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도네시아 Republik Indonesia

인도네시아 Republik Indonesia

(개정판)

양승윤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도네시아 Republik Indonesia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도네시아 Republik Indonesia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인도/티베트/네팔여행 > 인도/티베트/네팔여행 가이드북
· ISBN : 9788974642723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3-02-28

책 소개

인도네시아는 17,508개의 크고 작은 섬으로 구성된 세계 최대의 도서국가로 천혜의 자원(資源) 보고(寶庫)이다. 방대한 천연자원과 2억 5천만의 인구(2009년)가 품어내는 역동성은 이 나라 발전의 원동력이다.

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i
동남아학 총서 제13권을 내면서 v

제1장 인도네시아 국가개요/ 1

제2장 인도네시아 약사(略史)
Ⅰ. 고대왕국/ 7
Ⅱ. 식민통치시대의 개막/ 10
1. 포르투갈의 내도와 말라카왕국의 멸망 / 10
2. 네덜란드의 식민통치와 동인도회사의 설립 / 12
3. 영국의 일시 점령기 / 15
4. 네덜란드 식민지경략과 인도네시아 민중의 저항 / 15
Ⅲ. 민족주의 운동과 이슬람사회의 각성/ 17
Ⅳ. 일본의 식민통치와 독립/ 21
Ⅴ. 혁명기/ 24
Ⅵ. 의회민주주의 경험기/ 26
Ⅶ. 수카르노와 교도민주주의/ 29
Ⅷ. 수하르토의 신질서 시대/ 33

제3장 인도네시아 이슬람사 개요
Ⅰ. 이슬람의 전래와 인도네시아군도의 이슬람화/ 37
1. 이슬람의 전래 / 37
2. 이슬람화 과정 / 40
Ⅱ. 인도네시아 이슬람사회의 특성/ 44
Ⅲ. 인도네시아의 이슬람부흥운동/ 48

제4장 빤쨔실라: 인도네시아 국가이데올로기
Ⅰ. 빤쨔실라의 기원과 국가 이데올로기적 성격/ 53
1. 빤쨔실라의 기원 / 53
2. 빤쨔실라의 성격 / 55
Ⅱ. 빤쨔실라의 제도화 과정/ 57
1. 헌법에 나타난 빤쨔실라 / 57
2. 국장(國章) 속의 빤쨔실라 / 58
3. 국가 권력구조와 빤쨔실라 / 59
Ⅲ. 빤쨔실라의 내용/ 61
1. 최고신에 대한 신앙의 원칙 / 62
2. 정의롭고 예절바른 인간성을 위한 인도주의의 원칙 / 62
3. 인도네시아의 통일을 위한 민족주의의 원칙 / 63
4. 대중합의와 대의제도를 바탕으로 한 민주주의의 원칙 / 63
5. 인도네시아 전체 국민을 위한 사회정의의 원칙 / 64

제5장 인도네시아의 외교정책
Ⅰ. 개 요/ 65
Ⅱ. 핫타의 독립과 능동의 외교정책/ 67
Ⅲ. 수카르노의 반(反)제국주의 외교정책/ 72
Ⅳ. 수하르토 정부의 실용주의 외교정책/ 75
1. 기존 외교정책의 연계성 / 75
2. 신질서 정부의 독자적인 외교정책 / 78
Ⅴ. 문민정부의 다원적인 외교정책/ 80
1. 기본적인 외교정책과 방향 / 80
2. 아세안 및 대(對)강대국관계 / 82
Ⅵ. 맺음말/ 85
xii 인도네시아


제6장 인도네시아의 군부와 정치
Ⅰ. 군부의 형성배경/ 89
1. 무장세력의 등장 / 89
2. 국민군 태동의 갈등 / 92
Ⅱ. 군부의 이중기능/ 95
1. 이중기능(二重機能)의 원천과 개념 / 95
2. 인도네시아 군부 엘리티즘의 변화 / 97
Ⅲ. 군부 정치적 기능의 발전양상/ 100
1. 혁명기(1945-1949) / 100
2. 의회민주주의 경험기(1950-1957) / 102
3. 교도민주주의 시기(1957-1965) / 106
Ⅳ. 군부와 정치의 변화/ 108

제7장 인도네시아의 민주주의와 정치발전
Ⅰ. 개 요/ 111
Ⅱ. 의원내각제의 시도와 실패/ 113
1. 이슬람계 정당의 부각 / 113
2. 인도네시아의 제1차 총선거 / 117
3. 교도민주주의와 군부의 정치세력화 / 119
Ⅲ. 신질서 체제하의 정치?경제변동/ 123
1. 골카르(Golkar)의 등장과 제2차 총선거 / 123
2. 신질서체제 확립과 제3?4차 총선거 / 126
3. 이슬람 정치세력의 와해와 제5차 총선거 / 129
4. 수하르토 체제의 존속을 검증한 제6?7차 총선거 / 131
Ⅳ. 수하르토와 신질서의 붕괴/ 136
1. 수하르토 체제의 구성요소와 문제점 / 136
2. 빤쨔실라 경제정책의 비판 / 139
3. 신질서 체제의 붕괴 / 140
Ⅴ. 인도네시아 6?7 총선거와 정치발전/ 142
Ⅵ. 유도요노 정부의 등장과 이슬람-정치의 상관관계/ 146
Ⅶ. 인도네시아의 민주주의와 정치발전 전망/ 148

