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성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서울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현재 과학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산업기술평가원(ITEP) 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부연구위원, 부산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를 거쳐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부산대 대학원의 과학기술(인문)학 협동과정과 기술사업정책 전공에서 전공주임을 지냈으며, 현재 융합학부 과학기술혁신 전공에 겸직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학회 회장, 부산대 교양교육원 원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과학사학회 부회장과 한국혁신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에게 기술이란 무엇인가』, 『과학기술은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 『나는 과학자의 길을 갈테야』(공저), 『소리 없이 세상을 움직인다, 철강』, 『과학기술과 문화가 만날 때』, 『과학기술과 사회의 접점을 찾아서』, 『과학기술학의 세계』(공저), 『한 권으로 보는 인물과학사』, 『과학의 본성과 과학철학』, 『과학기술로 세상 바로 읽기』(공저), 『사람의 역사, 기술의 역사』, 『발명과 혁신으로 읽는 하루 10분 세계사』, 『한국의 산업화와 기술발전』, 『세상을 바꾼 발명과 혁신』, 『과학기술의 경영과 정책』, 『과학기술과 사회를 만든 사람들』, 『한국인의 발명과 혁신』 등이 있다.
펼치기
김승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7년 중국대만(정치대학 문학석사)과 1992년 일본(국립규슈대학 문학박사)에서 중국현대사를 전공한 후 귀국해 동아시아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 등으로 활동하는 동안 하와이대학 동서문화센터에서 연수한 바 있다. 2002년부터 국민대 한국학과와 동아대 동북아특수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2012년부터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 성과로는 『한민족과 동아시아세계』, 『[중문] 내 눈 속의 한중관계(我眼中的韓中關係)』, 『[일문] 중국혁명의 기원』등 40종의 저술과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비교연구」를 비롯해 200여 편의 논문이 있으며, 『모택동선집』등 200여 종의 역서가 있다. 이러한 공로를 중국정부로부터 인정받아 2012년에 ‘중화도서특수공헌상”을 수상했고, 2018년에는 저서『내 눈 속의 한중관계』가 ‘135중국중점출판물출판계획항목’과 ‘2021-2022년도 중국문화수출중점항목’에 선정된 바 있다.
펼치기
박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나 한국외국어대 독일어과를 졸업했으며, 같은 대학교 동시통역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같은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하이데거에 있어서의 신에 대한 물음'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이수한 다음에, 독일 보쿰 대학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에서 악의 문제에 대한 연구」(Das Schlechte und das B?se. Studien zum Problem des ?bels in der Philosophie des Thomas von Aquin)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전공으로 가톨릭 신학과 역사학을 공부했으며, 독일 정부에서 시행하는 라틴어와 그리스어의 국가시험을 통과했다. 2002년부터 한국외국어대에서 라틴어와 그리스어,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 중세철학 등을 강의했으며, 2003~06년까지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을 지냈다. 논문으로 「빛과 인식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아우구스티누스, 보나벤투라, 토마스를 중심으로」, 「'대이교도대전'에 나타난 행복에 관하여」, 「토마스 아퀴나스의 '진리론'에 따른 인간 인식의 오류 가능성」, 「'6일간의 세계 창조에 대한 강연'(Hexaemeron)의 연구 번역」, '모든 학문의 신학으로의 환원'(De reductione artium ad theologiam) 연구 번역, 「토마스 아퀴나스의 '악론'(De Malo) 연구」 등을 발표했으며, 저서로 '중세와 토마스 아퀴나스'(살림, 2004), '아우구스티누스'(살림, 2006), '악이란 무엇인가'(누멘, 2012)를 비롯해 번역서로는 '삶의 목적인 행복'(헤르만 클레버, 가톨릭출판사, 2006), '행복론'(아우구스티누스, 누멘, 2010)가 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 교양학부 강사로 있다.
펼치기
김원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철학박사.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소장, 우리말로학문하기모임 부회장, 불교학연구회 『불교학연구』 편집위원, (사)세계문자연구소 이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학과장,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대학 부학장, 2010서울시희망의인문학과정 한국외대 총괄교수 역임.
쓴 논문으로 「원효 관점에서 본 트롤리 문제 해결 방안과 새로운 규범 윤리학 이론 모색」(공저)(2017), 「대행선사의 한마음 사상을 중심으로 본 업과 삶」(2016), 「한국 근대불교학의 과제와 전망」(2016), 「홍대용의 세계관 변화와 그것의 현대적 의의」(공저)(2014), 「원효의 『열반경종요』에 나타난 일심」(2013), 「조주의 선문답에 대한 언어비판적 분석-‘깨달음의 역설’ 분석을 중심으로-」(공저)(2013), 「원효 일심의 정의와 의미」(2012), 「다산, 성리학과 탈성리학 사이에서」(공저)(2011), 「고향과 말-만해와 원효를 중심으로」(2010), 「원효의 비불교적 배경 시론」(2009), 「원효의 화쟁 글쓰기」(2008), 「원효 철학에서 일심과 화쟁의 관계」(2008), 「현대 문명 위기 극복을 위한 원효와 하이데거의 존재이해」(2007) 등 다수가 있다.
저서로는 『인물로 보는 한국의 불교 사상』(공저)(2004), 『원효의 열반론』(2008), 『원효』(2008), 『서술원리 논술원리1(서술은 매듭풀이다)』(공저)(2011), 『서술원리 논술원리2(논술은 따져밝히기이다)』(공저)(2011)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