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무아·윤회 문제의 연구

무아·윤회 문제의 연구

호진 (지은이)
불광출판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600원 -10% 980원 16,660원 >

책 이미지

무아·윤회 문제의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무아·윤회 문제의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74792657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15-06-26

책 소개

불광학술총서. 무아설과 윤회설은 불교를 지탱하는 두 기둥과 같은 것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재세할 당시에도 이 두 설의 양립 문제는 해결되지 못했다. 그 결과 다양한 이론이 제기되면서 불교는 여러 부파로 나뉘게 되었다.

목차

머리말
다시 쓰는 머리말

1장 서론

2장 윤회사상의 기원

1. 윤회의 의미
2. 윤회사상의 맹아
1) 자료
2) 『베다』에서
3) 『브라흐마나』에서
3. 윤회사상의 출현
1) 『우빠니샤드』에서
2) 윤회사상의 발상
3) 윤회의 형태
(1) A형 윤회
(2) B형 윤회
4) 윤회의 구성요소
(1) 아뜨만
(2) 까르만
(3) 브라흐만
5) 해탈
(1) A형 해탈
(2) B형 해탈

3장 초기 불교의 무아 윤회설
1. 자료
2. 무아설
1) 연기법
2) 무아설
(1) 괴로움
(2) 무아설
(3)무아설의 실천
3. 윤회설
1) 윤회의 의미
2) 윤회의 내용
3) 윤회의 주체
(1) 문제의 제기
(2) 뿟갈라설
(3) 식설
(4) 상속설
4) 업설과 과보설
(1) 업설
(2) 과보설
4. 열반설
1) 열반의 의미
2) 유여의열반
3) 무여의열반
4) 열반의 상태
(1) 소멸상태로서의 열반
(2) 존재상태로서의 열반
(3) 무기로서의 열반
5) 열반의 길

4장 『나선비구경』의 무아 윤회설
1. 경의 소개
1) 구성과 내용
2) 나가세나의 생애
3) 밀린다의 생애
4) 경의 성립연대
5) 대론서로서의 문제점
(1) 메난드로스와 불교
(2) 대론서로서의 문제점
(3) 대론의 성립문제
(4) 논서로서의 『나선비구경』
2. 무아설
1) 수레의 비유
2) 베다구
3) 호흡
3. 영혼의 문
1) 영혼의 문제
2) 기억의 문제
3) 존재의 문제
4. 윤회설
1) 윤회설
2) 업설과 과보설
(1) 업설
(2) 과보설
3) 시간의 문제
5. 열반설
1) 열반의 의미
2) 열반의 내용
3) 열반의 길
(1) 길의 특성
(2) 길의 내용

5장 『나선비구경』의 무아 윤회설의 자료출처
1. 무아설의 자료출처
1) 무아설
(1) 뿟갈라설의 배척
(2) 식설의 추가
(3) 무아설의 채택
2) 정신현상
2. 윤회설의 자료출처
1) 상속설
2) 시간의 문제
3) 의도와 업의 관계
3. 열반설의 자료출처
1) 열반설
2) 출가의 길과 재가의 길
3) 열반의 길

6장 결론

약어
참고문헌
1. 경전·인도고전
2. 저서 및 논문
3. 사전

찾아보기

저자소개

호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직지사로 출가. 동국대학교 불교대학과 대학원에서 불교학 전공. 프랑스 소르본 대학교 철학과에서 초기불교전공. 종교학박사.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2000년까지 초기·부파불교 강의. 저서로는 『무아·윤회문제의 연구』와 Le probleme de l’anatman et du samsara dans le sutra du bhiksu Nagasena(韓·佛合本), 『인도불적답사기』, 『성지에서 쓴 편지』(공저), 『인도불교사』(1-2)(번역), 『아쇼까왕 비문』(공역)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불교의 노동문제」, 「윤회이론의 기원」, 「불멸연대고(佛滅年代考)」, 「나선비구경 연구」(1), 「초기불전성립연구」(1-2), 「A?oka 왕과 불교」, 「Menandros 왕의 불교 개종 문제」, 「불교의 죽음 이해」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윤회사상은 인도 종교와 철학에 있어서 핵심적인 것이다. 이 사상이 없다면 인도의 종교와 철학은 그 존재 이유를 잃어버리고 말 것이다. 인도의 거의 모든 종교와 철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윤회에서 벗어나는 것, 즉 해탈을 성취하는 것이므로 윤회가 없다면 해탈을 위한 노력은 의미가 없게 된다. 이것을 르네 그루쎄(Ren? Grousset)는, “(인도의) 모든 사상의 존재 이유는 오로지 인간을 윤회의 악몽에서 해방시킬 수 있는 지적(知的), 고행적(苦行的), 신비적(神秘的) 수단을 추구하는 것일 뿐이다.”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윤회사상이 바깥에서 불교에 도입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좀 더 정확하게 말한다면 불교는 윤회신앙과 함께 시작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처음부터 불교는 윤회사상을 외래적인 것으로서가 아니라 불교의 정통사상으로 생각했었다. 『아함경』의 많은 곳에서 “선과 악의 업도 없고 그 과보도 없으며 이 세상도 저 세상도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삿된 견해[邪見]라고 가르치고 있다. 『마하바스뚜[大事]』에서 붓다는 “비구들아, 나는 단 한 가지 사실 즉 업(karman)만을 가르친다.”라고 선언하기까지 했다.


무아·윤회를 내세우는 불교는 윤회의 주체로서 영속하는 실체를 인정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누가 업(業, karman)을 짓고 누가 그 업의 결과[果報]를 받는가. 발레 뿌쌩이 말한 것처럼 “(윤회의 주체인) 자아를 부정하는 것은 과보와 윤회를 부정하는 것이다.”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불교에서는 “윤회의 주체는 존재하지 않지만 업도 있고 과보도 있고 윤회 역시 있다.”고 주장한다. 『잡아함』의 「제일의공경(第一義空經)」은 한마디로 이것을 “업과 과보는 있지만 업을 짓는 자는 없다[有業報而無作者].”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4792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