제8장 문민정부 이후 인도네시아의 정치?사회적 변화
Ⅰ. 헌법 개정과 권력구조의 변화/ 153
1. 헌법 개정의 배경 / 153
2. 권력구조의 변화 / 155
Ⅱ. 정치환경의 변화/ 163
1. 정치일정의 변동 / 163
2. 지방행정구역의 확대 / 163
Ⅲ. 군부지위의 변동/ 164
Ⅳ. 언론매체의 대중화/ 167

제9장 인도네시아의 여성운동
Ⅰ. 여성운동의 발전과정/ 171
1. 네덜란드의 윤리정책과 여성운동의 태동 / 171
2. 식민통치 시기의 여성운동 / 173
3. 혁명기의 여성운동 / 177
4. 수카르노 치하의 여성운동 / 180
Ⅱ. 신질서 체제하의 여성조직과 여성운동/ 184
1. 이부이즘(Ibuism)의 등장 / 184
2. 여성정책의 개발과 여성역할의 향상 / 187
3. 여성 NGO의 등장 / 189
Ⅲ. 인도네시아 여성사회의 변화/ 193
1. IMF사태와 인도네시아 여성사회의 충격 / 193
2. 인도네시아 여성운동의 변화가능성 / 197
Ⅳ. 인도네시아 여성운동의 전망/ 199
xiv 인도네시아


제10장 인도네시아의 중국인 소수 종족 사회
Ⅰ. 중국인 소수 종족 사회의 형성/ 201
1. 중국인 소수 종족의 다양한 출신지 / 201
2. 또똑과 뻐라나깐의 구분 / 204
3. 이중국적 문제에 따른 갈등 / 206
Ⅱ. 중국인 소수 종족의 규모와 구분/ 208
1. 중국인 소수 종족의 규모 / 208
2. 화교(華僑)와 화인(華人)에 대한 구분 / 212
Ⅲ. 중국인 소수 종족의 문화적 특성/ 214
1. 인척관계를 중심으로 한 상업조직 / 214
2. 가옥의 다용도성(多用途性) / 216
3. 혼인과 여성의 사회적 지위 / 217
4. 엄격한 계급의 사회제도 / 220
5. 다양한 신앙생활 / 222
6. 높은 교육에 대한 관심 / 224
제11장 인도네시아의 인도인사회
Ⅰ. 개 요/ 229
Ⅱ. 인도인들의 분포상황/ 231
Ⅲ. 정치와 경제 분야의 토착화/ 234
1. 적극적인 정치참여 / 234
2. 경제기반의 구축 / 236
Ⅳ. 종교와 문화의 정체성/ 239
1. 종교의 다양성 / 239
2. 문화적 적응력 / 241
3.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 / 242
4. 융통성 있는 사회적 관계 / 244
Ⅴ. 맺음말/ 248

제12장 인도네시아 이슬람사회의 다양성과 독창성
Ⅰ. 엔우(NU)와 무함마디야(Muhammadiyah)/ 249
Ⅱ. 원리주의 이슬람과 태형(笞刑)/ 259
Ⅲ. 르바란과 단식(斷食)/ 264
Ⅳ. 무슬림 사회의 독특한 맛과 색깔/ 269
Ⅴ. 인도네시아 이슬람 테러조직/ 274

제13장 네덜란드동인도회사(VOC)와 커피
Ⅰ. 네덜란드동인도회사(VOC)/ 283
1. 네덜란드는 어떤 나라인가 / 283
2. 동인도회사(East India Company)는 보통명사이다 / 286
3. 네덜란드동인도회사(VOC)가 가장 먼저 채권을 발행하였다 / 289
4. 네덜란드는 어떻게 유럽의 부국(富國)이 되었나 / 292
Ⅱ. 인도네시아 커피/ 294
1. 인도네시아는 세계적인 커피 생산국이다 / 294
2. 커피는 이슬람 세계에서 처음으로 식음료가 되었다 / 296
3. 인도네시아 커피는 식민통치의 유산이다 / 297
4. 인도네시아 커피의 맛과 향 / 298
5. 인도네시아 커피와 커피문화 / 302
xvi 인도네시아


제14장 인도네시아인은 어떤 사람들인가
Ⅰ.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새처럼 산다/ 305
Ⅱ. 수마트라 사람과 쟈바 사람/ 311
Ⅲ. 인도네시아의 비즈니스 에티켓/ 318
1. 시간관념 / 318
2. 기업문화 / 319
3. 감정표현 / 321

제15장 동(東)티모르 : 인도네시아 변방의 새로운 독립국가
Ⅰ. 개 요/ 323
Ⅱ. 동티모르의 인문지리와 식민통치/ 325
1. 자연환경 / 325
2. 인구변화 / 326
3. 포르투갈의 식민통치 / 327
Ⅲ.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강점과 인도네시아화 정책/ 329
1.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합병 / 329
2. 동티모르의 인도네시아화 정책 / 331
Ⅳ. 국제정치 질서의 변화와 동티모르의 독립/ 334
Ⅴ. 동티모르 독립과 국제관계/ 339
1. 강제합병과 딜리학살 사건 / 339
2. 동티모르 사태의 국제적 이해관계 / 341
Ⅵ. 맺음말/ 344

찾아보기/ 347

저자소개

양승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대 명예교수. 한국외대 졸업, 인도네시아 가쟈마다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외대 말레이 · 인도네시아어과 교수 역임. 주요 저서로 《인도네시아사》 《작은 며느리의 나라, 인도네시아》 등과 공저로 《바다의 실크로드》 《동남아의 이슬람》 등이 있다. 현재 인도네시아 가쟈마다대학교 사회과학대 강의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