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외교정책론

현대외교정책론

(제3판)

김명섭, 김계동, 홍현익, 이상환, 이신화, 최진우, 전재성, 남궁곤, 윤진표, 신범식, 김태효, 마상윤, 유진석, 이근욱, 차창훈, 인남식, 조양현 (지은이)
명인문화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외교정책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외교정책론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92803847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16-03-07

책 소개

외교정책에 대하여 이론별, 분야별, 국가별 외교정책을 상세히 소개한다. 특히 2007년에 처음 출간되어 2012년에 개정 2판, 2016년에 개정 3판으로 출간된 이 책은 외교정책 분야의 국내 최고의 전문 학자들이 참여하여 집필함으로써 전문성을 두루 갖추고 있다.

목차

서문 _ xiv

1부 │ 외교정책의 이론
1장 외교정책 연구의 역사와 이론의 발전 _ 3
1. 서론 _ 3
2. 냉전기 외교정책 연구의 시작 _ 6
3. 냉전기 외교정책 연구의 발전 _ 8
4. 탈냉전기와 21세기 외교정책 연구의 변화 _ 11
1) 냉전의 종식과 외교정책 연구의 변화 11
2) 21세기 민주화, 정보화의 진행과 외교정책 연구의 변화 12
3) 양면게임이론 15
4) 21세기 외교의 출현과 외교정책의 미래 17
5. 결론 _ 20
토의주제 21
참고문헌 21

2장 외교정책결정요인 _ 23
1. 서론: 외교정책결정요인이란? _ 23
2. 분석수준에 따른 외교정책결정요인 분류 _ 24
3. 국제체제수준의 결정요인 _ 28
1) 힘의 분배 28
2) 상호의존 30
3) 종속 31
4) 정체성과 규범 32
4. 국가·사회수준의 결정요인 _ 33
1) 국가의 성격 34
2) 정부유형 35
3) 사회적 요구 36
5. 정책결정 집단수준의 결정요인 _ 38
1) 제도와 조직 38
2) 관료정치 39
3) 집단사고 40
6. 정책결정자수준의 결정요인 _ 42
1) 개인특성 43
2) 인지 44
7. 결론: 외교정책결정요인과 외교정책 _ 45
1) 외교정책결정요인과 정책결정과정 45
2) 외교정책결정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46
3) 외교정책결정요인과 외교정책 행위자 48
토의주제 50
참고문헌 50

3장 국내정치와 외교정책 _ 52
1. 서론 _ 52
2. 외교정책론과 국내정치 요인: 역사적 조망 _ 53
1) 현실주의 패러다임에서의 국내정치 54
2) 외교정책론의 등장과 국내정치 요인 56
3. 국내정치 요인에 관한 대표적 이론들 _ 58
1) 정부형태와 외교정책 58
2) 관료정치모델 67
3) 여론 69
4) 국내적 불안정과 대외적 무력사용 73
5)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연계 76
4. 외교정책결정의 국내정치 요인과 한국외교정책 _ 82
5. 결론 _ 84
토의주제 85
참고문헌 86

4장 국제정치와 외교정책 _ 89
1. 서론 _ 89
2. 국가이익과 외교정책 _ 90
1) 국가이익의 개념 90
2) 국가이익 개념의 학문적 유용성과 국제정치학 91
3) 국가이익과 국제정치에서 나타나는 전략적 상호관계 94
3. 외교정책결정과 국제정치 _ 95
1) 국제정치이론과 외교정책이론 95
2)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의 관계 97
4. 국제정치학의 외교정책 설명 _ 99
1) 외교정책의 공격성향에 대한 이론적 설명 99
2) 무역과 환율정책에 대한 이론적 설명 101
5. 국제정치이론과 외교정책 사안 _ 106
1) 한국전쟁 평화조약의 필요성 106
2) 포용정책의 이론적 내용 107
3) 다자주의 외교의 효율성 109
6. 결론: 외교정책 분석에 대한 국제정치이론의 공헌 가능성 _ 110
토의주제 112
참고문헌 112

