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운동 > 걷기
· ISBN : 9788974258801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03-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풋풋한 첫사랑과 같은 책
구판 프롤로그 - 맨발걷기를 위하여
1장 맨발을 통한 대지와의 교감
1. 처음으로 신발을 벗다
2. 맨발-버림의 철학, 벗음의 미학
3. 어머니 대지와의 연결
4. 이 세상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5. 숲속 생명체들에 대한 사랑
6. 매일 그 자리에 서있는 거목
2장 맨발걷기와 자연의 순환
1. 순환의 이치를 실감케 하는 숲길
2. 생동하는 새봄의 향연
3. 한여름 만나는 숲길의 풍요로움
4. 마음을 물들이는 낙엽 위의 발걸음
5. 새들도 조용한 서릿발 숲
6. 겨울 문턱, 고행의 맨발걸음
3장 맨발의 기원과 역사
1. 문명의 발전이 가져온 변화
2. 기독교에서의 맨발 수행
3. 불교에서의 맨발 수행
4. 맨발로 걸으며 사유한 철학자들
5. 신발을 벗어 순수함을 찾은 예술가들
6. 맨발의 삶을 추구하는 현대인들
4장 맨발로 걷는 이유
1. 왜 맨발로 걸으시죠?
2. 인간의 신체에 자연스러운 생활패턴
3. 우리의 유전자는 맨발을 원한다
4. 웰빙을 실현하는 가장 경제적인 수단
5. 나의 존재와 대면하는 명상의 시간
5장 맨발걷기의 경이로운 치유효과
1. 자연으로 돌아갈 때 건강의 길이 있다
2. 선홍색의 건강한 발을 되찾자
3. 발은 혈액을 순환시키는 제2의 심장
4. 모든 신체기관과 연결되어 있는 발
5. 치유와 생명의 맨발걷기
6장 맨발걷기로 인해 변화하는 일상
1. 행복한 잠으로의 초대
2. 소화기관 활성화와 노폐물 배출
3. 면역력 강화와 감기로부터의 해방
4. 무좀과 발냄새로부터의 구출
7장 당신의 고민을 해소하는 맨발걷기
1. 조루와 발기부전의 해결
2. 갱년기 여성의 생리가 돌아오다
3. 수험생의 위장 장애 치유
4. 골프 등 스포츠 능력 향상 및 안정화
8장 체질개선과 성인병 치유효과
1.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2. 간 기능의 개선
3. 당뇨의 예방과 혈당의 개선
4. 비만의 예방과 해소
5. 허리와 다리의 근육 강화
6. 골다공증과 칼슘 부족 해결
9장 맨발로 하는 일곱 가지 걸음걸이
1. 첫 번째, 두꺼비처럼 천천히 걷기
2. 두 번째, 황새와 같이 날렵하게 걷기
3. 세 번째, 잇몸을 우물거리듯 걷기
4. 네 번째, 까치발로 걷기
5. 다섯 번째, 주걱을 엎어놓은 듯 걷기
6. 여섯 번째, 스탬프를 찍듯이 걷기
7. 일곱 번째, 가재처럼 뒤로 걷기
10장 맨발걷기 실천 방법
1. 매일 얼마나 걸어야 하는가
2. 집 근처의 맨땅을 찾아라
3. 맨발 지압보도의 맹점
4. 맨발걷기 안전수칙 10가지
5. 맨발로 걸으며 단전호흡 하기
6. 발을 관리하는 법
11장 맨발로 느끼는 다양한 감촉
1. 숲길 맨발걷기의 대안
2. 실내에서 자갈 밟기
3.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솔방울 밟기
4. 몸의 피로를 날리는 도토리 밟기
5. 여인의 손길 같은 개암나무 열매 밟기
6. 매끄럽고 시원한 대나무 밟기
에필로그 - 맨발걷기의 대중화를 위한 제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맨발걷기에 관심을 갖는 독자들이 늘어나자 한때 절판서적이었던 본서, 『맨발로 걷는 즐거움』을 찾는 문의가 쇄도했다. 내가 집필한 최초의 책이라는 점에서, 이후에 쓴 다른 어떤 책들보다 우아하고 유려한 문장으로 맨발걷기를 표현했다는 점에서 독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냈기 때문이다. 본서는 맨발걷기에 관한 최초의 기록서이자 안내서다. 맨발에 관한 지식이 최초로 구성된, 그러면서 맨발에 관한 수줍은 정감이 넘쳐나는 그야말로 풋풋한 첫사랑과 같은 책이다. 본서의 출간은 이러한 책을 다시 한 번 만나고 싶은 독자들의 요구 아래에 준비되었다.
#프롤로그 - 풋풋한 첫사랑과 같은 책 중에서
나는 당장 맨발걷기를 시작해야겠다고 다짐했다. 그날로 나는 당시 내가 거주하고 있던 폴란드 바르샤바의 집 뒤에 있는 카바티숲에 찾아갔다. 카바티숲은 924헥타르(924만m²)에 달하는 거대한 숲으로 맨발걷기를 하기 이전에도 내가 주말이면 종종 운동화를 신고 걷던 곳이었다. 이번에는 운동화를 벗었다. 막상 평생을 달고 살던 신발을 벗자니 망설여지기도 했다. 그러나 신발은 일평생 나를 가둬온 감옥이었고 나는 그 감옥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일념에 사로잡혔다. 과감히 신발을 벗고 맨발로 흙을 밟았다. 숲길을 맨발로 걷기 시작하였다. 아기가 걸음마를 하듯 그렇게 숲 속으로, 자연으로, 생명의 모태 안으로 걸어들어갔다.
#1장 맨발을 통한 대지와의 교감 중에서
최초의 인류가 거주했다는 아프리카의 사바나숲은 이러한 발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기도 하다. 남아프리카 지역의 부시맨들은 여전히 맨발로 동물을 추적하여 사냥을 한다. 또 맨발로 동아프리카 사바나의 고원을 누비며 유목생활을 하는 마사이족들의 삶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수백 만 년 동안 이어져 내려온 맨발걷기 역사, 그것은 발의 강인함을 대변해준다고 하겠다. 그리고 또 맨발로도 얼마든지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강인한 발도 추위는 어찌할 수 없는 법. 온갖 위험과 추위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오늘날 신발과 같은 역할을 하는 발싸개도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3장 맨발의 기원과 역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