/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상·학술원상 심사위원(1990, 2002)/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수상(2001)/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회장(2007)/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서훈심사위원(장)(2009~23)/ 한국정치학회 인재 윤천주 학술상 수상(2011)/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좌교수(2007~12) ❙저 서 <한말 개화사상 연구>(평민사, 1987)/ <한국의 정치사상가>(집문당, 1999)/ <大同團實記>(선인, 2003)/ <한국정치사>(박영사, 2003)/ <동학사상과 갑오농민혁명>(선인, 2006)/ The Politics of Sepa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Edison, NJ : Jimoondang International & Seoul : Jimmondang, 2008)/ <한국사에서의 전쟁과 평화>(선인, 2021)/ <이방인이 본 조선의 풍경>(집문당, 2022)/ <잘못 배운 한국사>(집문당, 2022)/ <전봉준평전>(글을 읽다, 2024)/ <해방정국의 풍경>(중앙Books, 2024)/ <한국분단사연구 : 1943~1953>(한울, 2025 : 개정증보판) ❙번역서 <민족자결주의>(National Self‑Determination, 광명출판사, 1968, 공역)/ <칼 마르크스>(Karl Marx, 평민사, 1982)/ <현대정치사상>(Political Ideologies, 평민사, 1984, 공역)/ <묵시록의 4기사>(Four Horsemen, 평민사, 1988)/ <외교론>(Diplomacy, 평민사, 1998)/ <한말외국인기록>(집문당, 1999~2000, 전10책, 23권, 일부 공역)/ <모택동자전>(Red Star over China, 평민사, 2001)/ <갑신정변회고록>(건대출판부, 2006, 공역)/ <군주론>(The Prince, 을유문화사, 2006)/ <정치권력론>(Political Power, 선인, 2006)/ <林董秘密回顧錄>(건국대학교출판부, 2007, 공역)/ <入唐求法巡禮行記>(선인, 2007)/ <삼국지>(집문당, 2021, 5책)/ <플루타르코스영웅전>(을유문화사, 2021, 5책)/ <한국분단보고서>(선인, 2023, 3책, 공역)/ <신·구약성경>(Naver/Blog)
펼치기
김병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철학자인 그는 현재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초빙교수로 있으면서 ‘정치학입문’과 ‘한국정치사상’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경희사이버대학교 후마니타스학과 겸임교수를 겸하면서 동아시아의 불교정치사상, 유교정치사상, 기독교정치사상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인물로배우는정치학-동양편’ 등을 강의하고 있다. 그밖에 중앙대학교 대학원 동북아학과와 부산교육대학교 및 대학원 윤리교육과에서도 강의하고 있다. 1997년부터 2017년까지 만20년 동안 줄곧 동국대학교 국제관계학과 외래교수로 있으면서 ‘동서양정치사상’과 ‘문화와 정치’ 등을 전담하여 강의했다. 통일헌법의 정치철학적 기초를 마련하는 일을 자신의 소명으로 여기고 있는 그는 현재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부원장으로 연구활동하면서 동북아평화협력과 남북통일을 실질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동아시아사상사 및 고전경학적 기초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평화로운 동북아질서 속에서 주변국 모두가 환영할 뿐만 아니라 필요로 여기는 남북통일 전망을 기존의 ‘단일민족 논리’, ‘경제성장 논리’, ‘지역평화 논리’와 다른 전혀 새로운 차원의 ‘민주 공화체제’로 열어가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활동의 결실 중에 하나가 『지탱』(여연제, 2019)이다.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9년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한 이후 석박사 학위까지 줄곧 실존철학에 기반을 둔 정치철학과 정치이론을 공부했다. 그러나 2006년부터 실존주의가 저 뿌리 깊은 곳에 체질적으로 갖고 있는 ‘독단과 아집’에서 떠나기 시작했다. 요즘 그의 관심은 ‘메타이론’에 있다. 그가 말하는 메타이론은 ‘어떤 이론, 학문, 방법론 등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가정과 전제에 관한 이론’이다. 주요 저서로는 『메타비교정치학』(백산출판사), 『공적윤리와 정치』(백산출판사), 『좋은 삶의 정치사상』(공저, 이학사), 『인권의 정치사상』(공저, 이학사), 『한국의 통일연구 30년』(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외 다수가 있다. 저자의 다른 저서 남북한 사회통합 방안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8년 12월 한국의 통일 연구 3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7년 5월 좋은 삶의 정치사상, 이학사, 2014년 5월 메타비교정치학, 백산출판사, 2011년 4월 인권의 정치사상, 이학사, 2010년 12월 공적윤리와 정치, 백산출판사, 2004년 10월
펼치기
