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88974427719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1-10-24
책 소개
목차
책을 쓰며
이 책을 읽는 독자를 위해
PART 1 해외 소형주택 시장 현장을 가보다
1. 소형주택의 천국 일본을 가다
2. 좁은 땅을 넓게 활용하는 똑똑한 홍콩
3. 싱가포르 사람들은 공공소형주택에 살고 있다
4. 미국의 소형주택 양극화 기로에 서다
5. 정부가 나서서 주택 건설 지원을 확대하는 영국
PART 2 인구구조가 집을 바꾸다
1.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는 1인 가구
2. 우리나라 1인 가구 그들은 누구인가
3. 새로운 주거 문화 트렌드 3가지
PART 3 콤팩트 시티(Compact City) 부상
1. 수명을 다한 신도시 정책
2. 대형 아파트 지고, 소형 아파트 뜨고
3. 오피스텔 디자인 경쟁은 더욱 치열해진다
4. 거래 방식도 바뀐다
PART 4 대한민국 소형주택 대해부
1. 새로운 유형의 도시형생활주택
2. 1인 가구 주거공간으로 활용되는 준주택
3. 서울시 2020년까지 소형주택 30만 가구 공급
PART 5 우리나라 소형주택 시장 전망과 과제
1. 원룸형에 치우진 소형주택 시장
2. 저소득층 위한 다양한 주거공간 마련 시급
3. 도시형생활주택, 과밀 개발은 피해야 한다
4. 대중교통 활성화도 필요
5. 다양한 소형주택 위해선 ‘작은 정부’가 적격
6. 2010 대한민국 주거실태조사
7. 지역별로 다른 주택 수요
8. 무분별한 사업 확대는 경계해야
PART 6 수익형부동산 부상
1. 아파트의 변신! 임대 가능한 아파트 등장
2. 오피스텔 ‘매머드급’ 시대
3. 오피스텔·도시형생활주택 결합 상품 등장
PART 7 1~2인 가구 주거공간 투자 전략
1. 오피스텔·도시형생활주택 전방위 확산
2. 같은 듯 다른 수익형부동산
3. 두 얼굴의 오피스텔, 백조로 거듭나다
4. 분양가 올라 수익률 떨어져
5. 오피스텔 수익률 높은 곳! 따로 있다
6. 환금성 고려해 입지 따져야
PART 8 실전투자 사례 분석
1. 도시형생활주택 1호 임대수익률
2. 내 집 살면서 도시형생활주택 사업한 사례
3. 수익률 높이기 위해 건물을 리모델링한 사례
4. 원룸텔 이름의 고시원 투자수익률
5. 고시원 1개 층 구분등기 분양 사례
6. 1인 기업 전용 오피스 투자 사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나라 주택 문화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아파트 공화국’이라 칭해야 할 것이다.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우리나라 건설사들은 이른바 ‘브랜드 아파트’에 많은 공을 들여왔다. 그 결과 ‘힐스테이트’, ‘래미안’,
‘자이’, ‘e-편한세상’ 등은 많은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건설사들의 상징이 됐다. 브랜드 아파트가 탄생한 것은 1970년대의 급속한 경제 성장 때문이다. 단기간에 주택을 대량으로 공급해야 했기 때문에 수천 가구 이상을 수용하는 대규모 단지가 쏟아졌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최적의 벤치마크 대상이 일본이라할 수 있다. 현지 중개업계에 따르면 2011년 상반기 기준 도쿄 23개 구 내 1~2인 가구 전용 25㎡ 전후 주택의 월 임대료는 대략 10만 엔 선이다. 도쿄 23개 구를 벗어난 외각 신도시인 사이타마?(치바현의 경우 7만 엔 선에서 집을 구할 수 있다.
에네르기 발생을 최소화 하는 수명이 긴 친환경 도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고층 개발이 꼭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