2부 │ 외교정책의 주요 영역과 이슈
5장 군사안보외교 _ 117
1. 서론 _ 117
2. 안보개념의 지속성과 변화 _ 118
1) 생존을 위한 경쟁 118
2) 공존을 위한 협력 122
3. 안보이론과 안보정책 _ 126
1) 전쟁과 평화 126
2) 민주주의와 국제규범 131
4. 한국 안보정책의 과제 _ 135
5. 결론 _ 137
토의주제 138
참고문헌 138

6장 통상외교 _ 141
1. 서론: 국제정치경제와 통상 _ 141
2. 전후 국제정치경제 질서 및 통상관계의 변화 _ 142
3. 국제통상관계와 외교 시각 _ 145
4. 국제통상관계와 외교 이슈 _ 151
1) 한국과 미국 간의 자유무역협정(FTA) 157
2) 각국 통상외교(정책) 비교 159
5. 결론: 경제통합과 통상외교 _ 161
토의주제 163
참고문헌 163

7장 문화외교/공공외교 _ 166
1. 국가와 문화 _ 166
2. 국제문화관계와 문화외교 _ 167
3. 국가적 매력과 문화/공공외교 _ 170
4. 외교정책과 종교/언어 _ 173
5. 문화재와 문화외교 _ 175
6. 공공외교 _ 178
토의주제 181
참고문헌 181

8장 국제기구외교 _ 184
1. 서론 _ 184
2. 다자외교정책과 국제기구외교의 이론적 고찰 _ 186
1) 다자외교정책의 개념과 특성 186
2) 국제기구외교의 이론적 토대 188
3. 유엔외교의 발전과정 _ 193
1) 유엔의 역할과 적실성 193
2) 유엔과 미국의 관계 197
3) 동북아국가들의 대(對)유엔외교 200
4. 지역협력체와 지역통합 _ 206
1) 유럽과 지역협력기구 206
2) 동북아시아와 지역협력기구 208
3) 아프리카와 지역협력기구 209
4) 지역통합을 위한 지역기구의 역할 210
5. 결론 _ 212
토의주제 215
참고문헌 216

3부 │ 국가 및 지역별 외교정책
9장 한국의 외교정책 _ 221
1. 서론 _ 221
2. 한국의 외교정책 환경 _ 222
1) 강대국들로 둘러싸인 한반도 222
2) 무한경쟁의 국제질서 223
3) 미국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전략 224
4) 긴장과 대립이 잠재된 동북아 안보정세 226
5) 남북관계 231
3. 한국외교정책의 목표, 전개와 과제, 그리고 외교정책결정구조 _ 232
1) 한국외교정책의 목표 232
2) 한국외교정책의 전개와 과제 234
3) 한국의 외교정책결정구조 241
4. 21세기 한국의 외교정책과 동북아관계 _ 243
5. 결론 _ 245
토의주제 248
참고문헌 248

10장 북한의 외교정책 _ 250
1. 서론 _ 250
2. 북한외교의 환경과 정책결정체계 _ 251
1) 국제적 환경 252
2) 국내적 환경 253
3) 외교정책결정 및 집행체계 258
3. 북한외교정책의 목표와 성격 _ 261
1) 북한외교정책의 이념과 기조 261
2) 북한외교정책의 이중성 262
4. 북한외교정책의 변천 _ 264
1) 냉전시대의 북한외교정책: 진영외교, 자주외교, 다변외교 264
2) 탈냉전 이후 생존을 위한 외교활로 모색: 개방과 핵외교 267
5. 21세기 북한외교정책의 쟁점과 과제: 이중성의 지속과 변화 _ 270
1) 실용적 외교: 개방·개혁을 기반으로 한 전방위 외교 271
2) 벼랑끝외교: 체제보장을 위한 강경정책의 모색 275
3) 김정은외교의 지속과 변화 283
6. 결론 _ 287
토의주제 289
참고문헌 289

11장 미국의 외교정책 _ 292
1. 서론 _ 292
2. 외교정책 환경 _ 293
1) 대통령 295
2) 관료기구 297
3) 의회의 견제와 도전 300
4) 이익집단과 여론 303
3. 외교정책의 목표와 방향 _ 307
1) 미국 예외주의 309
2) 현실주의와 이상주의 311
3) 고립주의와 국제주의 314
4. 21세기 미국외교정책과 한국 _ 317
1) 9·11의 충격과 대테러전쟁 317
2) 21세기 미국의 동아시아 및 한반도정책 324
5. 결론 _ 330
토의주제 332
참고문헌 333