박의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사는 서양근대정치사상과 여성정치이고, 궁극적 지향점은 여성정치사상의 정립과 민주주의의 사상적 완성이다. 저서 『여성의 정치사상』과 『현대정치의 위기와 비전』(공저), 『루소를 말하다』(공저), 『인권의 정치사상』(공저), 『우리들의 민주주의』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정치사상과 여성』, 『지하드 맥월드』, 『고백록』(역해), 『나라사랑을 말하다』 등이 있다. 논문 「민주주의와 여성, 그리고 평화」, 「5.18 민주항쟁과 기억의 정치」, 「자유민주주의의 정립을 위한 조건」, 「젠더정치 활성화를 위한 모색」, 「화해, 공존, 평화의 조건: 한반도 평화공동체를 위하여」, 「다문화주의와 민족주의, 민주주의의 삼각구도」, 「한국민족주의와 민주주의」, 「참여민주주의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고찰」, 「전쟁의 길과 평화의 나무」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용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시카고 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플라톤은 내 머리에, 루소는 내 가슴에, 키케로는 내 혀 위에”라는 모토를 지니고 정치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정치사상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저로 『루소의 정치철학』(2004)이 있고, 『루소, 정치를 논하다』(공저, 2017), 『서양 근대 정치사상사』(공저, 2007) 등 많은 편저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안외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원군 집정기 정치권력의 성격 관련 연구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논저로 「송시열과 한국 보수주의의 기원」, 「19세기 말 조선에 있어서 민주주의 수용론의 재검토」, 『정치, 함께 살다』 등이 있고, 『근역서화징』과 『김택영의 조선시대사 한사경(韓史綮)』 등을 공역했다. 한국정치사상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서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육혜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고려대학교, 경희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저서로는 『왜 소크라테스는 독배를 마셨을까?』, 『보편주의』, 『좋은 삶의 정치사상』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자본주의의 역사』, 『니체』, 『미래전쟁』, 『영웅본색』, 『인류의 세계사』 등이 있다.
펼치기
정원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를 마친 후 미국 Purdue University에서 박사후과정을 거쳤다. 한국윤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한국포스트휴먼학회 회장 그리고 한국철학회와 한국동양철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정의와 인권 그리고 민주주의의 시각에서 인공지능 등 첨단 과학 기술이 현대 사회에 초래하는 다양한 변화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롤즈의 공적 이성과 입헌민주주의』(2008), 『좋은 삶의 정치 사상』(2014), 『현대정치철학의 테제들』(2014), 『인공지능과 새로운 규범』(2018)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Property-owning Democracy or Democratic Socialism?”(1998), 「인권의 현대적 역설」(2012), “AI ethics on the road to responsible AI plant science and societal welfare”(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안정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과 미국 포담대학, 텍사스주립대학(UNT)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부산대학교에서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공화주의 지도력』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경대와 한남대에 출강하고 있다. 전공은 지은이에게 나름의 삶의 방식을 찾아 주었다고 생각되는 정치철학이다. 1990년대 초 미국 포담대학에서 Leo Strauss의 정치철학을 충격으로 체험한 후 한국에서 학부시절부터 습득했던 마르크스주의로부터 벗어났다. 이후 1990년대 중기에서 2000년대 초까지 미국 텍사스주립대학에서 고대와 근대 리얼리즘(투키디데스, 마키아벨리, 그리고 니체)의 정치철학을 접하고 두 번째 충격을 받았다. 저술로 『좋은 삶의 정치사상』(마키아벨리 부분), 「마키아벨리의 도덕적 선-악에 대한 해석방식에 관한 소고: 『군주론』과 『리비우스논고』」, 「미국 건국에 있어 마키아벨리적 요소」, 「마키아벨리의 자유주의적 공화주의 유산」(서평논문), 「리비우스와 마키아벨리의 사이에서: 근대성의 정치철학」, 주 저자 논문으로 「근대 자연법사상에 내재된 정치권력의 정당성과 그 현대적 함의: 레오 스트라우스의 관점을 중심으로」, 그리고 「A Study of Marsilius of Padua’s Theory of ‘Sovereignty’ in Defensor Pacis」 등이 있다. 현재 주요 관심분야는 국제관계의 사상, 미국과 한국의 건국, 대중문화 속의 정치현상 등이다.
