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브라질사

브라질사

최영수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200원 -5% 0원
8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브라질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브라질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4646141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0-09-10

책 소개

세계 제5위의 거대한 나라, 1억 8천만의 인구와 무한한 천연자원의 보고, 세계 최대의 가톨릭 국가인 브라질의 역사를 살펴본다. 책은 1부 '브라질 식민시대', 2부 '브라질의 독립', 3부 '브라질 공화정 시기', 4부 '브라질의 현대'로 구성되었다.

목차

머리말 2

I. 브라질 식민시대

제1장 대항해시대 / 9
1. 포르투갈의 해외팽창 9
2. 브라질의 발견 11
3. 초기식민화사업 14
제2장 브라질의 민족형성 / 18
1. 포르투갈인 18
2. 원주민 19
제3장 브라질 식민정책 / 24
1. 아비스(Avis)왕조의 식민정책 24
2. 펠리페(Felipe)왕조의 식민정책 34
제4장 내륙지역의 정복과 국경조약 / 39
1. 내륙지역의 정복 39
2. 국경조약 41
제5장 브라질 식민경제의 발전 / 44
1. 빠우 브라질 44
2. 사탕수수 경작 46
3. 목축업 50
4. 광산업 52
제6장 브라질의 흑인 / 55
1. 브라질 흑인의 문화적 분류 56
2. 브라질의 흑인문화 58
3. 브라질 흑인의 기여 61
4. 브라질의 인종문제와 사회문제 63
제7장 식민말기의 브라질 / 67
1. 브라질의 주민폭동 69
2. 정치적 해방의 시도 72
제8장 식민시대(1500-1822)의 영토정책과 국경형성 / 75
1. 식민시대의 영토정책 75
2. 식민시대의 국경에 관한 협약들 86
3. 섭정왕자 시대의 영토문제 94

II. 브라질의 독립

제1장 브라질 - 포르투갈 군주국의 소재지 / 102
1. 포르투갈 왕가의 브라질 천도 이유 102
2. 동 쥬앙 정부의 면모 104
3. 동 쥬앙의 포르투갈 귀환 106
4. 궁정회의와 브라질 107
제2장 브라질의 정치적 독립 / 108
1. 원인 108
2. 이삐랑가의 외침(o Grito do Ipiranga) 110
4. 제1왕정(1822-1831) 111
5. 제2왕정 118
제3장 브라질 독립 이후의 국경문제 / 132
제4장 쁘라따(Prata)지역의 세력균형 / 136
1. 위기에 처한 우루과이 137
2. 재통일된 아르헨티나 138
3. 파라과이의 전쟁준비 140
4. 3국 동맹과 파라과이 전쟁 146
제4장 브라질 제국의 변화(1870-1889) / 153
1. 군부 문제 154
2. 종교문제 159
3. 노예제도의 폐지 161
4. 체제의 변화 165
제5장 커피 수출 붐(Boom)과 물질적 변화 / 169
1. 커피의 전래와 수출 붐 170
2. 커피 수출 붐 173
3. 물질적 변화 179
제6장 진보와 새로운 질서 / 185
1. 지적 사고의 형성 185
2. 새로운 질서 189
3. 현대화로의 노정 M194

III. 브라질의 공화정

제1장 공화정 선포와 임시정부 / 199
1. 공화정 선포 199
2. 임시정부 200
3. 공화국의 대통령들 M202
제2장 공화정 초기의 주변정세와 국경문제 / 210
제3장 구 공화국의 정치적 현황과 과두체제 분석 / 219
1. 정치적 현황 219
2. 브라질의 과두체제 분석 223
제4장 1930년 이후 브라질의 정치적 진화 / 256
1. 혁명과 폭동 256
2. 신국가 체제(1937-1945) 259

IV. 브라질의 현대

제1장 브라질의 민주화시대 / 267
제2장 브라질인의 종교와 종교의식 / 276
제3장 공화정 시기의 경제 / 281
제4장 브라질 이민 / 285
제5장 브라질의 군사독재시대(1964-1984) / 292
제6장 브라질 민간정부의 탄생 / 328
제7장 브라질 민족문화의 형성 / 337