12장 일본의 외교정책 _ 336
1. 서론 _ 336
2. 외교정책 환경 _ 338
1) 국내외적 환경 338
2) 외교정책결정의 주요 행위자 341
3) 외교정책결정과정 345
3. 외교정책의 목표와 방향 _ 347
1) 이론적 고찰 347
2) 냉전기 경제중심 노선 351
3) 탈냉전 이후 보통국가화와 일본외교 357
4. 21세기 일본외교정책과 한국 _ 366
1) 일본의 대한반도정책과 한일관계 366
2) 21세기 일본외교정책과 한반도·동아시아 질서에의 함의 369
5. 결론 _ 370
토의주제 371
참고문헌 372
추천문헌 376

13장 중국의 외교정책 _ 377
1. 서론 _ 377
2. 외교정책 환경 _ 379
1) 국내적 환경 379
2) 국제적 환경 389
3. 외교정책의 목표와 방향 _ 398
1) 외교정책결정구조와 과정 398
2) 중국외교정책의 전략과 목표 402
3) 세계화와 중국외교정책의 과제 405
4. 결론: 21세기 중국의 외교정책과 한국 _ 407
토의주제 410
참고문헌 411
추천문헌 414

14장 러시아의 외교정책 _ 415
1. 서론 _ 415
2. 러시아외교의 국내적 환경과 정책결정체계 _ 418
1) 정체성 논쟁과 외교지향성 각축 418
2) 러시아 외교정책결정체계 423
3. 러시아외교의 지전략적 목표와 대안들 _ 425
1) 지전략적 대안들 425
2) 러시아외교에 나타난 지전략적 중심 이동 433
4. 러시아외교의 전개 _ 436
5. 러시아의 신(新)동방정책과 한반도 _ 444
토의주제 450
참고문헌 451

15장 EU의 외교정책 _ 454
1. 서론 _ 454
2. 외교정책 주체로서의 EU _ 457
1) EU의 발전과정 457
2) EU와 국제기구와의 차별성과 국가성 458
3. EU외교정책의 발전 _ 461
1) EU외교정책의 태동기: 초창기 외교안보협력의 실패와 유럽정치협력의 등장
461
2) EU외교정책의 제도적 기반 조성 464
3) EU의 독자적 안보역량 구축: 쌩 말로선언과 쾰른정상회담 468
4) EU의 법인격 획득과 외교안보정책의 강화: 유럽헌법조약의 무산과
리스본조약의 발효 471
4. 21세기 EU와 한반도 _ 473
1) 한-EU 협력관계의 발전 475
2) EU의 대북한정책 477
5. 결론 _ 479
토의주제 481
참고문헌 481

16장 ASEAN의 외교정책 _ 483
1. 서론 _ 483
2. ASEAN외교정책의 변천 _ 485
1) 1967년 설립 이후 1997년 동아시아경제위기까지의 아세안 485
2) 1997년 경제위기 이후 현재까지의 아세안 493
3. ASEAN외교정책의 특징과 방향 _ 500
1) 아세안 조직과 운영의 특징 500
2) 아세안공동체 달성을 향한 노력 505
4. 21세기 ASEAN과 한국의 외교 _ 509
5. 결론 _ 514
토의주제 516
참고문헌 516

17장 중동의 외교정책 _ 519
1. 서론 _ 519
2. 중동지역 외교환경 _ 522
1) 분쟁의 만연화 522
2) 정치체제의 다양성 524
3) 복합적 정체성 525
4) 미국 중동정책의 변화 525
3. 정체성 기반의 다자외교 _ 527
1) 부족(까빌리야)기반 외교: 사우디 주도 걸프협력회의(GCC) 527
2) 아랍(까우미야)기반 외교: 이집트 주도 아랍연맹(AL) 529
3) 종교(Ummah)기반 외교: 사우디 주도 이슬람협력기구(OIC) 532
4. 중동 주요 국가의 외교정책 _ 535
1) 사우디아라비아: 현상유지 535
2) 이란: 지역 패권 추구 536
3) 터키: 조정 역할 자임 536
4) 이스라엘: 역내 고립 탈피 및 평화 협상 추진 537
5. 한국의 대중동외교 _ 537
1) 중동의 외교적 의미 537
2) 중동외교의 미래 538
6. 결론 _ 539
토의주제 540
참고문헌 541

