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74421717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00-01-10
책 소개
목차
제1부. 문화의 세기가 왔다
1. 문경 유착과 문화산업
2. 문화의 세기에 우리 문화는 어디에
3. 한글의 소멸 가능성
4. 주변부 문화와 문화적 다양성
5. 예술은 산업, 문화는 경제
제2부. 문화산업(1)
1. 꿈의 문화산업, 영화
2. 음반산업의 미래
3. 문화 벤처시대의 게임 소프트웨어
4. 만화산업은 21세기 황금산업
5. 캐릭터 산업의 부가가치
제3부. 문화산업(2)
1. 비디오산업 현황
2. 방송영상산업의 수출 전략
3. 패션 디자인의 문화상품화를 위하여
4. 전통공예산업의 현대화
5. 출판산업의 미래
제4부. 문화상품은 고부가가치 상품
1. 문화상품의 가치창조와 육성 방안
2. 김치도 문화상품인가
3. 한복의 세계화는 가능한가
4. 전통예술의 국제화
5. 내가 선정한 한국 상징 100대 문화상품
제5부. 공연예술에 대하여
1. 공연예술산업을 조명한다
2. 공연예술의 지원에 대하여
3. 문화 공간의 기능과 개선 방향
4.「난타」와 「용가리」
제6부. 문화의 인프라
1. 정신적 간접자본과 문화 인프라
2. 문화 기본법으로서의 저작권
3. 21세기 문화정책방향
4. 문화예술과 마케팅
5. 박물관과 미술관의 활성화에 대하여
6. 문화정보와 문화네트워크 확립
제7부. 문화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1. 남북 문화예술 교류는 통일의 기초작업
2. 일본 대중문화는 우리에게 해악인가
3. 한국 문화의 해외홍보
4. 매장문화재 훼손과 해외유출문화재 환수
5. 문화예술인의 정치 참여
6. 장묘문화도 통상마찰 부른다
제8부. 관광산업과 문화산업
1. 관광산업의 현황과 미래
2. 한국관광진흥의 당면과제
3. 역사문화관광을 위하여
4. 7대 문화관광권 진흥방안
5. 우리도 내셔널 트러스트운동을
제9부. 지식기반산업에 대하여
1. 지식기반 산업의 확충
2. 문화시대의 신지식인
3. 지식사회를 위한 인프라는 독서
4. 정보화 사회와 통신 언어
5. 한국의 정보화는 감시통제사회로 갈 것인가
6. 사이버 문화의 차가운 비생명성
7. 디지털 시대 문화예술의 지식경영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실 1990년대에 들어와 문화적 다양성은 '아래로부터의 개혁'처럼 드넓게 번져온 것이 사실이다. 기존의 제도권이나 문화의 관념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이른바 언더그라운드 문화'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 본문 34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