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74649388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4-08-2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3
I. 서론 13
II. 그레마스 연구 21
1. 생애
2. 세 단계 연구
2.1. 제1단계 : 구조 의미론
2.2. 제2단계 : 서사 기호학
2.3. 제3단계 : 정념 기호학
III. 정념 41
1. 철학적 정의
2. 기호학적 정의
IV. 그레마스의 「분노에 대하여」 55
1. 어휘-사전적 접근
2. 기대감
3. 불만족
4. 복수
5. 분노
≪ 텍스트 분석 ≫
1. 박종화의 『금삼의 피』
2. 줄리앙 그린의 『인간이라는 괴물』
≪ 맺음 말 ≫
V. 의미 생성 행로 99
1. 선조건 층위
1.1. 긴장과 감의 공간
1.2. 발랑스
1.3. 분열과 행위소적 불안정성
1.4. 변조
1.5. 되어감
1.6. 범주화
2. 기호-서사 층위
2.1. 세 차원
2.2. 행위소 구조와 장치
2.3. 양태 범주
2.4. 양태 구조
2.5. 가상체
2.6. 양태 장치
2.7. 존재적 가상체
3. 담화 층위
3.1. 장치화
≪ 텍스트 분석 ≫
1. 샤를 루이 필립의 『만남』
2. 프랑수아 코페의 『슬픈 소녀』
≪ 맺음 말 ≫
VI. 정념 도식 157
1. 서사 도식과 정념 도식
2. 정념 도식
2.1. 형성화
2.2. 감성화
2.2.1. 장치화
2.2.2. 정념화
2.2.3. 정동화
2.3. 도덕화
3. 서사 도식과 정념 도식의 유사점과 차이점
4. 정념 도식과 존재적 가상체
≪ 텍스트 분석 ≫
1. 이효석의 『화분』
2. 줄리앙 그린의 『인간이라는 괴물』
≪ 맺음 말 ≫
1. 정의
2. 어휘 의미적 접근
2.1. 애착관계와 경쟁관계
2.2. 애착과 경쟁관계의 교차점에 있는 질투
3. 통사적 구성
3.1. 질투 모형의 초안
3.2. 불안, 의혹과 불신
3.3. 거시 시퀀스와 미시 시퀀스
≪ 텍스트 분석 ≫
1. 김동리의 『황토기』
2. 김동인의 『감자』
3. 모파상의 『고해성사』
4. 스탕달의 『적과 흑』
≪ 맺음 말 ≫
VIII. 새로운 정념 분석 247
1. 양태 구성 요소
1.1. 사행의 존재태
1.2. 사행에 전제된 조건
1.3. 양태의 유형학
1.4. 행위소의 정체성 구축을 위한 양태화
2. 긴장 현시 요소
3. 두 요소의 상보적 고찰과 분석
4. 새로운 담화 도식
5. 텍스트 내 정념의 발현
≪ 텍스트 분석 ≫
1. 박경리의 『표류도』
≪ 맺음 말 ≫
IX. 결론 295
참고 문헌 301
색인 310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