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상용어 지명 사전

상용어 지명 사전

(불교에서 유래한)

박호석 (엮은이), 정병조, 최명환 (감수)
불광출판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27,000원 -10% 0원
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상용어 지명 사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상용어 지명 사전 (불교에서 유래한)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74797621
· 쪽수 : 704쪽
· 출판일 : 2011-07-28

책 소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상용어와 지명 가운데 불교에 뿌리를 두는 어휘들만 가려뽑아서 사전식으로 정리하였다. 이 책에서 <불교에서 유래한 상용어>편은 자연과학도인 편저자 박호석 박사의 정밀함과 치밀함에 더하여, 평생을 불교학에 몸 담은 불교학자와 아직도 책을 집필하면서 활동하고 있는 국어학자의 엄정한 감수를 거쳐서 탄생했다.

목차

감수의 글 : 정병조 … 006
감수의 글 : 최명환 … 007
머리글 … 009
일러두기 … 012
참고문헌 … 013


불교에서 유래한 상용어

㉠ … 018 ㉦ … 229 ㉫ … 423
㉡ … 109 ㉧ … 289 ㉬ … 431
㉢ … 120 ㉨ … 354 ㉭ … 437
㉤ … 148 ㉩ … 403
㉥ … 189 ㉪ … 422


불교에서 유래한 지명

머리글 … 462
일러두기 … 464

1. 불교용어 유래 지명 … 468
2. 사찰 유래 지명 … 614


찾아보기
불교에서 유래한 상용어 … 680
불교에서 유래한 지명 … 691
1. 불교용어 유래 지명 … 691
2. 사찰 유래 지명 … 697

저자소개

박호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 괴산 선유동에서 태어나 청주에서 성장했다. 대학 시절 洪幻星 법사를 은사로 불교에 입문하여 해인사 古庵 스님에게 십선계를, 화엄사 ?山 스님에게 보살계를 수계. 송광사 九山 스님에게 법명 性林을, 안국선원 修不 스님에게 법호 月空을 받았다. 충북대학교 농공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농촌진흥청의 연구직 공무원으로 재직하면서 프랑스 국립농학연구소에 유학하였고, 농협대학교 교수로 퇴임하였다. 학생 시절에는 대불련 충북지부장으로, 군에서는 제38보병사단 군종병으로 활동하였으며, 공직에서 물러나고는 육군 제1공병단과 제3군수지원사령부의 민간성직자로 위촉되어 법사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재가불교단체인 (사)대한불교삼보회 이사장으로 불법홍포에 전력하고 있다. 『불교유래 상용어 사전』 2011 불광출판사, 『오직 지금뿐』 2008 생각나눔, 『한국의 농기구』 2001 어문각, 『동서양 쟁기의 기원과 발달』 1988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정병조 (감수)    정보 더보기
1947년 경북 영주 출생. 1971년에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동국대학교 윤리학과 교수, 인도 네루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동국대학교 부총장, 사단법인 한국불교연구원 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동국대학교 명예교수이며 금강대학교 총장을 맡고 있다. 불교이론의 현대화에 앞장 서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저자는 불교의 근본 사상을 대중들이 쉽게 접하도록 하는 데 탁월하다. 어렵게 느껴지기 쉬운 불교 개념을 일상의 일들로 비유해내는 쉽고 명쾌한 강의로도 유명해 누구나 모시고 싶어 하는 명강사 섭외 일순위이다. 최근에는 다수의 불교문헌들을 영역(英譯)하는 작업을 주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인도철학사상사》《불교와 인도고전》《한국불교사상사》《한국불교철학의 어제와 오늘》《실천불교》《불교입문》《정병조의 불교강좌》《인도사》《History of Korean Buddhism》《동아시아 불교 교류 연구》(공저)《화엄경 산책》《Master Wonhyo(원효성사)》 등을 비롯해 60여 편의 논문과 10권의 번역서가 있다.
펼치기
최명환 (감수)    정보 더보기
공주교대를 졸업한 뒤 국제대학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동국대에서 석사, 명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주교대 국어교육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공저로 「문학교육론』(집문당, 1996), 『국어교육학의 이론화 탐색』(일지사, 1995), 『국어교육학 개론』(삼지원, 1996)이 있고, 저서로 『글쓰기의 원리 탐구』(2011, 지식산업사)가 있다. 또한 블로그 ‘최명환의 글집’(baldchoi@blog.naver.com)을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최명환의 다른 책 >