집필진 소개 _ 542
도해목차

해설
1.1 민주화, 정보화 시대의 외교혁명 15
2.1 로즈나우의 예비이론 27
2.2 미국 예외주의 35
2.3 쿠바미사일위기 41
2.4 피그만 공습 사건 42
2.5 애국심 고양현상과 희생양 가설 47
3.1 “정쟁은 국경 앞에서 멈춘다” 56
3.2 미 대통령들의 민주평화론에 대한 언급 61
3.3 “어디에 서는지는 어디에 앉아 있는지에 달려있다” 67
3.4 리프만이 본 미국외교정책에서의 여론의 역할 70
3.5 윈셋(Winset) 80
4.1 독일에 대한 유럽 국가들의 대응 93
4.2 전쟁의 원인에 대한 국제정치이론의 접근 96
4.3 합리성 가정 97
4.4 보호무역의 원인 103
4.5 환율과 무역에 대한 일반인들의 태도 105
5.1 사라예보 사건 128
6.1 자유무역주의 대 보호무역주의 148
6.2 신보호무역주의 149
6.3 TPP와 RCEP 153
6.4 국제정치경제 시각 154
6.5 AIIB 155
7.1 한국의 매력수준은? 172
7.2 문화재 반환이 이루어진 주요 사례들 177
8.1 국제법 190
8.2 유엔의 주요기구 197
8.3 워싱턴 컨센서스와 베이징 컨센서스 203
11.1 두개의 대통령직 296
11.2 베트남전쟁 300
11.3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CTBT) 302
11.4 군산복합체의 영향력에 대한 아이젠하워의 경고 305
11.5 CNN 효과 306
11.6 씽크탱크 308
11.7 윌슨의 ‘민주주의의 안전을 위하여’ 연설 312
11.8 워싱턴의 해외연루에 대한 경고 315
11.9 부시의 ‘악의 축’ 연설 328
12.1 점령정책과 역코스 352
12.2 동아시아의 기적 356
12.3 미일안보조약과 집단적 자위권 360
13.1 천안문사건 381
13.2 문화대혁명 384
13.3 남경대학살 385
15.1 빈 의자의 위기 458
15.2 유럽연합의 주요 기구와 의사결정제도 460
15.3 EU법과 회원국 국내법의 관계 461
15.4 가중다수결 466
16.1 수카르노 487
16.2 베트남전쟁 488
16.3 캄보디아 사태 490
16.4 아시아경제위기 494
16.5 아세안공동체의 비전과 목표 500
16.6 아세안 중심성과 연계성 506
17.1 중동전쟁 522
17.2 아랍정체성 530


표 6.1 국제통상관계와 거시적 시각 147
표 6.2 국제통상관계와 미시적 시각 150
표 6.3 국제통상관계와 다자외교 이슈 157
표 7.1 매력국가와 매력개인의 상관성 171
표 7.2 공공외교와 상품브랜드전략 180
표 9.1 2014년 동북아시아 각국의 국력 비교 224
표 10.1 1992년 이후 북한의 식량 수급 현황 254
표 10.2 북한의 개방 시도 271
표 11.1 세계 주요국의 군사력 비교 294
표 11.2 국민총생산 비교 294
표 11.3 예외주의가 반영된 미국대통령의 발언 310
표 13.1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2012년 제18대 전당대회 이후) 383
표 13.2 중국의 주요 무역 상대국 393
표 14.1 러시아 정부조직 424
표 14.2 러시아의 지전략적 선택의 대안들 426
표 14.3 소련(말기)~러시아의 대외정책 및 전략의 변천 435
표 15.1 유럽연합 회원국 가입 연월일 459
표 16.1 아세안 회원국 관련 주요 통계 485
표 16.2 아세안정상회의(ASM) 역사 503
표 16.3 한국의 대아세안 교역 현황 509
표 16.4 한국의 대아세안 관계 발전 주요 일지 510
표 16.5 최근 한국과 아세안 주요 협력사업 내용 512
표 17.1 OIC 회원국 현황 534
표 17.2 한국군 해외파병 현황 538

