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독일철학
· ISBN : 978897418257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8-09-10
목차
역자서문
예비적 언급
Ⅰ. 서론: “독일 관념론”이라는 개념에 대한 예비적 설명
1. 독일 관념론이란 무엇인가?
2. 수행적 관념론 - 수행적 유물론
3. 종교적인 메시지로서의 관념론
4. 이 연구의 과제설정
5. 관념론적 사유의 사변적 단초에 대한 잠정적 해명
Ⅱ. 요한 고트리프 피히테(1762-1814)
1. <학문론>(1794/95)에 대한 안내
1.1. 기획하는 이성이라는 칸트의 규정과 피히테가 말하는 실행으 로서의 이성이라는 개념
1.2. 전기(傳記)
1.3. “자기동일성”이라는 개념에 대하여
1.4. 정립, 활동, 이론이성, 실천이성
1.5. 방법에 관한 주석들
1.5.1. 논리적인 자아-형식
1.5.2.(1794/95의 학문론에 의하여) 추상작용을 넘어 A=A와 “나 는 존재한다.”를 얻으려는 시도
1.5.3. 행위와 행위의 형태. 지성적 직관
1.6. 행위함과 철학적 반성
2. 학문론(1794/95)이라는 개념에 대하여
2.1. ?학문론이라는 혹은 소위 철학이라는 개념에 대하여(17941, 17982)
2.2. ?청중을 위한 수고(手稿)로 쓰여진 전 학문론의 기초? (1794/95)
2.2.1. 전 학문론의 원칙들(Ⅰ, 91-123)
2.2.2. 이론지의 기초(Ⅰ, 123-246)
2.2.3. 감각, 직관 및 지각(경험)의 연역
2.2.4. 실천적인 것에 관한 학에로의 이행
3. “새로운 방법에 의한” 학문론(1797/98)
3.1. 학문론의 이러한 기획의 주요한 특징들
3.2. “새로운 방법에 의한” 전 학문론의 구분에 관하여
4. 피히테의 <학문론의 원리들에 의한 자연법의 기초>(1796)
5. 윤리에 대한 피히테의 숙고
6. 예나 시절의 종언. 무신론 논쟁(1798/99)
6.1. 예비적인 역사적 언급
6.2. 무신론 논쟁의 기초들
7. 피히테의 후기시절
7.1. 전기(傳記)
7.2. 후기 학문론들
8. 회고
Ⅲ.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셉 쉘링(1775-1854)
1. 전기(傳記)
2. 쉘링의 시작들. 지성적 직관
3. 자연철학
4. 쉘링의 동일철학
5. 쉘링의 신학
6. “기독교 철학”으로서의 후기철학
Ⅳ.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1770-1831)
1. 관념론의 완성자로서의 헤겔(?)
2. 헤겔의 베른 및 프랑크푸르트 시절
3. 예나 시절
3.1. <피히테와 쉘링 체계의 차이>
3.1.1. 철학의 필요(욕구)
3.1.2. 지성과 이성, 자연과 정신의 관계에 대한 주석들
3.1.3. 반성과 직관
4. 예나 시절의 추가적인 저술들에 대한 개관
5. <정신 현상학>에 대한 소개. 피히테 및 쉘링과는 다른 관념론적 사유의 새로운 단초
6. <정신 현상학>(1807)
6.1. 헤겔이 “정신 현상학”으로 표현하고 있는 과제의 설정
6.2. “학을 위한 준비” 및 정신과학 체계 내의 분과 로서의 현상학
6.3. 의식의 경험
6.3.1. 의식
6.3.2. 자아의식
6.3.2.1. 자아의식의 자립성과 비 자립성. 지배와 예속
6.3.2.2. 자아의식의 자유
6.4. 이성, 정신, 종교, 절대지 - <정신 현상학>의 C장(章)의 길
7. 예나 시절의 종결, 밤베르크로 그리고 뉘른베르크의 애기디엔 김 나지움의 교장으로 떠남
8. 헤겔의 <논리학>
8.1. 헤겔이 말하는 논리학 개념에 대하여
8.2. 존재, 본질 및 개념에 관한 이론으로서의 헤겔의 논리학
8.2.1. 예비적 언급
8.2.2. 존재론
8.2.3. 본질론
8.2.4. 개념론
9. 헤겔의 하이델베르크 및 베를린 시절
10. <철학적 제 학문의 집대성>(철학강요)
10.1. “엔쮜클로패디>라는 개념과 그것의 구분
10.2. 자연철학
10.3. 정신철학
10.3.1. 주관적 정신
10.3.1.1. 인간학
10.3.1.2. “현상학”에로의 이행, 습관
10.3.1.3. 현상학
10.3.1.4. 현상학으로부터 직접 사회이론에로가 아니라 심리학에 로 이행하는 문제
10.3.1.5. 피히테에 관한 주석
10.3.2. 객관적 정신
10.3.2.1. 법철학의 소개, 법 개념
10.3.2.2. 추상법
10.3.2.3. 도덕
10.3.2.3.1. 기도(Vorsatz), 의도(Absicht), 복지(Wohl)
10.3.2.3.2. 선과 양심
10.3.2.4. 인륜
10.3.2.4.1. 가족, 사회, 국가의 매개체로서의 인륜
10.3.2.4.2. 시민사회와 국가
10.3.2.4.3. 국가
10.3.2.4.3.1. 국가, 그리고 국가들의 관계
10.3.2.4.3.2. 입헌국가(국내법)
10.3.2.4.3.3. 국제법. 세계사
10.3.3. 절대정신
Ⅴ.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