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7425919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4-07-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오늘도 힘들게 자기계발을 하는 당신에게
1부 - 성공의 열쇠 부자의 뇌
1장 노력이 부족해 실패했다는 착각
1-1 열심히 사는데 왜 삶은 그대로일까?
1-2 당신을 가난에 묶어두는 제한신념
1-3 뇌를 바꿔야 성공할 수 있다
1-4 의지 이전에 뇌가 결정한다
1-5 뇌는 당신의 태도에 관심이 없다
1-6 기회를 포착하는 뇌의 구조
1-7 실전보다 상상이 효과적이다
2장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는 뇌
2-1 다이어트를 하면 살이 찌는 이유
2-2 에너지를 분배하는 뇌의 역할
2-3 잘 먹어도 살 안 찌도록
2-4 결과까지 바꾸는 착각의 힘
2-5 원하는 생각으로 술과 담배를 끊다
2-6 생각만으로 부러진 뼈를 붙이다
2-7 몸의 장애보다 무서운 생각의 장애
3장 성공을 방해하는 함정들
3-1 인성이 좋아야 성공한다?
3-2 책을 많이 읽어야 성공한다?
3-3 워라밸을 유지해야 성공한다?
3-4 하기 싫은 일을 해야 성공한다?
3-5 행운이 따라야 성공한다?
3-6 모든 걸 알고 있어야 성공한다?
4장 성공하는 사람의 사고방식
4-1 자신의 능력을 믿어라
4-2 돈 없어도 부자처럼 살아라
4-3 원하는 것을 노트에 적어라
4-4 더 생생하게 상상하라
4-5 불가능을 고려하지 말아라
5장 인생이 바뀌는 원리
5-1 가짜를 진짜로 만드는 말의 힘
5-2 내가 가진 자원을 찾아라
5-3 선택의 기로에 서있을 때
5-4 모든 일에는 긍정적 의도가 있다
5-5 정신과 육체는 연결되어 있다
5-6 실패는 없다! 피드백이 있을 뿐
2부 - 나를 바꾸는 힘 NLP
6장 성공으로 향하는 NLP 기술
6-1 성공을 체험시켜주는 하위감각양식
6-2 나의 이야기를 만드는 영화관 기법
6-3 성과 중심 사고방식
6-4 결과를 정해놓고 방법을 찾는 TOTE모델
6-5 뇌가 유능해지는 4단계
7장 마음을 다스리는 NLP 기술
7-1 말로 감정을 변화시키는 리프레이밍
7-2 부정적 상황에서 벗어나는 스위시
7-3 긍정적 의도 탐색
7-4 내면을 안정시키는 분아통합
7-5 객관적 관조와 주관적 몰입
7-6 당신의 사고를 묶어두는 앵커링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뇌는 당신의 무의식에 깔린 ‘기본전제’대로 변화한다. 기본전제란 우리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우리가 어떠한 행동과 생각을 할 때 뇌가 집중하고 곱씹는 포인트를 말한다. 만약 당신이 ‘돈 버는 것은 어려운 거야’를 기본전제로 둔 행동을 반복한다면 당신은 ‘돈을 힘들게 벌 수밖에 없는 뇌’를 갖게 된다. 그런 사람에게 돈을 쉽게 버는 방법은 보이지 않는다. 만약 당신이 ‘지금은 힘들지만 나중에는 다 잘될 거야’라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지금 힘든 것은 당연하다고 여기는 뇌’를 갖게 된다. 만약 당신이 ‘최선을 다해야 성공한다’는 기본전제를 갖고 있다면, 계속해서 최선을 다해야만 하는 상황이 당신을 찾아올 것이다. 실제 객관적인 상황은 그렇지 않더라도 당신의 뇌는 현재의 상황을 최선을 다해야 하는 상황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1장 노력이 부족해 실패했다는 착각 중에서
험난한 자연과 위험한 맹수로부터 생존하기 위해 인간이 지닌 무기는 ‘생각’뿐이었다. 문명이 들어서기 전까지는, 인간이 어떤 생각을 한다면 그것은 대부분 생존에 관련된 것들이었다. 그렇기에 우리의 뇌는 ‘우리가 자주 생각하는 것은 생존에 관련된 것’이라는 판단을 내리도록 진화한 것이다. 빙하기의 원시인들은 자신들을 괴롭히는 추운 자연환경에 대해 계속 생각했다. 그러다보니 뇌는 그것이 생존에 중요하다고 여기게 되었고 따듯한 주거 환경을 갖추는데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했다. 또 원시인들은 식량 확보에 대해서 계속 생각했다. 그러다보니 뇌는 그것이 생존에 중요하다고 여기게 되었고 효과적인 사냥 도구를 만드는 데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분배했다. 이처럼 뇌는 계속해서 생각하는 것을 생존에 중요한 것이라 여기고, 또 생존에 중요한 것에 모든 에너지와 사고력을 집중하도록 진화했다. 이러한 지점을 이해하고 있다면, 운동을 떠나 뭐든지 하고 싶은 게 생겼을 때 그에 대한 생각을 반복적으로 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장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는 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