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2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2

(신학적이고 실천적인 적용)

김회권, 이도영, 이희철, 정지웅, 차정식, 채영삼, 천종호, 최은, 홍인식 (지은이), 고재백, 김상덕, 허고광, 문우일 (엮은이)
새물결플러스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26,100원 -10% 0원
0원
2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2 (신학적이고 실천적인 적용)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1292946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4-12-27

책 소개

기독교에 초점을 맞추어 신학계와 목회 및 다양한 사회 현장에서 활동하는 12명의 그리스도인 전문가가 각자의 경험과 통찰을 바탕으로 논의한 신학적이고 실천적인 제안을 담았다. 이 두 책은 기독교 교양서적이자 대학교 교양학부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목차

편집자 서문 9

총론

기독교의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어떻게 이 시대의 희망일 수 있는가 차정식 21

제1부 우리 시대 진단: 설문 조사 결과 및 분석

통계로 본 한국교회의 갈등과 용서에 대한 인식
김상덕 57

제2부 신학적 담론

구약성서 속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김회권 117

“군대 귀신 들린 자”의 치유 채영삼 157

용서의 경계
주기도문의 “용서”에 대한 오리게네스의 해석을 중심으로 문우일 197

해방신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홍인식 227

목회적 관점에서 본 개인적·공동체적·사회적 차원의 용서 이도영 265

제3부 실천적 담론

형사법적 정의와 용서 천종호 321

독일교회의 나치 시기 과거사 극복의 역사
독일교회의 사죄와 용서와 화해의 노력과 그 의의 고재백 379

용서와 화해
기독교상담의 시선에서 이희철 435

깨어진 세상이 교회에 기대하는 것
영화로 만나는 용서와 치유 최은 467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를 위한 기독교적 시선
통일 분야 정지웅 503

