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74424688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07-08-30
책 소개
목차
서론 성장하는 아시아와 일본의 위치
PART 1 중국·인도의 성장으로 변화하는 아시아경제
중국·인도의 눈부신 대두 / 중국·인도의 성장이 아시아 전체를 활성화 / 아시아의 시장통합과 새로운 성장 메커니즘
PART 2 새로운 성장센터가 될 GMS
육지아세안과 바다아세안의 격차 / 극적인 변화가 예상되는 GMS / GMS에 빠르게 접근하는 중국의 목적 / 아세안 생산거점의 재편성 시작 / 위기감을 활용해 발전하는 아세안
PART 3 아시아 소비시장의 공략
소득상위층의 비율 / 젊은 세대가 중심이 된 중류층 / 브랜드 신화의 한계와 새로운 전략
PART 4 중국은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쫓기는 경제구조개혁 / 농촌문제의 개혁방향 / 성장을 제약하는 에너지와 환경 문제 / 지방정부에 의한 산업의 난개발 / 지역 간 연계 구상 / 자주창신(自主創新)에 몰두 / 당 내 민주화가 진행되고 있는 중국공산당 / 중국 구조개혁에 잠재한 리스크
PART 5 매력과 리스크가 혼재하는 인도 거대시장
안정성장이 정착 / 소비시장의 확대조짐 / 인도시장에서 약진하는 한국기업 / 인도시장을 공격하는 중국기업 / 리스크에 대한 ‘수비전략’도 중요
PART 6 2010년대 아시아와 일본의 역할
아시아가 기대하는 일본의 역할 / 아시아 전체를 좌우할 중국경제의 발전 지속성 / 일본기업의 아시아전략, 다섯 가지 시점
보충자료
인도에서 본 2010년대 아시아 / 베트남에서 본 2010년대 아시아 / 태국에서 본 2010년대 아시아
리뷰
책속에서
중국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으로부터 중간재 및 최종재를 대량으로 수입함으로써, 아시아 경제 활황에 커다란 원동력이 되고 있다. 앞으로는 인도 역시 또 하나의 거대 시장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중국과 인도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아세안이 직접적 혜택을 받게 될 전망이다. 중국과 인도의 시장 확대가 아시아 전체적인 성장을 이끌 것이다.-본문 중에서
소매 진출이 엄격하게 규제되어 있던 인도가 외국자본에도 51%까지 출자지분(단일 브랜드 판매 시)을 인정함으로써 앞으로는 이른바 직판을 주체로 한 판매체제가 구축될 것이다. 이러한 유통 면에서의 규제완화도 소비시장 확대의 견인역할을 할 것이다.-본문 중에서
신문보도 등을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중국의 성장으로 인해 아세안의 매력은 예전만큼 화제가 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통화위기 후, 아세안은 각국의 노력, 일본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지원 등으로 인해 이미 위기에 따른 영향을 극복해 가고 있다. 아세안경제는 견실한 성장궤도로 돌아와 생산력과 소비시장이 착실히 향상되고 있다.-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