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원시불교 교단의 연구

원시불교 교단의 연구

사토오 미츠오 (지은이), 석혜능 (옮긴이)
부다가야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2,750원 -5% 0원
1,350원
41,400원 >
40,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4,050원
36,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원시불교 교단의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원시불교 교단의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86628577
· 쪽수 : 1100쪽
· 출판일 : 2024-05-22

목차

•추천사 - 캉세르 린포체 4
•서문 - 사토미츠오 6

제1장 서설序說

1. 율장의 내용(해설) 23
⑴ 율장의 구성 23
⑵ 경분별부 26
① 비구분별 30
② 비구니분별 33
⑶ 5종 율장 경분별부의 동이同異 35
⑷ 건도부犍度部Khandhaka 39
⑸ 부수附隨 58
⑹ 『빠알리율』의 부수附隨 59
⑺ 한역漢譯의 제3부 61
2. 율장과 붓다 입멸연대 66
3. 제2결집과 대합송의 전설 78
4. 두 번의 결집과 율장 88
⑴ 제1결집과 율장 88
⑵ 제2결집과 율장 97
5. 아소카의 전도와 부파율장 109
6. 『십송율』과 『근본유부율』 125
7. 율장 건도부의 성립 134

제2장 출가와 비구

1. 인도에서 출가 사문의 발생 151
2. 출가와 교단 166
3. 출가계와 비구계 185
4. 경분별과 비구계 199
5. 건도부와 비구계 213

제3장 비구의 입단入團과 의지依止

1. 선래비구수구善來比丘受具와 삼귀수구三歸受具 229
2. 10가지 수구受具 239
3. 백사갈마수구白四羯磨受具 258
⑴ 계단戒壇 261
⑵ 화상의 청걸請乞 270
⑶ 교수사의 교계敎誡 274
⑷ 백사갈마수구 280
⑸ 사의사불응작四依四不應作의 교계敎誡 288
⑹ 외도·사미 등의 수구자격 300
4. 화상·아사리법과 제자법 316
⑴ 화상법 316
⑵ 화상법과 제자법 323

제4장 승가의 조직

1. 불교승가의 조직 343
2. 현전승가 354
3. 결의의 형식(三種羯磨) 363
4. 무교주제無敎主制와 파문破門의 불성립不成立 371
5. 집사인과 자산의 공유 392
⑴ 집사인執事人 392
⑵ 승가물僧伽物 404

제5장 승가의 쟁사諍事와 멸쟁滅諍

1. 네 가지 쟁사諍事와 멸쟁법滅諍法 415
2. 쟁론쟁사의 현전비니멸現前毘尼滅 434
⑴ 『빠알리율』의 현전비니 434
⑵ 한역 율律들의 현전비니 444
3. 쟁론쟁사의 다멱비니멸多覓毘尼滅 461
4. 교계敎誡·범죄犯罪 두 쟁사의 멸쟁 478
⑴ 억념비니憶念毘尼 479
⑵ 불치비니不癡毘尼 482
⑶ 멱죄상법覓罪相法 tassapāpiyasika 484
⑷ 자언치법自言治法 493
⑸ 여초부지법如草覆地法 498
5. 사쟁사事諍事의 멸쟁법 503
6. 판단·결정 505

제6장 승가에서 징벌갈마

1. 승잔죄의 복죄服罪와 출죄 513
⑴ 별주, 마나타와 복사服事 513
⑵ 별주의 반복과 본일치本日治 529
① 본일치本日治 529
② 합일별주合一別住 530
③ 각종 별주 532
2. 징벌갈마懲罰羯磨 538
⑴ 고절갈마苦切羯磨 538
① 고절갈마의 인연과 대상 538
② 고절갈마의 행법[服事] 543
③ 고절갈마의 여법한 조건(法亂用의 억제) 546
⑵ 의지·구출·하의갈마 548
① 의지갈마 548
⒜ 의지갈마의 인연 548
⒝ 의지갈마의 대상 550
⒞ 행법 550
⒟ 갈마의 여법 552
② 구출갈마 552
⒜ 구출갈마의 인연 552
⒝ 구출갈마의 대상 554
⒞ 구출갈마 행법 556
⒟ 구출갈마의 여법 557
③ 하의下意갈마 557
⒜ 하의갈마의 인연 557
⒝ 하의갈마 대상 562
⒞ 하의 갈마 회과법 564
⒟ 하의갈마의 여법 569
⑶ 복발갈마 569
3. 세 가지 거죄갈마와 현시顯示·범단법梵壇法 575
⑴ 불견죄거죄갈마不見罪擧罪羯磨의 인연 575
⑵ 불참죄거죄갈마의 인연 577
⑶ 불사악견거죄갈마의 인연 578
⑷ 거죄갈마의 대상 584
⑸ 거갈마의 행법 585
⑹ 거죄갈마의 여법·불여법 587
⑺ 거죄갈마와 학처 589
⑻ 거죄갈마의 특종적인 의의 590
⑼ 현시갈마顯示羯磨pakāsaniyakamma 595
⑽ 범단법 597

제7장 계경戒經과 안거安居·포살布薩

1. 바라제목차와 포살 603
⑴ 비구와 바라제목차(戒經) 603
⑵ 바라제목차(戒經) 610
⑶ 과거 7불의 게계경 615
⑷ 비구계바라제목차 631
⑸ 바라제목차와 포살 638
⑹ 포살과 바라제목차 653
2. 불교승가의 승원화 663
⑴ 비구생활의 변화 663
⑵ 비구주처의 변화 674
⑶ 안거주처의 고정 683
⑷ 자자自恣와 가치나의식 696