펼치기
안정석의 다른 책 >
최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정치철학 전공 으로 학사/석사학위를 취득 후,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에서 ‘니체의 도덕비판: 메타비판의 시도’로 철학박사학위 (PhD)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청주 서원대학교 정치행정학과 전임교수, 대통령직속 사회통합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 서울대, 서강대, 이화여대, 국립인천대, 충주 중앙경찰학교, 중앙대, 강원대, 서원대에서 다양한 강의와 특강을 하였다. 남원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전주평생학습포럼, 전주한옥생활체험관, 서천공정여행아카데미 등에서 한국철학과 한국예술에 대해서 발표/특강을 하였다. 철학자 최순영의 관심과 활동은 비단 서양철학과 서양예술에 머물지 않고 한국예술과 동양철학에까지 이른다. 그는 예술과 철학에 대한 에세이 모음집인 tistory ‘길에서 만난 예술과 철학’을 운영하며 대학과 다양한 기관, 단체를 넘나들며 강의하고 있다.(https://wanderlust2019.tistory.com/manage) 현재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교수, 토브클래식 상임고문으로 재직하고 있고, 대안연구공동체에서 ‘세계철학사’를 강의하고 있다. 단독저서는 『니체와 도덕의 위기 그리고 기독교』(2012, 2013 문화체육관광부우수학술도서), 『기본소득(Basic Income)이란 무엇인가? -기초적 이해와 지지를 위하여-』(2023)가 있다. 공저는 『주요 국가별 다문화정책』(2012), 『정치학의 정체성』.(2013, 2014 문화체육관광부우수학술도서), 『좋은 삶의 정치사상』(2014). 『청년 아시아를 상상하다』(2016), 『현대정치의 위기와 비전』(2020) 가 있으며, 번역서로는 프리드리히 니체의 『우상의 황혼』(2018)이 있다. 학술논문으로는 「니체 교육철학의 두 가지 해석(영미권, 독일어권)에 대한 비교연구: 민주주의 교육과의 관계를 중심으로」,(2023), 「니체의 위대한 정치와 선한 유럽인의 세계시민적 덕성」(2021), 「니체와 19세기 독일 反유대주의(Anti-Semitismus)」(2021), 「니체 교양교육 비판」(2016), 「독일 정치학의 역사적 전개과정: 대학제도 변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2009) 등 총 20편의 학술논문이 있다
펼치기
설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철학 전공. 서울대학교 철학과(미학전공)를 졸업하고 피츠버그대학(University of Pittsburgh)에서 정치학 석사,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 관심 분야는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민주주의, 다문화주의, 세계화 등을 핵심주제로 하여 서로 연계된 현대 정치철학 관련 제 문제들이다. 주요 연구성과로는 「주디스 슈클라(Judith Shklar)의 정치적 자유주의: ‘공포의 자유주의’를 중심으로」(2017), 「다원주의 사회의 민주적 시민권: 권리와 의무」(2015), 「배리(B. Barry)의 다문화주의 비판과 평등주의적 자유주의」(2014),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퇴조 원인 분석: 문화 개념과 규범성 문제를 중심으로」(2014), <좋은 삶의 정치사상>(공저, 2014),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공저,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장의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카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립통일교육원 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및 정책대학원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는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에 재직 중이다. 주 전공 분야인 정치 이론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저술이 있으며, 일반인을 위한 인문교양 저서인 『청소년을 위한 생각하는 사회』 『흥부의 딜레마: 흥부전과 사회 철학의 만남』 등을 집필했다.
펼치기
김동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서양 정치사상사와 현대 민주주의 이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정치 통합 문제, 정치와 종교의 관계, 사회적 소수자의 인정 문제 등이다. 저서로는 독일의 Koenigshausen & Neumann 출판사에서 출간된 Anerkennung und Integration: Zur Struktur der Sittlichkeit bei Hegel(2011),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2013, 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헌법'과 통합의 정치: 헤겔 '법철학'의 현재성 옹호를 위한 요소들」(2013), 「시민종교와 정치통합: 헤겔의 규범적 통합이론의 문화론적 재구성」(2012), 「독일 바이마르 시기의 '보수혁명' 담론에 나타난 국가, 시장, 민주주의」(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오수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박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부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