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74427832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1-11-21
책 소개
목차
메콩강 르네상스를 기대하며
PART 1 21세기 新실크로드, 남방 실크로드의 부상
01. 걸어서 넘은 중국·베트남 국경
02. 메콩 부르주아의 등장
03. 메콩강에 몰리는 세계의 시선
04. 미래를 위해 준비된 도약
05. 6개국 연대해 국경 문턱 낮추기 시동
06. 아시아개발은행(ADB)이 바라보는 메콩강 경제권
메콩프리즘) ASEAN과 메콩강 경제권
PART 2 메콩강에 흐르는 부(富)의 물결
01. 한국식 자본주의 붐이 불고 있는 라오스
02. 탈베트남 추구하는 캄보디아 신흥 부유층
03. 상전벽해 개발 속 폭등하는 부동산
04. 메콩 경제권에 침입해 들어오는 차이나 머니
메콩프리즘) 중국 깡촌에 부는 고급 화훼산업 바람
05. 한류 열풍은 또 다른 기회
06. 메콩강 전도사를 자처한 한국인 대사
PART 3 메콩강 천연자원의 재발견
01. 메콩강 불태우는 미얀마 가스 개발
02. 아마존이 부럽지 않은 삼림은 아시아의 허파 역할
03. 새로운 식량 수출 공급원 캄보디아의 부상
04. 캄보디아개발위원회(CDC) 위원장의 야망
05. 수력발전 메카로 떠오른 라오스
06. 라오스 수력자원부 장관의 포부
메콩프리즘) 메콩강 호랑이를 사수하라
PART 4 관광과 비즈니스 메카로 부상
01. 관광 신천지로 부상하는 라오스
메콩프리즘) 라오스의 착한 역사
02. 캄보디아 앙코르와트와 톤레삽 호수
03. 철도로 남남공정(南南工程) 나선 중국
04. 싱가포르까지 육로로 남하
05. 미개척 하늘길이 열린다
06. 한국대사가 보는 라오스의 잠재력
메콩프리즘) 캄보디아와 폴포트
PART 5 메콩강에서 황금맥 캐는 비법
01. 포스코 베트남의 무모한 도전
02. 각오해야 할 열악한 인프라
03. 캄보디아 한국경제인협의회 회장의 노하우
04. FTA 활용한 생존 전략 시급
05. 태국 총리실 장관의 제언
06. 라오스 산업통상부 차관이 말하는 라오스
메콩프리즘) 라오스의 최신 외국인 투자유치법
07. 인내심 필요한 미얀마 시장
PART 6 메콩강 공략, 여기에 기회가 있다
01. 메콩강 개발 사업 86%는 교통
02. 넘치는 원조 사업, 한국은 최적의 파트너
03. 외국인 투자 빗장 여는 캄보디아
04. 베트남에 대한 5가지 오해
메콩프리즘) 한·메콩 외교장관급회의 정례화
05. 활짝 열리는 라오스 자본 시장
부록
01. 미얀마의 변신 아웅산 수치 여사 인터뷰
* 아웅산 수치 인터뷰
* 아웅산 수치 여사는
메콩프리즘) 버마? 미얀마?
02. 라오스 최대기업 일군 오세영 코라오그룹 회장
* 오세영 코라오그룹 회장 인터뷰
03. 국가정보(Country Summary)
리뷰
책속에서
필자도 비행기를 이용해 난닝에 갔었지만 규모가 큰 공항이 아니어서 마중을 나간 사람과 길이 엇갈릴 일이 거의 없는 곳이었다. 류 사장은 이상하다 싶어 공항에 써 있는 한자를 우리 발음으로 읽어보라고 했다. 그러자 그 손님은 ‘남경’이라고 발음했다. 난닝을 중국어 발음이 비슷한 난징(南京)과 혼동한 것이다.
부(富)의 물결은 최빈국으로 꼽히는 라오스와 미얀마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에서 한국계 코라오그룹이 운영하는 K-프라자. 삼성, LG, 소니 등 유명 전자회사의 고급 가전제품이 즐비한 대형 가전매장이다.
일반 근로자 월급이 100달러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현지 돈으로 1,300만 낍(약 1,600달러)이나 하는 46인치 LCD TV를 사는 손님들이 적지 않다.
“라오스는 그동안 주변국으로부터 완전히 둘러싸인 고립국가(Land-Locked Country) 신세를 면치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인정합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도로와 철도망 건설이 늘어나면서 새로운 국가로 완전히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바로 주변국들 간 연계통로 역할을 하는 가교국가(Land-Linked Country)로 거듭나고 있는 것입니다. 유럽 대륙의 한 가운데 위치한 스위스를 연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