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티베트 밀교의 명상법

티베트 밀교의 명상법

게셰 소남 걀첸 곤다 (지은이), 석혜능 (옮긴이)
불광출판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티베트 밀교의 명상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티베트 밀교의 명상법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티베트 불교 > 티베트 불교 일반
· ISBN : 9788974795696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09-11-16

책 소개

티베트 밀교의 기본적인 명상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티베트 불교의 현교와 밀교에 모두 공통되는 가장 기본적인 명상법을 기술한다. 이 명상법은 티베트 밀교의 본격적인 명상수행에 들어가기 위한 준비단계라고 할 수 있다. 예비단계의 명상법이지만 티베트 불교에서 매우 중요하고, 누구라도 이 예비단계 명상법을 실천하지 않고는 밀교 수행에 들어가는 것을 허락받지 못한다. 초심자도 따라할 수 있는 상세한 설명과 구성으로 소개하는 책.

목차

옮긴이의 말·005
서문·015
시작하며·019

제1장 명상이란 무엇인가
1. 명상의 내용과 종류 027
2. 명상의 동기에 대해서 031
3. 명상의 자세에 대해서 035
4. 집중하는 명상법(止: 사마타) 040
5. 분석적인 명상법(觀: 위빠사나) 044
6. 명상을 마치는 방법 056

제2장 귀의의 명상
1. 귀의의 중요성에 대해서 059
2. 집회수集會樹 관상을 통한 귀의 명상법 065

제3장 보리심 명상법
1. 보리심 일으키기 089
2. 인과에 따른 일곱 가지 비결 092

제4장 금강살타의 명상법
1. 불선업의 의미와 참회하지 않는 과실 112
2. 참회의 공덕 113
3. 참회 방법 114
4. 금강살타 명상과 염송법 117
5. 명상의 준비 단계 120
6. 실제 명상법(1) 122
7. 실제 명상법(2) 124
8. 실제 명상법(3) 137
9. 네 가지 관정[四灌頂]에 관한 감로강정법甘露降淨法 141
10. 네 가지 활동[四事業]에 관한 관상법 143
11. 백자진언을 외울 때 주의점 146
12. 백자진언의 네 가지 공덕 148
13. 삼맥오륜三脈五輪의 관상과 의미 150
14. 명상을 마치는 방법 151

제5장 구루 요가에서 스승의 중요성
1. 스승의 자격 161
2. 의지할 수 없는 스승의 과실 164
3. 제자의 자격 167
4. 스승을 따르는 방법 170

부록
귀의와 발보리심·185
금강살타 명상법·189
관세음보살의 구루 요가·199

참고문헌

저자소개

게셰 소남 걀첸 곤다 (해설)    정보 더보기
1955년 티베트 본토의 틴리 마을에서 태어났지만, 중국의 티베트 침공으로 소년 시절에 인도로 망명하였다. 18살이 되던 1973년 출가하여, 달라이 라마 법왕의 임시 궁전에 신설된 다람살라 불교논리대학에서 티베트 불교의 전통적인 학문과 수행을 쌓았다. 1983년 일본으로 건너와서 일본 불교를 공부하면서 티베트의 불교 전통과 비교?연구하였다. 1992년 다이쇼(大正)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불교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마치고 나서, 달라이 라마 법왕 일본 대표사무소(티베트하우스)에서 문화교류를 담당하면서 1998년까지 근무하였다. 1996년 겔룩파의 대본산(大本山)인 데풍사 로셀링 학당에서 불교철학박사에 해당하는 ‘게셰’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티베트불교보급협회(Potala College; www.potala.jp)의 회장 겸 주임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티베트밀교의 명상법’, ‘티베트불교 문수보살의 비결’, ‘여덟 개의 시송에 의한 마음의 훈련’ 등이 있고, 공저서로 ‘실천 티베트불교입문’, ‘티베트밀교 마음의 수행’, ‘티베트의 반야심경’, ‘람림 전수록 1?2’가 있고, 공역 및 공역주서로 ‘달라마 라마 생활 태도의 연구’, ‘판첸 라마의 람림’, ‘입보리행론’, ‘달라이 라마 명상입문’ 등이 있고, 이외에 티베트불교에 관한 논문이 다수 있다.
펼치기
석혜능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불심도문(佛心道文)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고, 자운성우(慈雲盛祐)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와 보살계를 수지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불교학을 전공하고, 해인사 해인총림율원과 파계사 영산율원에서 계율학을 연찬하였고, 일본 진언종의 총본산인 고야산(高野山)과 인도 다람살라의 규또사원(上密院)에서 밀교학을 연찬하였으며, 해인총림율원 율원장과 한국역경학회(Maha Kasyapa's Society) 회장을 역임하였다. 제14대 달라이 라마 존자로부터 관정과 삼마야계를 받으면서 ‘텐진 카샤파(Tenzin Kasyapa)’라는 법명을 받았다. 현재 인도 다람살라 규또사원(上密院)과 람림의 마을 보리원(菩提苑)에서 쫑카빠 대사의 람림(Lamrim, 보리도차제)을 바탕으로 한 보리심(菩提心)과 지관쌍운(止觀雙運)의 교학과 수행 체계를 연찬하며 역경(譯經)과 수행(修行)에 전념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반야이취경 강해’(松長有慶 지음, 동국역경원), ‘법화경의 세계’(平川彰 지음, 부다가야), ‘사미학처’(하늘북), ‘원시불교의 연구’(平川彰 지음, 민족사), ‘비구계의 연구’1, 2(平川彰 지음, 민족사), ‘티벳불교 보드가야 대기원법회 독송집’(제17대 까르마빠 지음, 부다가야), ‘보살37수행’(톡메 상보 지음, 티베트하우스 코리아), ‘입보살행론’(산티데바 지음, 부다가야)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