책속에서

● 감수의 글

생활 속에 스며든 불교문화를 찾는 일은 소중한 작업입니다. 그리고 이를 찾아내어 정리하고 집필한 이가 불교학이나 국어학자가 아니라 자연과학을 전공한 전직 교수라는 점이 더욱 뿌듯합니다. 그래서 감수에 앞서 저자의 그간의 노력과 열정 그리고 그동안 누구도 하지 않았던 일을 해준 점에 감사하는 마음이 앞섭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원고를 검토하는 일을 소홀히 할 수 없었습니다. 다만 감수 과정에서 선정된 어휘가 불교용어인지, 그 용어의 정의가 불교학적으로 합당한 표현인지 살펴보고 수정하는 것과 윤문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불교용어의 경우, 이미 그 출전이 잘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어원을 살피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그러나 선정된 어휘가 모두 불교에서 먼저 사용했느냐 아니냐의 문제는 판단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자 역시 이 문제에 대해서는 불교경전이 도입된 시기를 유추하는 것으로 대신하고 상용어가 불교용어가 분명한 어휘로 한정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쓰는 일상의 말과 지명 가운데에 불교적 뿌리를 두고 있는 어휘를 사전식으로 정리한 이 책은 불교, 국어, 민속 분야의 귀중한 자료로서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그리고 아직 발굴되지 않은 많은 불교어휘나 지명이 이 책의 출간과 함께 세상에 드러나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금강대학교 총장 정병조


● 감수의 글

감수란 책의 저술이나 편찬 따위를 지도하고 감독한다는 뜻이다. 《불교에서 유래한 상용어?지명 사전》을 감수하려면 세 가지 요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그 요건이 이 사전 이름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불교와 관련된 인사, 불교 연구자, 문장 기술의 전문가라야 이 사전의 감수자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나는 이 사전 감수 적임자가 못됩니다. 불교와 먼 사람이고, 불교를 연구한 적이 없으며, 겨우 글쓰기 연구의 끝자락을 차지하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저자 박호석 박사가 굳이 나를 끌어들이려는 의도는 분명해 보입니다. 자연과학을 전공한 그가 최근에 내 《글쓰기 원리 탐구》를 읽고 느낀 바 있어서이겠습니다.
지식인은 지식으로 소통하고 구조로 공감합니다. 박 교수는 2001년에 《한국의 농기구》를 펴낸 바 있습니다. 자연학문의 견고성을 이 책에서 읽은 나는 그의 옹골찬 문장과 튼실한 구조에 공감하였습니다. 그가 두툼한 《불교에서 유래한 상용어·지명 사전》 원고를 필자에게 넘겨 줄 때 선뜻 받아들인 까닭은 그의 봉사하는 삶과 학문적인 열의와 수행의 태도에 공감하였기 때문입니다. 날마다 쓰이는 불교어 사전을 내는 작업은 이중의 부담을 떠안는 일입니다. 우리가 쓰는 말에서 불교어를 찾아내는 일이 쉽지 않거니와 찾아낸 불교어를 요즘 사람이 알기 쉽게 풀이하는 일이 더 어려워서입니다. 그럼에도 박호석 박사는 여러 해에 걸쳐 이 작업에 몰두하여 일상의 불교어를 찾아 분류하였고, 이들의 어원과 맥락, 의미와 기능을 쉬운 문체로 설명하였습니다.
사전은 개념을 분명히 하여 소통을 돕는 언어 도구입니다. 불교어를 쉽게 풀이하여 소통을 도우려면 정의의 방식에 기대야 합니다. 그런데 정의의 방식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불교와 관련된 단어를 관례적 용법의 특징을 어느 정도 드러내는 일, 다소 모호한 낱말을 더욱 명확하게 만드는 일, 외연이 아주 분명한 낱말의 내포적 정의를 마련하는 일, 이론적으로 아주 중요하고 유용한 낱말을 만드는 일을 목적으로 삼고, 다각적으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입니다(《논리학》, W.C. 새먼, 곽강제 역, 2008. 318~319쪽).
그래서 나는 감수 관점을 세 층위로 잡았습니다. 첫째 불교어 정의를 충실히 하였습니다. 둘째 문체를 현대화하였습니다. 셋째 알기 쉽게 풀이하였습니다. 그래서 간명한 정의 양식에 따랐고, ‘-에 있어서’, ‘의해서, 인해서, 접해서, 통해서’ 따위의 외래적 표현을 극복하면서 문장부호 사용의 정확성까지 살폈습니다. 그리고 저자의 의도를 살리고자 유창성을 드러내었습니다.
《불교에서 유래한 상용어·지명 사전》은 누구나 외연을 잘 알고 있는 불교어에 대하여 내포적 정의를 마련함으로써 사전의 구실을 잘 살렸습니다. 이런 의도를 살리고자 설명 방식을 논증 구조로 짰습니다. 그래서 불교어 이해로 신앙과 문화를 논리화하도록 풀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이 사전의 보급으로 불자의 설득 언어가 논증 언어로 거듭나기를 바랍니다.

공주교육대학교 명예교수 최명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