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7435636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3-08-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신약성경,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제1장 계시로서의 성경
제1과 성경은 어떤 책이며,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1. ‘계시’로서의 성경
2. ‘계시’인 성경을 이해하는 일의 특수성
3. 겸손함과 부지런함으로
4. ‘코이노니아’ – 만남과 사귐의 성경 읽기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2과 찾아오시며, 살리시며, 알게 하시는 하나님 – 계시의 구분
1. ‘찾아오시는’ 하나님
2. 창조 계시와 구원 계시 ‒ 영역’에 따른 구분
3. ‘살리시고, 알게 하심’ ‒ 존재와 인식의 구원
4. 행동 계시와 말씀 계시 ‒ ‘방식’에 따른 구분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3과 계시의 ‘유기적이고 점진적인’ 성격과 성경의 구조
1. ‘유기적이고 점진적인’
2. 계시의 특징에 따른 ‘성경의 구조’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2장 언약의 개념과 옛 언약들
제4과 언약이란 무엇인가?
1. 하나님은 왜 ‘언약’으로 찾아오시는가?
2. ‘언약’의 의미, 구조와 공식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5과 옛 언약의 종류와 특징 (1) – 노아 언약과 아브라함 언약
1. 노아 언약 – ‘피조 세계의 회복과 창조의 완성’
2. 아브라함 언약 – ‘하나님의 백성의 형성과 열방의 회복’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6과 옛 언약의 종류와 특징 (2) – 모세 언약과 다윗 언약
1. 모세 언약 – ‘율법과 제사장 나라’
2. 다윗 언약 – ‘영원한 왕과 영원한 나라’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7과 새 언약의 특징과 내용
1. 새 언약이 ‘새로운’ 이유
2. 새 언약의 8가지 주요 내용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3장 새 언약의 성취와 신약성경
제8과 새 언약의 성취와 신약성경의 형성 – 사복음서
1. 약속과 성취 – 신약과 구약의 관계
2. 사복음서 – 예수 그리스도와 새 언약의 성취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9과 새 언약의 성취와 신약성경의 구조 – 사도행전, 서신서, 계시록
1. 사도행전, ‘새 언약 백성인 교회의 탄생과 성장’
2. 히브리서, ‘더 나은 새 언약과 흔들리지 않는 나라’
3. 공동서신, ‘마음에 심긴 말씀과 영원한 나라에 참여함’
4. 바울서신, ‘성령의 내주와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
5. 요한계시록, ‘세상의 심판과 새 하늘과 새 땅의 완성’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4장 새 언약의 성취와 신약의 8중 복음
제10과 신약의 8중 복음 (1)
1. ‘영원한 속죄’의 복음
2. ‘마음에 심긴 말씀’의 복음
3. ‘내주하시는 성령’의 복음
4. ‘거듭난 심령의 새롭게 된 양심’의 복음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11과 신약의 8중 복음 (2)
5. ‘말씀을 순종하는 새 백성’의 복음
6. ‘열방의 회복’의 복음
7. ‘하나님의 이름과 영광’의 복음
8. ‘새 하늘과 새 땅’의 복음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5장 새 언약의 성취와 하나님 나라
제12과 하나님 나라의 구성과 시기
1. 하나님 나라의 구성 요소와 언약의 성취
2. 하나님 나라는 언제 오는가? – ‘이미’와 ‘아직’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13과 하나님 나라의 통치의 내용 (1)
1. ‘지금, 여기’에 임한 하나님 나라
2. 하나님 나라의 통치의 내용
(1) 은혜의 통치 (2) 진리의 통치 (3) 성령의 통치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제14과 하나님 나라의 통치의 내용 (2)
