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수익형 부동산의 해답)

서용식 (지은이)
매일경제신문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5,9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36개 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시형 생활주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시형 생활주택 (수익형 부동산의 해답)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88974426170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09-11-10

책 소개

지금이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주거형태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으로 이번에 도입된 도시형 생활주택이 많은 기회를 제공하며, 소규모 건설사나 은퇴자, 소비자 모두가 만족할 만한 훌륭한 주거 상품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책이다. 정부정책에 따른 주택시장 흐름, 한국의 주택시장 분석과 전망 등을 살펴본다.

목차

1부. 1인 가구를 위한 공간, 왜 필요한가?
1) 1인 가구의 증가…17
2) 출산율 저하와 인구의 고령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25

2부. 일본의 소형 임대주택과 2020 한국의 주택시장
1) 민간 임대주택시장의 경향…41
2) 일본의 임대주택시장…45
3) 2020, 한국의 주택시장 예감…65

3부. 알기 쉬운 도시형 생활주택
1) 도시형 생활주택이란?
2)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한 서울시 조례 개정 내용…122
3) 도시형 생활주택 조기 활성화 방안을 위한 연구…133

4부 도시형 생활주택을 위한 통합전략 시스템
1) 신개념 12인 전용 주택 브랜드, 마이바움(MAIBAUM)…139
2) 도시형 생활주택 개발 프로세트, 통합전략 시스템…154

5부. 도시형 생활주택 Q&A
1) 투자자들은 원한다…195
2) 무엇이든 물어보세요…217

저자소개

서용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목건축 대표 -더나은도시디자인 연구소 소장 -더나은도시디자인 학교 교장 -더나은도시디자인 콘서트 2014(가로주택정비사업 중심으로, 서울시 후원) -더나은도시디자인 포럼 2014, 2015, 2016 주관(국토부 후원) -국토교통부 도시형생활주택, 기업형 주택임대관리 자문 TF팀 -국토교통부 주관 소규모 주택정비 특례법안 공청회 기업대표 위촉 2016 -서울시 가로주택정비사업 TF팀 2014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임대주택 실무 자문위원단 2016 -서울시 소규모 주택정비 사업 TF팀 2017
펼치기

책속에서

독신 인구 증가는 시대적인 트렌드로서 미래의 핵심적인 산업이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따라서 저출산, 고령화시대에 접어들면서‘1인 주거의 혁신적인 대안마련'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경우, 특히 뉴옥의 맨해튼에서는 1인 가구가 48%로 미국 내 대도시를 앞질렀다. 미국 전체를 두고 보았을 때 1인 가구가 부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핵가족보다 많다고 한다. (중략)
서울도 지난 5년 사이 1인 증가율이 34%에 달해 혼자 사는 가구가 70만 가구에 이르는 '1인 가구 20% 시대'에 진입하였다. - '1부 1. 1인 가구의 공간, 왜 필요한가?' 중에서


일본 주택의 특징은 최소한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나 중국이 넓은 집을 선호하는 반면, 일본은 대지면적 20평 전후, 건물의 한 층 면적이 10평 정도인 협소주택이 많다. 일본에는 협소주택만 설계하는 건축가도 적지 않고 한편으로는 젊은 건축가들의 등용문이 되기도 한다. 작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설계는 거주자의 생활패턴과 취향을 근본적으로 이해하지 않고는 나오기 어려운 것이다. 우리와 닮은 듯 보이지만 전혀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는 일본의 주거문화 또한 예외는 아니다. - '2부 2. 일본의 임대주택시장' 중에서


현재 서울시 아파트는 52%로 한국의 주거형태는 전 주거의 아파트화라는 현실의 한계성에 직면하게 된다. 아파트 공화국 또는 대형 공화국이라는 획일화된 주거형태의 과다로 인한 소비자들의 다양한 주거형태의 욕구와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한 새로운 형태의 패러다임 전략이 필요하다. 이는 주거에 대한 재정의 뿐만 아니라 변화 및 다양성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택개발로 건축문화의 혁신을 가져 올 것이다. 어쩌면 사회갈등의 원인 가운데 으뜸이 아파트에서 비롯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 '2부 3. 2020 한국의 주택시장 예감' 중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