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74355609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21-03-08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머리말
서론
1. 공동서신 안에서 요한일서의 위치
2. 요한서신 속의 ‘적대자들’
3. 요한서신과 사도 요한
4. 요한서신의 문학적 구조
5. 신약에 나타난 코이노니아 관련 용어의 사용
제1장 코이노니아, 탄생과 소속(1:1-10)
1. 근거(1:1-2)
2. 탄생(1:3-4)
3. 문제(1:5-6, 8, 10)
4. 해법(1:7, 9)
제2장 코이노니아, 보장과 확증(2:1-27)
1. 보장(2:1-2)
2. 확증(2:3-11)
3. 승리[a](2:12-14)
4. 사랑[a](2:15-17)
5. 경계(2:18-23)
6. 확신(2:24-27)
제3장 코이노니아, 성화와 사랑(2:28-3:24)
1. 성화(2:28-3:3)
2. 능력(3:4-9)
3. 사랑[b](3:10-16)
4. 소통(3:17-24)
제4장 코이노니아, 사랑과 온전함(4:1-21)
1. 소속(4:1-6)
2. 사랑[c](4:7-10)
3. 온전함(4:11-21)
제5장 코이노니아, 승리와 지킴(5:1-21)
1. 승리[b](5:1-4)
2. 증거(5:5-9)
3. 영생(5:10-13)
4. 간구(5:14-17)
5. 지킴(5:18-21)
에필로그 코이노니아, 커버넌트의 성취를 통한, 코스모스의 회복
부록
요한일서 저자 사역
기초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래서 요한서신이 포함된 공동서신은 바울서신과 본질상 충돌하지 않으며 반(反)바울적이 아니라 비(非)바울적이라 할 수 있다. 공동서신은 바울서신과 함께 균형을 맞추며 서로 보완하는 관계에 놓여 있고, 이를 통해 초기 교회의 신학과 ‘신앙의 규범’(regula fidei)을 세워 나아가려 했던 결과인 것이다. 그런 점에서, 공동서신은 ‘믿음과 행함’에 관하여 바울의 복음을 오해하지 않도록 바로잡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로마라는 세상 속에 존재해야 했던 교회를 위한 정통 신학과 신앙을 제공한다
_ 서론. 1. 공동서신 안에서 요한일서의 위치
무엇보다, 요한서신이 제시하는 교회의 본질은 ‘코이노니아’라 할 수 있는데, 그것은 두 가지의 큰 신학적 축의 만남의 결과이다. 그 하나는 구약에서 이미 예언된 새 언약의 내용이 종말론적으로 성취된 결과로서 ‘코이노니아’이고, 다른 하나는 ‘묵시론적 이원론’을 배경으로 세상과 충돌하며 세상을 이기는 교회로서 ‘코이노니아’의 모습이다. 요한서신이 묘사하는 ‘코이노니아’로서의 교회는 ‘에클레시아’와 함께 교회의 정체성과 본질을 표현하는 또 다른 용어라 할 수 있다. 그 차이는, 에클레시아가 ‘…으로부터’(from) 부름 받아 나오게 된 언약 백성의 해방과 세상을 향한 제사장 나라의 사명을 가리킨다면, 코이노니아는 그래서 ‘…에로’(into) 이르게 된 삼위 하나님과의 교제의 삶과 그 영광의 본질적 내용을 가리키는 표현에 가깝다는 것이다. 예컨대 구약의 옛 언약 백성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이집트에서 나와 광야로 들어가게 된 것을 ‘에클레시아’라고 한다면, 그들이 결국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인 가나안으로 들어가 거기에 거(居)하며 누리게 되는 언약 백성의 특징적인 생명의 삶을 ‘코이노니아’라 할 수 있는 셈이다.
_ 서론. 1. 공동서신 안에서 요한일서의 위치
요한일서 1:1-4에서, 태초부터 ‘있어 온’ 생명의 말씀이나, 그 생명의 말씀이 아버지와 함께 ‘있어 온’이라 표현된 미완료형은, 영원 전부터 지금까지도 그런 관계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반면에, 그 생명의 말씀이나 영원한 생명이 ‘나타내신 바 되었다’(1:2)는 것은 부정 과거로, 뒤바꿀 수 없는 확정적인 사건을 표현한다. 마치 출애굽 사건이나 십자가와 부활 사건처럼, 그 확정적인 구속사적 사건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이 해방된 측면을 가리킨다. 그리고 무엇보다, ‘들었고, 보았고, 만졌다’(1:1-3)는 완료형의 표현들이나 ‘증거한다, 전한다’(1:2-3)에 사용된 현재형의 표현들은 모두, 그 나타내신 바 된 영원한 생명을 경험하고 누리고 나누는 차원, 곧 코이노니아의 현재적인 ‘교제의 차원’을 가리키는 표현들이다.
_ 제1장. 코이노니아, 탄생과 소속(1:1-10) 2. 코이노니아의 탄생(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