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협상/설득/화술 > 설득
· ISBN : 9788974425913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09-08-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01 지적논리란 무엇인가
chapter 01 왜 지적논리가 필요한가
우리를 둘러싼 거대한 변화/개인 성격과 특성이 중요시 되고 있는 시대/논리적이고 깐깐한 사람들이 가진 의외의 사실
chapter 02 지적논리의 기초 ‘설득력’
설득력, 상대방을 납득시키는 힘/모든 지적논리의 기초는 설득력이다
chapter 03 설득력Ⅰ 상대에게 감동을 주는 기술
상대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말을 사용한다/상대에게 감동을 주는 말은 간단하지 않다?
chapter 04 설득력Ⅱ 논리적으로 말하는 기술
대화를 논리적으로 정리한다/바로 이것이 포인트 ‘처음 한마디’
Part 02 논리적으로 말하기 위한 기본 스킬
chapter 01 연역스킬을 익힌다
설득력을 한층 업그레이드 시키는 ‘연역스킬’/연역으로 말하는 기본 스킬/연역스킬을 사용하 면 왜 사람은 납득할까
chapter 02 연역스킬의 기초 훈련
해답
Part 03 연역을 일생생활 수준으로 사용한다
chapter 01 누구도 반론할 수 없는 ‘전제’를 설정한다
연역의 포인트는 전제/서로전제가 다른 대화는 시간이 걸린다/연역스킬의 함정
chapter 02 전제로 사용할 수 있는 사회상식
비즈니스 매너 편/ 일반교양은 강력한 전제/전문지식이 아니 일반교양이 모든 걸 설명한다/ 일반교양 증강시키기
chapter 03 전제로 사회상식을 이용한다
여러 가지 사회상식을 이용한다/전제, 사실, 결론의 관계/전제와 사실이 없으면 설득력이 떨 어진다/당연한 것이 당연한 것이 아닌 시대/전제의 생략
chapter 04 연역스킬의 중급 훈련
해답
Part 04 때와 장소를 읽는 연습
chapter 01 상황에 맞는 단어를 선택한다
분위기를 읽는 다는 건 상대의 ‘기대를 채워주는 것’
chapter 02 상대의 이해수준에 맞추어 단어를 선책한다
분위기를 읽는 두 가지 포인트/전문용어를 남발하는 사람/주위의 이해수준에 맞추어 말하는 요령/전문용어를 사용하지 않은 대화의 세 가지 포인트/아이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말한다
chapter 03 단어를 고르는 훈련
해답
Part 05 자신의 입장과 상황에 맞게 이야기하는 연습
chapter 01 자신의 입장과 상황에 맞게 말하는 방법
자신의 입장에 맞추어 말하는 방식을 바꾼다/자기 멋대로 입장을 바꿔서 말하면 어떻게 되는가
chapter 02 입장과 상황을 인식한 대화법 네 가지 요령
유학파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밀어붙이기식 논리’/기대를 저버리지 않아야 할 문화
chapter 03 자시의 입장과 상황을 인식하고 말하는 훈련
해답
에필로그
책속에서
시기적절한 발언으로 주위의 납득을 사는 방법은 일종의 도박과도 같다. 장소에 맞는 적절한 표현을 훌륭하게 생각해냈을 때는 그 장소의 분위기도 살리고 사람들을 납득시킬 수 있지만 만에 하나 그것이 틀어졌을 때는 주위가 썰렁해질 뿐만 아니라 당신에 대한 감정은 차갑게 식어 버릴 것이다.
상대에게 감동을 주는 말은 아무 때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더욱 안전하고 확실하게 상대방을 납득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과연 없는 것일까. 자, 지금부터 그 안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 Part 1 중에서
연역스킬의 강점은 어떤 사람이 들어도 ‘그건 당연하다’라고 생각하게끔 만드는 것이다. 모두가 납득하는 당연한 전제를 차곡차곡 던져놓으면서 결론을 이끌어 내기 때문에 아무도 반론할 수 없는 납득능력을 가지는 것이다. 다른 사람이 공유하지 못하는 이른바 자신만의 믿음을 전제로 설명하게 되면 누군가는 반드시 반론을 제기하게 된다.
자신만의 믿음은 술자리 등 편한 자리에서는 농담처럼 통할지 모르나 직장 내 업무공간에서는 상대가 당신의 이야기에 납득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당신의 평가가 갈리기 때문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상대가 공유할 수 없는 전제로 대화를 시작하게 되면 치명상이 될 수 있다. - Part 3 중에서
분위기를 읽는 다는 것은 상대의 기대를 채워주는 것이다. 주위 사람들은 생각보다 많은 것을 기대하고 있다. 모두 다 열거하자면 책 한 권으로도 부족하다. 가장 기본적인 것 두 가지만 제대로 보도록 하자. ‘분위기를 읽는 것= 상대의 기대를 채워주는 것’의 경우 적어도 다음 두 가지를 알아둬야 한다. - Part 4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