저자 소개(가나다순) 537
책임 편집자 소개 541

저자소개

채영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미국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마태복음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백석대 신학대학원에서 신약학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Jesus as the Eschatological Davidic Shepherd, 『긍휼의 목자 예수: 마태복음의 이해』, 『공동서신의 신학』 등이 있다.
펼치기
김회권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학사(B.A.),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M.Div.), 프린스턴신학원에서 성서학을 연구했다(Ph.D.). 현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하나님 나라 신학 강해 시리즈(『모세오경』,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하』, 『이사야 40-66장』, 『다니엘서』, 『요한복음』, 『사도행전 1, 2』), 『하나님의 도성, 그 빛과 그림자』, 『성서주석 21: 이사야 I | 대한기독교서회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현대인과 성서』, 『인문고전으로서의 구약성서 읽기』 등이 있다.
펼치기
정지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코리아통합연구원 연구위원 아신대학교 부교수 저서 & 논문 분단통일국과 한반도 통일-힘과 통합이론의 관점에서(박사논문) German Reun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Theory: From Functionalism to Neofunctionalism
펼치기
차정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B.A.)와 미국 맥코믹 신학대학원(M.Div.)에서 공부하고 시카고 대학교 신학부에서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현재 한일장신대학교 신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예수의 신학과 그 파문』, 『바울신학 탐구』, 『묵시의 하늘과 지혜의 땅』, 『신약성서의 사회경제사상』, 『뒤집어 읽는 신약성서』, 『무례한 복음』, 『신약성서와 창의적 설교』, 『예수 인문학』, 『신학의 스캔들, 스캔들의 신학』, 『예수와 신학적 인간학』, 『거꾸로 읽는 신약성서』 등이 있고 이 외에도 50여 권을 출간했다.
펼치기
이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공부했고,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NGO학과를 졸업했다. 안산동산교회의 부목사로 사역했고, 더불어숲동산교회를 개척하여 현재 “공교회성과 공동체성과 공공성을 회복하는 선교적 교회”라는 비전을 실천하고 있다. 현재 한국선교적교회네트워크(MCNK) 연구위원과 건강한 작은 교회 동역센터의 멤버, 생태마을공동체네트워크 실행위원과 생명신학포럼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기적을 만드는 1%의 힘』, 『내 생에 가장 아름다운 용기, 고백』, 『페어 처치』, 『성자와 혁명가』, 『코로나19 이후 시대와 한국교회의 과제』, 『탈성장 교회』 등이 있다.
펼치기
최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공부했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화이론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화평론가이며, 모두를위한기독교영화제 부집행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제인 오스틴 무비 클럽』을 출간했으며, 공저로는 『퇴근길 인문학 수업: 멈춤』, 『청소년 인문학수업 1』, 『교실밖 인문학 콘서트』, 『영화와 사회』, 『알고 누리는 영상문화』 등이 있다.
펼치기
천종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년범들을 법정에서 엄하게 꾸짖는 ‘호통 판사’, 자나 깨나 소년들 생각뿐이라는 뜻의 ‘만사소년’, 오랜 소년법원 판사 생활 중 얻는 ‘소년범의 대부’ 등 별명이 많다. 법의 잣대는 엄정하되 사회적 약자를 향한 따뜻한 시선을 지닐 때 세상이 좀 더 정의로워질 수 있다고 믿는다. 1965년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 박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일본 교토에서 장기해외연수를 거쳤다. 1994년 사법 시험에 합격했고, 1997년 부산지방법원 판사로 임관되었다. 부산고등법원, 창원지방법원, 부산가정법원, 부산지방법원, 대구지방법원을 거쳐 현재 부산지방법원 부장판사로 재직하고 있다. 환경재단에서 수여하는 ‘2014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에 선정되었고 2015년 제1회 ‘대한민국 법원의 날’ 대법원장 표창, 2017년 한국범죄방지재단 실천공로상, 2017년 현직 법관 최초 제12회 ‘영산법률문화상’, 2020년 보건복지부 옥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저서로는 《천종호 판사의 하나님 나라와 공동선》, 《천종호 판사의 선, 정의, 법》, 《천종호 판사의 예수 이야기》(이상 두란노),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2》(새물결플러스, 공저), 《내가 만난 소년에 대하여》, 《호통판사 천종호의 변명》(이상 우리학교) 등이 있다.
펼치기
홍인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파라과이 아순시온 대학교 경영학과와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아르헨티나 연합신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목사로서 중남미 선교사로 25년간 사역했고, 아르헨티나 연합신학대학, 쿠바 개신교신학대학, 멕시코 장로교신학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순천중앙교회 담임목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새길기독사회문화원(새길교회) 원장과 인터넷신문 에큐메니안 대표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홍인식 목사가 쉽게 쓴 해방신학 이야기』, 『창세기로 예배하다』, 『이집트 탈출기』, 『엘 까미난떼』 등이 있고, 역서로는 스페인 신학자 호세 마리아 마르도네스의 『우리 안의 가짜 하나님 죽이기』가 있다.
펼치기
이희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바이올라 대학교와 에모리 대학교에서 목회상담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GTU)에서 목회상담학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해외저널 Pastoral Psychology, Journal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nglican Theological Review 등에 기고했고, 주요 저서로 The Changing Faces of Shame: Culture, Therapy, and Pastoral Theology, 공저로는 『현대목회상담학자연구』, 『기독(목회)상담방법론』, 『예술신학 톺아보기』 등이 있고 역서로는 『앵그리 크리스천』이 있다.
펼치기
문우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화학을, 서울신학대학교와 시카고 대학교에서 신약학을 공부했고, 미국 클레어몬트 대학원대학교에서 요한복음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현재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참 쉬운 글쓰기』(2001), 역서로는 『알렉산드리아의 필론 작품집I 』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허고광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경제학과(B.A.), 미국 롱아일랜드 대학교 대학원(M.A.), 필리핀 산토 토마스 대학교 대학원(Ph.D.)에서 경제학을 공부했고, 백석대학교 대학원(Ph.D.)에서 기독교철학을 공부했다. 산토 토마스 대학원에서 강의했고,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겸임 교수로 재직했다. 한국은행 비서실장, 국제부장과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소 소장, 한국외환은행 상임감사와 대한화재해상보험(주) 상임감사 및 동서에프인 대표이사 등을 역임했고, 현재 에이치투그룹주식회사 상근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새로운 금융시장』과 『새로운 경제정의』가 있다.
펼치기
고재백 (엮은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 학사(B.A.),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석사(M.A.), 동 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독일 지겐 대학교에서 서양사와 기독교 역사를 공부하고(Dr.phil.), 현재 국민대학교 교양대학에서 조교수로 재직하면서 서울대학교의 강사와 기독인문학연구원의 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서양사와 기독교 역사를 다룬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저술했다.
펼치기
김상덕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학부에서 행정학을 공부했고,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평화를 위한 언론사진의 역할에 관한 공공신학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연구실장으로 근무했고, 현재 한신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저로 『정의로운 기독시민』, 『평화개념 연구』, 『대중문화와 영성』 등을 출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화해는 기독교의 최상 가치인 평화를 이루는 데 필요한 가장 중요한 선결 요소다. 화해 없이 평화 없다. 예수 그리스도가 이 땅에 성육신하여 십자가를 지고 뭇 인간의 죄를 대신 짊어지심으로 대속했다는 교리 신학적인 명제는 한마디로 “화해”의 사역으로 조명된다. 하나님은 이 땅의 타락한 인간들을 구원하고자 실낙원 이후 끊임없이 당신의 종들을 세워 그들로 당신의 말씀을 전파하게 했다. 그 정점에서 독생자 아들을 보내 그로써 인간의 모든 죄과를 담당할 희생제물을 삼아 십자가에 달려 죽게 하심으로 당신의 공의와 사랑을 확증했고, 그렇게 십자가를 통해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막힌 담을 허물어 화해의 길을 열어놓으셨다는 게 그 핵심 메시지다.
총론_ 기독교의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중에서


하나님의 회복적 정의는 냉혹한 합리주의와 창백한 공정성이 아니라 불합리한(?) 사랑의 원천이고, 납득할 수 없을 정도로 은혜로운 하나님의 자비인 것이다. 이 부조리할 정도로 지치지 않는 하나님의 사랑과 소진되지 않는 선(善)의지야말로 하나님의 회복적 정의의 진면목이다. 이 하나님의 회복적 정의가 야웨 하나님의 변함없는 진심이며 이 진심은 당신의 독생자를 십자가에 내어주는 사랑에서는 인간을 향한 일편단심(丹心)의 사랑으로 표현되었다.
제2부_구약성소 속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 중에서


한국교회의 약점 중 하나는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오직 개인적 차원의 회심과 신앙만을 이야기할 뿐 사회적 차원의 회심과 신앙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는다.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은 다르기 때문에 개인적인 변화가 아무리 일어난다고 해도 사회가 저절로 변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오직 개인적 변화에만 관심을 기울이다 보니 사회적 차원에는 제대로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제2부_목회적 관점에서 본 개인적·공동체적·사회적 차원의 용서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