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술원리 논술원리 1

서술원리 논술원리 1

(서술은 매듭-풀이다)

구연상, 김원명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350원 -5% 2,500원
650원
1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서술원리 논술원리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술원리 논술원리 1 (서술은 매듭-풀이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8897464694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1-10-31

책 소개

글쓰기의 본질과 목적 그리고 서술과 그것의 원리에 대한 독자적이고 체계적인 설명 틀을 마련하고자 펴낸 책이다. 실제의 한국어 보기 글들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한국어에 적합한 글쓰기 이론과 서술 이론을 세우고, 어떤 글이 좋은 글인지, 그리고 그 글이 왜 좋은지를 우리말로써 밝히고 있다. 글쓰기 기초를 가르쳐야 하는 교사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목차

저자의 글 2

첫째 뭇 글쓰기와 사무침

나누기 1. 논술과 글쓰기 21
도막 1. 영어몰입교육과 글쓰기 문제 24
도막 2. 글쓰기 제도에서의 글쓰기 목적 32
도막 3. 글쓰기의 목적에 대한 새로운 인식 40

나누기 2. 글쓰기의 본질과 목적 50
도막 1. 글쓰기란 무엇인가? 50
도막 2. 글쓰기의 근본 목적 60
도막 3. 사무침 68

나누기 3. 사무침 글쓰기 75
도막 1. 칸막이 글쓰기와 참 글쓰기 75
도막 2. 화쟁 글쓰기 83

둘째 뭇 서술 원리

나누기 4. 서술과 상상력 97
도막 1. “서술(敍述)”의 뜻 98
도막 2. 서술과 상상력 101
도막 3. 상상력과 서술 105

나누기 5. 서술의 원리와 목적 113
도막 1. 서술의 원리: 매듭풀이로써 드러내 보임 114
도막 2. 서술의 목적: 함께 나누기 139

나누기 6. 서술의 짜임새 150

나누기 7. 서술의 방법 169

나누기 8. 서술의 실제 190
도막 1. 얼굴 서술 191
도막 2. 사물 서술 210
도막 3. 사건 서술 229

참고문헌 244
사람이름 찾기 251
갈말찾기 254

저자소개

구연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교수 충북 보은고등학교 졸업(1984)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졸업(2001) 숙명여자대학교 교수(2010~) 우리말로학문하기모임회장(2016~2018) 『우리말은 병신 말입니까』(2014) 『하이데거의 존재 물음에 대한 강의』(2011) 『서술 원리, 논술 원리 I. 서술은 매듭풀이다』(2011) 『서술 원리, 논술 원리 II. 논술은 따져 밝히기다』(2011) 『부동산 아리랑』(2011) 『철학은 슬기 맑힘이다』(2009) 『공포와 두려움 그리고 불안』(2002)
펼치기
김원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철학박사.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소장, 우리말로학문하기모임 부회장, 불교학연구회 『불교학연구』 편집위원, (사)세계문자연구소 이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학과장,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대학 부학장, 2010서울시희망의인문학과정 한국외대 총괄교수 역임. 쓴 논문으로 「원효 관점에서 본 트롤리 문제 해결 방안과 새로운 규범 윤리학 이론 모색」(공저)(2017), 「대행선사의 한마음 사상을 중심으로 본 업과 삶」(2016), 「한국 근대불교학의 과제와 전망」(2016), 「홍대용의 세계관 변화와 그것의 현대적 의의」(공저)(2014), 「원효의 『열반경종요』에 나타난 일심」(2013), 「조주의 선문답에 대한 언어비판적 분석-‘깨달음의 역설’ 분석을 중심으로-」(공저)(2013), 「원효 일심의 정의와 의미」(2012), 「다산, 성리학과 탈성리학 사이에서」(공저)(2011), 「고향과 말-만해와 원효를 중심으로」(2010), 「원효의 비불교적 배경 시론」(2009), 「원효의 화쟁 글쓰기」(2008), 「원효 철학에서 일심과 화쟁의 관계」(2008), 「현대 문명 위기 극복을 위한 원효와 하이데거의 존재이해」(2007) 등 다수가 있다. 저서로는 『인물로 보는 한국의 불교 사상』(공저)(2004), 『원효의 열반론』(2008), 『원효』(2008), 『서술원리 논술원리1(서술은 매듭풀이다)』(공저)(2011), 『서술원리 논술원리2(논술은 따져밝히기이다)』(공저)(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논술에 대한 이해는 글쓰기에 대한 이해를 전제한다. 논술(論述)은 ‘논리적(論理的) 글쓰기’나 ‘논하는 진술(陳述)’ 또는 ‘논증적(論證的) 서술(敍述)’이나 ‘따져 밝히는 글쓰기’ 등으로 새겨질 수 있다. 논술에 대한 ‘뜻-새김’이 어떠하든, “논술”이라는 낱말의 짜임새에 따를 때, ‘논술’에서 밑바탕 낱말은 ‘술(述)’이 된다. 이는 “토끼집”이 집의 하나로서 토끼를 기르기 위한 ‘우리’를 뜻하는 것과 같다. 반면 “집토끼”는 집에서 길들여 기르는 토끼를 말한다. ‘집’과 ‘토끼’는 두 낱말의 짜인 얼개에 따라 그 뜻이 사뭇 달라지는데, 이때 그 뜻의 밑바탕을 이루는 것은 뒤에 놓이는 낱말이다. 이러한 ‘뜻매김 틀’에 따를 때 ‘논술’은 ‘술(述)’의 하나로서 ‘논(論)을 위한 글쓰기’를 일컫게 된다.
논술 정의(定義)의 구체적 내용은 ‘논(論)’에 대한 해석(解釋)이나 ‘술(述)’에 대한 ‘앞선 이해(理解)’에 따라 바뀔 수 있고, 게다가 논술의 목적(目的)과 주된 형식(形式)마저 시대마다 달라질 수 있다. 논술(論述)은 과거에 왕이 신하에게 직접 물은 정책 사안에 대해 신하가 제시한 올바른 대답을 마련하는 책문(策文)이기도 했고, 경전(經典)에 대한 권위 있는 해설(解說) 또는 깨달은 사람이 주어진 문제에 대해 올바른 견해를 밝혀나가는 논서(論書)이기도 했으며, 사회적 문제에 대해 서로가 자신이 내세운 주장의 옳고 그름을 따져 밝히는 논설이나 논리적 글쓰기이기도 하다.

- 본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