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한의 핵 도발.협상 요인 연구 (사례분석의 함의와 향후 북핵정책 방향, 세종연구소 세종정책총서 2018-2)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88974295516
· 쪽수 : 165쪽
· 출판일 : 2018-02-05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88974295516
· 쪽수 : 165쪽
· 출판일 : 2018-02-05
책 소개
한국과 미국의 대북정책이 북한의 대외정책에 결정적인 영향은 아니더라도 상당한 영향을 미쳐왔다는 점에 주목해 북한의 핵 개발과 도발, 협상 및 합의에 나서려는 태도 변화, 협상 전략 등이 무엇에 의해, 어떻게 그리고 어떤 계기와 시점에 이루어지는 지를 연구하려고 한다.
목차
제1장 들어가는 글
제2장 연구방법 / 9
1. 분석 방법
2. 분석 사례 선정
제3장 사례별 한국과 미국의 대북정책과 북한의 핵정책 전환 / 21
1. 북한의 NPT 탈퇴(1993.3)와 제네바 합의(1994.10)
2. 북한의 대포동미사일 발사(1998.8.31.)-페리 보고서 발표(1999.10; 2000.6 남북정상회담; 2000.10 올브라이트 국무장관 방북)
3. 존 켈리 평양 방문에 따른 2차 북핵위기(2002.10.4.)와 9.19 공동성명 도출(2005.9.19.)
4. 북한의 장거리미사일발사 및 핵 실험(2006.7.5.-10.9)과 2.13합의(2007.2)
5. 북한의 장거리로켓발사(2009.4; 2009.5 2차 핵실험)와 클린턴 방북 후 북한의 북.미 대화모색(2009.8-12)
6. 북한의 장거리로켓발사(2012.4 & 2013.2 3차 핵실험; 안보리 제재 후 정면 대결)
7. 북한의 4차 핵실험(2016.1.6.; 2016.2.7. 장거리로켓 발사; 2016.9.9. 5차 핵실험)
제4장 한국과 미국의 대북정책 관련 사례분석의 종합적 함의 / 117
1. 북한의 도발
2. 북한의 협상 또는 타협 추구
제5장 향후 북핵정책 방향 / 133
1. 기본 방향
2. 북핵 협상전략 : 북한의 핵 포기 결단 유도방안
참고문헌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