도표
도표 1.1 외교정책결정과정의 종합적 이해 20
도표 2.1 분석수준에 따른 외교정책결정 모형 46
도표 8.1 국제기구의 수적 팽창, 1909~2015년 194
도표 9.1 청와대의 국가안보 및 외교정책 업무 조직도 242
도표 11.1 미국외교정책결정의 국내적 요인 295
도표 13.1 중국의 외교정책결정구조 399
도표 16.1 아세안 조직 501
도표 17.1 종파 분포도 524

개념풀이
4개 현대화 390
결집효과 73
공세적 현실주의 129
괌독트린과 주한미군 감축 225
국제레짐 391
글로벌 거버넌스 18
나토(NATO)의 동진(東進) 423
동남아연합 486
링구아 프랑카(lingua franca) 174
마샬플랜 41
마필린도 486
문화적 예외와 문화다양성 175
비대칭 위협 131
시니피앙 / 시니피에 168
신보수주의 319
신안전개념 407
아세안지역포럼(ARF) 492
아세안친선협약선언과 동남아우호협력조약 489
양면게임 16
연무 494
웨스트팔리아체제(Westphalian System) 119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428
유라시아주의(Eurasianism) 418
인간안보 124
인식공동체 397
자유무역협정·경제연대협정 359
전면적 소강사회 405
전수방위(專守防衛) 354
정부개발원조(ODA) 348
조작적 코드 44
중국위협론 404
지전략(地戰略) 416
편승정책 409
평화·자유와 중립지대 488
하방(下放) 381
해상교통로(SLOC) 방위계획 340

