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주선사어록 강설 - 下

대주선사어록 강설 - 下

대주혜해 (지은이), 한암대원 선사
불광출판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2,500원
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대주선사어록 강설 - 下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주선사어록 강설 - 下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74790356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3-05-28

책 소개

<대주선사어록>은 그리 길지 않다. 더구나 한 편 한 편이 독립되어 있어 어느 쪽을 펼쳐서 보더라도 문맥이 엉키지 않고, 그 자체로 완결되어 있다. 간결한 문장 속에 깨달음에 이르는 정수(精髓)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

목차

004 대주선사어록 강설에 부쳐
006 머리말

제방문인참문
016 서
019 스승을 찾는 길
023 一. 바로 쓰고, 바로 행하라!
035 二. 무엇이 의심하는가
037 三. 사자처럼 사는 것
044 四. 무한하게 쓰는 마음
052 五. 화두를 관하는 힘
059 六. 제대로 잠자는 사람
061 七. 바로 보라!
074 八. 흔적이 남지 않는다
080 九. 자연히 일 없는 사람이 되다
087 十. 만 가지 변화의 근본
108 十一. 죽이고 살리는 법
115 十二. 불교, 유교, 도교가 같습니까,
다릅니까?
116 十三. 다만 알지 못한다
123 十四. 일체 시비에 걸리지 않는다
130 十五. 성품을 본 자
133 十六. 어떻게 법희선열식을 얻습니까?
144 十七. 경전에 없는 말
149 十八. 한 마디도 설한 바 없다.
154 十九. 천 리 만 리 어긋난 길
163 二十. 본래의 공부로 이끄는 방편
177 二十一. 반야의 칼
179 二十二. 둘이 아닌 법문
184 二十三. 오직 이 공부뿐
194 二十四. 무법가설
197 二十五. 송장이 부처인가
200 二十六. 영험과 신통
203 二十七. 한 마음이 청정하면 온 세계가
청청하다.
207 二十八. 달팽이 뿔과 허공의 누각
211 二十九. 부처님의 신통
220 三十. 현전에 마음을 통하면 만법이
한 때
224 三十一. 해탈을 구할 것이 없다.
230 三十二. 마음을 가지고 마음을 쓰다
234 三十三. 생각하는데서 이루어진다
237 三十四. 말이 미치지 못하는 곳
240 三十五. 허공꽃과 물 속의 달
248 三十六. 깨달아야 알 수 있다.
254 三十七. 다만 자세히 살펴보아라.
262 三十八. 마음과 중생과 부처가 하나
272 三十九. 마음이 마음 아닌 도리
274 四十. 필경 본래 무엇인고?

277 대주선사어록 후서
279 맺는 말

저자소개

대주혜해 (지은이)    정보 더보기
8세기 무렵 생존했던 당나라의 선승이다. 건주(建州) 사람으로, 속성은 주(朱) 씨이고, 대주(大珠) 화상 또는 대주혜해(大珠慧海)라고 불렸다. 월주(越州) 소흥(紹興) 대운사(大雲寺) 도지(道智) 법사를 따라 출가하여, 처음에는 경교(經敎)를 배워 깨달은 바가 있었다. 나중에 여러 지방을 다니다가 마조도일 선사를 참알했다. 마조 선사가 “네 집의 보배창고를 돌아보지 아니하고 집을 버리고 어지러이 돌아다니니 무엇을 하겠느냐?”고 한 말에 본성을 깨달아 6년 동안 마조를 섬겼다. 월주로 돌아가 「돈오입도요문론」 1권을 지었는데, 마조 선사가 이를 보고 “월주에 큰 구슬이 하나 있는데 참으로 둥글고 밝아서 그 빛이 자유자재로 비친다.”라고 말한 데서 대주(大珠) 화상이라는 별칭이 생겼다. 상?하 2권으로 된 <대주선사어록>에 「돈오입도요문론」과 「제방문인참문」이 전해진다.
펼치기
학산 대원 대종사 ()    정보 더보기
1942년 경북 상주 출생(음력 3월 13일) 1956년(만 14세) 상주 남장사로 출가(은사: 고암, 계사: 동산) 1962년(만 20세) 구족계 수지 1966년 일대시교 이수(고봉, 성능, 호경, 혼해 스님 문하) 이후 21년간 제방선원에서 정진 (효봉, 동산, 고암, 경봉, 전강, 향곡, 성철, 구산, 월산 선사 회상) 1972년 고암 상언 대종사로부터 인가 받음 ‘뜰 앞의 잣나무’ 화두를 타파하고 오도 1986년 고암 상언 대종사로부터 전법 부촉 석가여래 제70세 법손(용성 진종 –고암 상언 –학산 대원) 1986년 계룡산 학림사(鶴林寺) 창건 1995년 오등선원 개원(조실로 추대) 2001년 오등시민선원 개원 2010년 대한불교조계종 전국선원수좌회 수석대표 2013년 해인총림 서당, 대한불교조계종 원로의원 2014년 대한불교조계종 대종사 법계 품서 2017년 대한불교조계종 종정 자문위원 대한불교조계종 원로회의 수석부의장 고암문도회 문장 2022년 대한불교조계종 원로회의 의장 2024년 해인총림 제10대 방장 법어집 | 《철벽을 부수고 벽안을 열다》, 《진흙 속에서 달이 뜨네》 강설집 | 《무구자 도인 주해 반야심경》, 《대주선사어록 강설》, 《금강경오가해 강설》, 《조주록 강설》
펼치기

책속에서

어떤 경계에 부딪치더라도 흔적이 없어야 합니다. 흔적이 남았다는 것은 그 순간 여러분이 화두를 놓쳤음을 뜻합니다. 그때 즉시 머리를 돌이켜서 관해야 합니다. 그 순간 재빨리 돌이켜 잡으라는 말입니다. 빨리 잡지 않으면 찰나에 놓치고 맙니다. 모든 순간을 그렇게 하다 보면 완전히 익어지게 됩니다. 공부가 아주 익어지면 모든 곳에서 사량분별을 일으키지 않고 보는 대로 나타내 보이고 온갖 것을 분별해 따지고 했더라도 흔적이 없이 턱 지나갈 뿐입니다.


간화선에서 ‘이뭣고’ 하는 데는 일체가 단박에 끊어집니다. “이뭣고” 하는데 만약 “부처입니다.”라고 대답하면 “미친 놈”이라고 방망이로 때립니다. “마음 아닙니까?” 하면 “이놈아,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라고 때리고, “그러면 물건입니까?” 하면 “이놈아, 물건은 무슨 물건이야, 아니야.” 하고 때립니다. 이처럼 갖다 대는 것마다 모조리 끊어버리고 긍정해 주지를 않습니다. 그래서 ‘이뭣고’에서는 가로질러서 바로 대주는 것입니다. 그렇게 정과 혜가 함께 요결하게 질러서 대주는 데서, 대근기大根機는 바로 뒤집어 알아차립니다. “아하, 공연히 내가 쓸데없는 짓을 했구나. 알고 보니까 다 되어 있는 것을 쓸데없이 이처럼 방황을 하였구나.” 하고 순식간에 해 마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479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