연대표 367
참고문헌 372
찾아보기 375

저자소개

최영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포르투갈어과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중남미지역연구학과 졸업 포르투갈 국립 리스본대학교 문과대 수료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서양사과정 졸업 (이베리아반도사 연구로 문학박사학위) 미국Delaware대학교 사학과 객원교수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원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총장 한국 포르투갈-브라질학회 회장(2010년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포르투갈어과 교수(2010년 현) 저서 포르투갈어 문법개론 브라질어 회화 라틴아메리카 식민사 중남미사 스페인.포르투갈사 음식으로 본 서양문화(공저) 지구촌상관습(공저) 해상실크로드(공저) 와인에 담긴 역사와 문화(공저) 종교로 본 서양문화(공저)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얼마 전까지만 해도 브라질은 국민 대다수가 빈곤, 질병 그리고 무지 속에서 살아가는 나라, 노예의 나라, 열대 기후와 가톨릭 외에는 종교의 자유도 허용되지 않는 나라라는 편견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BRICs 국가의 일원으로써 국제적 지위가 향상되면서 브라질은 국제무대에서도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브라질에 관한 연구도 종전의 개론적 측면에서 탈피해서 정치, 사회,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인간의 일상 활동이나 문화인류학, 이문화(Cross Culture) 연구 등으로 다양한 지평을 확장하고 있다.
브라질은 참으로 매력적인 나라이다. 세계 제5위의 거대한 나라,1억 8천만의 인구와 무한한 천연자원의 보고인 이 나라는 198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거의 반이 20세 미만인 젊은 국가이고, 출생률은 미국과 구소련 연방을 합친 것보다 높다. 또한 세계 최대의 가톨릭 국가이고, 아프리카 대륙 밖의 최대 흑인 거주국이며 일본을 제외한 최대의 일본인 거주국이다. 그런 이유로 21 세기는 Brazilian Century라는 기대감 또한 크다.
서구인들에게도 브라질은 어떤 면에서 그들의 미래의 모습이다. 상류계층 대부분은 유럽계 조상을 두었고, 높은 문화 수준이나 각종 사회제도와 관습도 서구로부터 왔다. 하지만 브라질은 서구세계와 분명한 차이점을 지닌다. 식민시대 이후 수세기 동안 서구와 비서구 문화가 한데 혼합되어 특이한 문화가 창조된 것이다. 브라질 지식인들은 서구의 이론을 확산시키기보다 그들의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역사서술에 있어 민족형성의 과정은 가장 중요한 핵심이 된다. 민족을 구성하는 객관적 요건은 동일 인종, 공통의 선조, 동일 언어와 공통의 문화 그리고 관습 등이다. 그렇다면 민족의 외형적 구성요건이 획일적이지 못한 브라질을 한 민족으로 만들 수 있었던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브라질인들이 자신들의 조국은 백인, 흑인 그리고 원주민의 3인종에 의해 건설되었다는 믿음을 확고히 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이유로 많은 사람들은 다양성(Diversity)을 브라질과 브라질인을 설명하는 최상의 어휘라고 하지만, 인종혼합, 종교혼합 그리고 문화의 디아스포라로 이룩된 브라질에게는 혼합(Mixture)이라는 어휘가 진정으로 어울리는 표현이다.
한 나라의 역사를 단독으로 집필한다는 것은 오랫동안 대학강단에서 포르투갈어권 국가들의 역사를 강의했던 본인으로서도 엄청난 용기와 노력이 필요한 일이었다. 더욱이 식민시대를 경험한 국가들의 민족국가 확립 과정이나 특유의 문화적 복합성 그리고 다민족 사회의 문제점 등을 총체적으로 정리한다는 것은 일종의 도전이었다.
이 책은 크게 4부로 구성된다. 1부 브라질 식민시대에서는 1500년 브라질이 발견된 이후 식민통치 300년의 역사와 발견 이전부터 이 땅의 주인이었던 원주민의 역사가 서술된다. 2부 브라질의 독립에서는 1822년 정치적 독립, 브라질 제국의 정치적 발전, 영유권 문제 등이 서술되고, 3부는 브라질 공화정 시기로 공화정의 선포에서 과두체제의 형성과 변천 그리고 몰락과정을 정리했으며, 4부 브라질의 현대에서는 민주화시대, 군부 독재정치 그리고 민간정부의 출현과 룰라 대통령의 재집권까지를 상술하고 있다.
오늘날 다민족사회 국가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은 심각하다. 그러나 다양한 문화의 혼합은 신생국 브라질의 정체성 확립에 크게 기여했다. 최근 브라질은 2016년 하계올림픽을 히우 지 쟈네이루에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항상 혼혈국가 또는 이류국가로 취급받던 브라질로서는 조국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호기를 맞게 된 것이다. 룰라는 한 기자회견에서 UN안보상임이사국 진출이 브라질 외교의 가장 큰 꿈임을 밝힌 바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브라질의 참된 모습을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게 되기를 바란다. 아울러 이 책의 출간을 허락해주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

2010년 7월
저자 최 영수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