지도
지도 13.1 중화인민공화국 389
지도 16.1 ASEAN 회원국 484
지도 17.1 중동국가 지도 521

저자소개

김명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Paris 1 Panth?on-Sorbonne 대학교 박사 제19대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국제학술지 Geopolitics 편집위원 연세대 통일연구소장, 이승만연구원장 역임 [주요 논저]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및 ICAS 한국어 우수 학술도서상을 받은 『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을 비롯 “Two Koreas in International History”, Northeast Asia and the Two Koreas(공저),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공저)』, 『한국외 교사와 국제정치학(공저)』, 『해방전후사의 인식(공저)』, 『한국사(공저, 국사편찬위원회)』, 『푸랜시스카 사진의 한국사 I』 등과 『한국정치외교사논총』, 『한국정치학회보』, 『국제정치논총』,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Issues and Studies, Korea Observer, Pacific Focus, 『韓國硏究論叢』 (復旦大學韓國硏究中心) 등에 게재한 논문들이 있다.
펼치기
김계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옥스퍼드대 정치학 박사 현 건국대 안보·재난관리학과 초빙교수 연세대 교수 국가정보대학원 교수(교수실장)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외교부 국립외교원 명예교수 한국전쟁학회 회장/한국정치학회 부회장/국가정보학회 부회장/국제정치학회 이사 국가안보회의(NSC)/민주평통 자문회의/국군기무사/군사편찬연구소 자문위원 연세대, 고려대, 경희대, 성신여대, 국민대, 숭실대, 숙명여대, 동국대, 통일교육원 강사 역임 [주요 논저] Foreign Intervention in Korea (Dartmouth Publishing Company) 『남북한 체제통합론: 이론, 역사, 정책, 경험, 제2판』 (명인문화사) 『남북한 국가관계 구상』 (명인문화사) 『북한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협상과 도전의 전략적 선택』 (명인문화사) 『한반도 분단, 누구의 책임인가?』 (명인문화사) 『한국전쟁, 불가피한 선택이였나』 (명인문화사) 『현대유럽정치론: 정치의 통합과 통합의 정치』 (서울대학교출판부) “다자안보기구의 유형별 비교연구: 유럽통합과정에서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한반도 분단·전쟁에 대한 주변국의 정책: 세력균형이론을 분석틀로” (한국정치학회보) “한미동맹관계의 재조명: 동맹이론을 분석틀로” (국제정치논총) “남북한 체제통합: 이론과 실제” (국제정치논총) “북한의 대미정책: 적대에서 협력관계로의 전환모색” (국제정치논총) “국제평화기구로서 유엔역할의 한계” (국제정치논총) “강대국 군사개입의 국내정치적 영향: 한국전쟁시 미국의 이대통령 제거 계획” (국제정치논총) 외 다수
펼치기
이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사항 미시간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정치학박사(Ph.D.) 미시간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정치학석사(M.A.)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사(B.A.) 일반 경력사항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교육부(한국연구재단) 대학혁신통합사업관리위원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편집장(Editor-in-Chief) (역임)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행정언론대학원장/연구산학협력단장/학생복지처장/글로벌정치연구소장/외무고시반 지도교수 등 미시간주립대학교 아시아연구센터 풀브라이트방문학자(Fulbright Visiting Scholar) 한국연구재단 정치학분야 RB 한국국제교류재단 글로벌시티즌십 프로그램 사업 주관교수 한국국제교류재단 공공외교역량강화대학 사업 주관교수 제24회 세계모의유엔대회(Harvard-HUFS WorldMUN) 주관교수 제17회 전국대학생모의유엔대회(한국외대) 주관교수 대통령 외교안보자문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민권익위원회 자문위원 미래창조과학부 국제화사업추진위원 한국도핑방지위원회 국제위원 국립외교원 설립 추진위원 서울동부지역 산학단장협의회 회장 국립 창원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육군 정훈장교(중위)로 군복무 학회 경력사항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 한국정치정보학회 회장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정회원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정회원(Governing Board Member,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Committee) Midwest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정회원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정회원 기타 경력사항 외무-행정-입법-사법고등고시 출제/채점/검토/면접 위원 법학적성시험(LEET) 출제위원 대입 수학능력시험 기획/출제/검토자문 위원 중등교사임용시험 출제/검토 위원 중등교과서(정치와법/법과정치/정치) 검정/연구 위원, 심의위원장 교육부 대학평가위원(장)(대학혁신사업·에이스사업·링크사업·대학구조개혁평가 등) 수상 한국외국어대학교 우수교원표창(연구업적, 2004-2005-2006-2007-2008) 연구실적 “패권과 패권국, 그리고 글로벌 패권질서: 미·중 패권경쟁의 동학” 「정치정보연구」 26-2 (2023). “세계화와 탈세계화 그리고 국제관계의 변화” 「정치정보연구」 25-3 (2022). “미국·중국 간 통화 패권경쟁과 국제정치경제질서 전망” 「정치정보연구」 24-3 (2021). “Post COVID-19 시대의 국제정치: 탈세계화, 디지털화 그리고 신냉전 질서의 도래” 「정치정보연구」 23-3 (2020). “The United States and Asia in 2023: In Search of Global Shared Interests” Asian Survey 64-2 (2024),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CA, USA). “The United States and Asia in 2022: Looking for Shared Values or Interests” Asian Survey 63-2 (2023),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CA, USA). 외 국영문 연구논문 120여 편. 「국제관계개론」. 박영사 (2022). 「글로벌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HUINE (2022). 「국제정치경제: 시각과 쟁점」. 박영사 (2021). Issues and Perspectives in the Korean Peace Process.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tudies, HUINE (2021). 외 국영문 저역서 40여 권.
펼치기
이신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유엔사무총장 평화구축기금 자문위원. 이화여대 영어영문학과 졸업 후 메릴랜드대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 국제관계연구원CFIA 포스트닥 이후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 아프리카지역관, 유엔 르완다 독립조사위 특별자문관, 프린스턴대 초빙교수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불평등과 민주주의』가 있다.