제8장 율제律制와 정법淨法

1. 네 가지 정통성[四大敎法]과 오정법五淨法·칠정법七淨法 713
⑴ 네 가지 정통성 713
⑵ 오정법五淨法과 칠정법七淨法 721
2. 제2결집의 10사事 734
3. 금전金錢과 정법淨法 748
4. 식사와 음식 763
5. 음식食의 정법淨法과 검개칠사儉開七事 777
⑴ 정지淨地와 정주淨廚 777
⑵ 검개칠사儉開七事 792
6. 의발 정법 798

제9장 불교의 의제衣制

1. 비구의 삼의三衣와 비구니의 오의五衣 809
⑴ 분소의糞掃衣와 시의施衣 809
⑵ 비구의 삼의와 작정법 822
① 삼의와 도천刀賤 822
② 삼의의 색천色賤 828
⑶ 비구니의 오의五衣 837
2. 옷에 관한 비구계 849
⑴ 「장의계」와 옷의 정시淨施 849
⑵ 이의숙 등의 계 862
⑶ 섭의계攝衣界 875
⑷ 화구臥具와 견의絹衣 911

제10장 데바의 파승과 제1결집

1. 데바의 파승 935
⑴ 승가의 현실적 모순 935
⑵ 데바의 파승사 943
2. 제1결집 956
⑴ 결집 준비 956
⑵ 삼장의 결집 970
⑶ 결집 후의 제 문제 986
① 소소계와 아난다의 문책회과 986
② 뿌라나이견과 범단 995

부 록

프라우바르너 제작 고건도古犍度에 대하여 1005
⑴ 프라우바르너의 『원시율장』에 대하여 1005
⑵ 원형 건도의 내용 1009
1. 수계건도受戒犍度(Pravrajyāvastu) 1009
2. 포살건도布薩犍度(Poṣadhavastu) 1012
3. 안거건도安居犍度(Varṣāvastu) 1014
4. 자자건도自恣犍度(Pravāraṇāvastu) 1015
5. 피혁건도皮革犍度(Carmavastu) 1016
6. 약건도藥犍度(Bhaiṣajyavastu) 1017
7. 의건도衣犍度(Cīvaravastu) 1019
8. 가치나의건도迦絺那衣犍度(Kaṭhinavastu) 1021
9. 구섬미건도拘睒彌犍度(Kośāmbakavastu) 1022
10. 갈마건도羯磨犍度(Karmavastu) 1022
11. 반다로가건도般茶盧伽犍度(Pāṇḍulohitakavastu) 1023
12. 인건도人犍度(Pudgalavastu) 1024
13. 자자건도自恣犍度(Pārivāsikavastu) 1024
14. 차설계건도遮說戒犍度(Poṣadhasthāpanavastu) 1024
15. 멸쟁건도滅諍犍度(Śamathavastu) 1025
16. 파승건도破僧犍度(Saṃghabhedavastu) 1025
17. 와좌구건도臥坐具犍度(Śayanāsanavastu) 1027
18. 위의건도威儀犍度(Ācāravastu) 1028
19. 잡건도雜犍度(Kṣudrakavastu) 1028
20. 비구니건도比丘尼犍度(Bhikṣuṇīvastu) 1029
21. 두 번의 결집兩度結集(Saṃghītivastu) 1029

律海心要攝頌附註 1030
원시 불교 교단의 율장 연구 - 영문 서문 1047
Notes 유의사항 - 사토미츠오 1050
쫑카빠 대사의 「율해심요섭송」 1064

•청정범행과 정법구주를 위하여 - 역자후기 1068
•찾아보기 1074

저자소개

사토오 미츠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석혜능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불심도문(佛心道文)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고, 자운성우(慈雲盛祐)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와 보살계를 수지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불교학을 전공하고, 해인사 해인총림율원과 파계사 영산율원에서 계율학을 연찬하였고, 일본 진언종의 총본산인 고야산(高野山)과 인도 다람살라의 규또사원(上密院)에서 밀교학을 연찬하였으며, 해인총림율원 율원장과 한국역경학회(Maha Kasyapa's Society) 회장을 역임하였다. 제14대 달라이 라마 존자로부터 관정과 삼마야계를 받으면서 ‘텐진 카샤파(Tenzin Kasyapa)’라는 법명을 받았다. 현재 인도 다람살라 규또사원(上密院)과 람림의 마을 보리원(菩提苑)에서 쫑카빠 대사의 람림(Lamrim, 보리도차제)을 바탕으로 한 보리심(菩提心)과 지관쌍운(止觀雙運)의 교학과 수행 체계를 연찬하며 역경(譯經)과 수행(修行)에 전념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반야이취경 강해’(松長有慶 지음, 동국역경원), ‘법화경의 세계’(平川彰 지음, 부다가야), ‘사미학처’(하늘북), ‘원시불교의 연구’(平川彰 지음, 민족사), ‘비구계의 연구’1, 2(平川彰 지음, 민족사), ‘티벳불교 보드가야 대기원법회 독송집’(제17대 까르마빠 지음, 부다가야), ‘보살37수행’(톡메 상보 지음, 티베트하우스 코리아), ‘입보살행론’(산티데바 지음, 부다가야)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