(4) 생명의 통치 (5) 의와 화평의 통치 (6) 사랑의 통치
[이해와 나눔을 위한 질문]
에필로그: 새 언약 성취에 따른, 새 하늘과 새 땅의 복음
신약의 이해를 위한 단권 추천 도서 / 성구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방 종교에서는 인간이 하나님을 찾는다.” 즉, 이방 종교에서는 ‘인간이’ 하나님을 찾아 헤맨다. 우리는 ‘우리를 찾고 계신 하나님’에 대해 무지(無知)한 상태에서 태어나기 때문이다. 인간은 자기 자신이 마치 ‘적막한 우주를 떠도는 버려진 별이나 작은 먼지’ 같다고 느끼는 의식 상태를 갖고 태어난다. 성경은, 인간이 스스로를 그렇게 느끼는 것이 ‘죄’로 인해 겪는 ‘소외’(alienation)의 자각(自覺)임을 알려 준다. 이런 상태에서 인간은 스스로 하나님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나님은 존재하지 않거나, 있어도 무관심하거나, 혹은 진노와 심판을 위해 웅크리고 있는 어떤 낯선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성경을 보면, 하나님은 끊임없이 자비와 은혜로, 진리와 공의로, 무엇보다 긍휼과 사랑으로 자신의 피조물인 인간을, 그리고 피조 세계를 계속해서 찾아오신다. 처음부터 세상을 말씀으로 창조하시고, 그 말씀을 버린 인간과 그 세상을 또 말씀으로 찾아오신다. 선지자들의 예언을 통해서뿐 아니라, 여러 모양으로 나타나기도 하시고, 기적을 통해 찾아오기도 하신다. 성경은 ‘인간을 찾아오시는 하나님의 이야기’이다. _ <제2과 찾아오시며, 살리시며, 알게 하시는 하나님> 중에서
여기서 성경이 말하는 ‘언약’의 중요한 구조가 드러난다. 그것은, 성경적 언약은 그 언약을 성취하는 쌍방에게 ‘동일한 차원의 행위’를 요구한다기보다,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에 기초한 ‘비대칭의 신실함’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아브라함에게 약속의 말씀을 주신 분은 하나님이시며, 그런 제안부터가 ‘은혜’요 선물이다. 그리고 그 약속을 끝까지 성취하실 책임도 ‘하나님 자신’이 지신다. 이것이 하나님께서 제안하시는 언약이 ‘은혜’인 근본적인 이유이다.
하지만, 아브라함은 그 ‘은혜 안에서’ 하나님께서 주시는 ‘요구, 계명’ 즉 “너는 나의 약속을 믿고, 나를 신뢰하며,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창 12:4; 15:6; 17:1-4)라는 요구를 실행해야 할 의무를 갖게 된다. 그러니까 성경적인 언약의 특징적 구조는, ‘은혜와 요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 언약의 구조가 보여 주는 중대한 질서와 균형이 있다. _ <제4과 언약이란 무엇인가?> 중에서
새 언약은 아브라함 언약이 내다보았던 ‘열방의 회복’에 관한 약속을 보존하며 그것이 반드시 이루어지는 새로운 방식을 찾아낸다. 새 언약은 모세 언약이 공들여 이루고자 했던 ‘율법을 지키는 제사장 나라’의 설립이라는 목적을 강화하며, 그것을 반드시 성취할 새로운 방식을 모색한다. 그리고 새 언약은 다윗 언약이 약속했던 ‘영원한 왕권’을 이어받을 진정한 왕, 진정한 메시아를 준비할 것이며, 그를 통하여 반드시 ‘의와 화평’의 나라를 세울 하나님의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마침내 노아 언약이 내다보았던 대로, 다시 이 피조 세계가 에덴동산처럼 회복되는 새 창조가 어떻게 이루어질지에 관해서도 더욱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할 것이다.
하나님의 계시나 언약은 모두, ‘유기적’인 통일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또한 ‘점진적’으로 펼쳐지고 성취된다. 새 언약은 옛 언약들과 유기적인 통일성을 유지하면서도, 한 나무의 성장에 있어서 꽃이 잎사귀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생명의 발현이듯이, 또한 그 이전의 언약들에서는 볼 수 없었던 ‘점진적인’ 성격, 즉 전혀 다른 ‘불연속적’(discontinuity)인 차원을 드러낸다. 그러니까 새 언약이 ‘새로운’ 이유는, 옛 언약과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이 아니다. 본질적으로는 연속적이지만, 그 성장의 단계가 ‘전혀 다른 차원으로’ 전개되어 드러나기 때문이다. _ <제7과 새 언약의 특징과 내용>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