펼치기
최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소장, (前) 한국정치학회 회장, (前) 한국유럽학회 회장 미국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정치학 박사 전공 분야: 국제정치, 유럽정치, 비교정치 대표 논저: “What Kind of Power is the EU? The EU’s Policies toward North Korea’s WMD Programs and the Debate about EU’s Role in the Security Arena”(2019, 공저), 「지역의 선택: 우크라이나와 몰도바의 국내정치와 지역무역협정 정책」(2018, 공저), 「하니문의 동학(動學)과 구조의 정학(靜學): 문재인 정부의 외교정책, 변화와 연속성」(2018), 『다양성의 시대, 환대를 말하다: 이론, 제도, 실천』(2018, 책임편저), 『호모 쿨투랄리스, 문화적 인간과 인간적 문화』(2018, 책임편저)
펼치기
전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자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이다.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21),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장,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직을 맡은 바 있다. 일본 게이오 대학교 방문교수를 2년 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사, 동아시아 안보론, 한국외교정책 등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석사를 거쳐,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으로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는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 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서울: 한울, 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정치는 도덕적인가: 라인홀드 니버의 초월적 국제정치사상』(서울: 한길사, 2012), 『동아시아 국제정치: 역사에서 이론으로』(서울: 동아시아연구원,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남궁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커네티컷대학교(University of Connecticut)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일보 21세기평화연구소 연구위원과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근대국제질서와 한반도』(공저, 2003),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공저, 2004), 『21세기 미국의 거버넌스』(공저, 2004),『네오콘 프로젝트』(편저, 2005),『한국 외교정책: 역사와 쟁점』(공편, 2010) 등이 있다.
펼치기
윤진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정치학박사 2022. 『신남방정책 평가와 개선방향』 (공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1. 『한-아세안 청년 상호인식조사』 (편저, 한아세안센터) 2020. 『현대 동남아의 이해』 (서울: 명인문화사) 2020. 『2020 동아시아 전략평가』 (공저, 동아시아안보전략연구회)
펼치기
신범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러시아 국립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 『국제 안보환경의 도전과 한반도』,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러시아의 사이버안보』(2021),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이동』,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 “Russia’s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Politics, A Comparison of Liberalist, Realist and Geopolitical Paradigms” 등이 있다.
펼치기
신범식의 다른 책 >
김태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필자는 2005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아시아연구소 부소장과 계간학술지 <신아세아(New Asia)>의 편집인이기도 하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2000-2001), 외교부 외교안보연 구원(현 국립외교원) 조교수(2002-2005), 대통령 대외전략비 서관(2008-2011), 대통령 대외전략기획관(2012), 성균관대 국가전략대학원 원장(2015)을 역임했다. 필자의 연구 화두는 국제정치이론이 어떻게 외교정책에 투영되고, 정책 현장이 다시 이론의 진화를 어떻게 자극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70여 편의 학술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했고, ??현대외교정책론??을 공동 집필했다.
펼치기
김태효의 다른 책 >
마상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외교학과 졸업 서울대 외교학 석사 옥스퍼드대 국제정치학 박사 현 가톨릭대 국제학부 교수통일부 정책자문위원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 외교부 외교전략기획관 브루킹스연구소 객원연구원 역임 [주요논저] 『한국 문제에 대한 제네바회의』 (국립외교원) 『한미일중 100년 II: 냉전 해체와 중국의 부상』 (공저, 일조각) 『세계질서의 미래』 (역저, 명인문화사) “미중 경쟁과 한국의 대응: 냉전의 역사로부터 교훈 찾기” 『한국과 국제정치』 “Risk and Threat Perception in the Indo-Pacific: Republic of Korea” (Konrad Adenauer Stiftung) 외 다수
펼치기
이근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 및 군사동맹에 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단독 저서로 『왈츠 이후: 국제정치이론의 변화와 발전』, 『냉전: 20세기 후반의 국제정치』, 『쿠바 미사일 위기: 냉전기간 가장 위험한 순간』, 『이라크전쟁: 부시의 침공에서 오바마의 철군, 그리고 IS 전쟁까지』, 『아프가니스탄전쟁: 9.11 테러 이후 20년』 등이 있다.
펼치기
차창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정치, 국제정치 전공. 영국 Warwick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부산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성과로 『동아시아 거버넌스』(공저, 2004), 『현대 외교정책론』(공저, 2012), 『거버닝 차이나』(공역, 2013), “China’s Search for Ideological Values in World Politics: Chinese Adaptation to Liberal Order Drawn from Political Report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ongress since 1977”(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차창훈의 다른 책 >
인남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