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술의 불복종

미술의 불복종

(미술, 사회의 부조리와 모순 그리고 숨겨진 진실을 말하다)

김정락 (지은이)
서해문집
12,9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술의 불복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술의 불복종 (미술, 사회의 부조리와 모순 그리고 숨겨진 진실을 말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8897483393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09-07-24

책 소개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생각과 손을 통해 만들어진 모든 미술 가운데 로마의 분수, 초상화, 민중의 편에 선 미술, 사실의 표현, 미술의 파괴, 팝아트, 풍경화, 미술과 여성 등 여덟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인간과 사회를 읽어 내는 책.

목차

추천의 글_ 김정락, 미술사의 고갯마루에서 당신을 기다리는 성실한 안내자 4
여는 글_ 미술이 털어놓는 역사적 진실에 경청하며 8

01 (자연과 미술) 미술은 어떻게 자연과 교류해 왔을까
물과 인간 17 | 도시의 형성과 물 20 | 고대 로마의 수로 23 | 르네상스 시대의 분수 29 | 매너리즘과 초기 | 바로크를 잇는 개선문 분수 32 | 바로크의 분수를 조각한 예술가, 베르니니 37 | 자연과 예술의 결합, 트레비 분수 45

02 (미술과 권력) 미술은 권력에 대해 창녀?
초상화의 역사 55 | 특권의식과 권력의 상징, 초상화 59 | 르네상스의 인본주의적 초상화 65 | 사적인 영역의 예술, 새로운 초상화 74

03 (미술의 불복종) 사회의 부조리와 모순, 기만적인 현실을 고발하다
미술과 정치 권력 89 | 민중에 의한, 민중을 위한, 민중의 미술 92 | 고야와 도미에 95 | 케테 콜비츠와 에른스트 발라흐 105 | 루쉰과 목판화 운동 112

04 (미술과 사실의 모순적 관계) 미술은 사실이 아니라 사실에 대한 허상을 생산한다
제욱시스의 포도나무 125 | 사실주의 미술사 131 | 사진과 사실주의 138 | 포토리얼리즘 145 | 사실주의의 현재와 미래 152 | 한국 미술의 사실주의 153

05 (미술 파괴) ‘문화와 역사의 말소’를 가져오는 미술 파괴 행위에 대하여
정치적 희생양이 된 미술 159 | 종교와 미술 파괴-성상파괴운동과 종교개혁 163 | 프랑스 대혁명과 미술 파괴 171 | 독일 나치스의 ‘퇴폐미술전’ 176

06 (팝아트) 현대 소비문화의 환상과 실재
현대 자본주의와 소비문화 193 | 자본주의 미학과 팝아트 197 | 미술의 상품화 혹은 상품의 미술화 207 | 팝아트가 남긴 것들 219

07 (풍경화) 현재진행형 산업화와 자연의 상실 그리고 미술
자연과 인간 223 | 자연의 개념과 이상 227 | 과학으로 해부된 자연 232 | 인간이 만든 자연, 풍경 정원 240 | 자연에 대한 인간의 태도 245 | 자연을 미학화한 19세기 풍경화 247

08 (미술에서의 젠더)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는가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는가 257 | 미술 객체로서의 여성과 여성의 신체 260 | 여성의 반항-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와 팜므 파탈 266 | 현대미술에서의 페미니즘 276

참고문헌 286

저자소개

김정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 박사학위 취득(서양미술사학) 카이스트 강의교수 서양미술사학회 등 다수의 미술사학회 임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무엇보다도 네 강의 분수는 가톨릭과 교황의 영광 및 권위를 상징하는 기념물이었다. 오벨리스크는 기독교 시대에 들어와-비록 이방 종교의 것이었음에도-영원, 즉 하나님의 권세를 상징하게 되었다. 오벨리스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의미하는 암산 위에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위에서부터 아래로 훑어보면 하나님의 영광이 땅으로, 즉 하나님의 영광이 오벨리스크의 기둥을 타고 내려와 세계로 퍼져 나가는 모습을 연상할 수 있다. 이는 당시 예수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세계 선교의 이데올로기를 형상화한 것으로, 네 강의 인격화된 형상들은 바로 전 세계를 의미한다. 더욱이 네 강은 이미 에덴동산에 존재했던 것이 아니던가.
이렇듯 분수는 단지 물에 대한 형상화의 의미뿐 아니라 정치적인 이슈까지도 담고 있다. 덧붙여 암산에는 교황 가문의 문장까지 새겨져 있어서 이중, 삼중의 도상학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_본문 43-44쪽 중에서


케테 콜비츠는 근대 독일의 역사가 민중에게 남긴 고통과 민중의 몸짓을 기록한 화가이다. 화가는 여성으로서, 특히 어머니로서 민중의 고통을 가슴으로 아파했다. 차갑게 식어 버린 어린 자식을 안고 슬퍼하는 어머니는-이것은 오래전 유대인과 로마에 의해 희생된 아들의 주검을 안고 있는 마리아를 그린 피에타를 연상하게 한다-자신의 모습이자 동시대를 살아야 했던 모든 어머니와 앞으로 그와 같은 고통을 짊어질 모든 여성들의 모습이었다. 그 어머니들 콜비츠의 분노 섞인 목소리로 “씨앗을 분쇄하지 말라Saatfr?chte sollen nicht vermahlen werden.”고 외친다.
그녀의 작품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인간은 억압받고 학대받는 모습이다.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인생에는 유쾌한 면도 있는데 왜 당신은 비참한 것만을 그리는가 하고 누군가 내게 묻는다면 나는 정확한 답을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것만은 명확히 말해 두고 싶다. 나는 처음부터 프롤레타리아의 생활에 동정을 하거나 공감을 했기 때문에 그들을 그린 것이 아니다. 오히려 나는 그들에게서 단순 명쾌한 아름다움을 느꼈다.”
_본문 105-108쪽 중에서


제욱시스의 포도나무가 실재하는 나무였다면 아무도 그것에 대해 칭찬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것은 그림이었다. 여기서 우리를 놀라게 하는 것은 실재, 즉 사실이 아니라 사실을 그린 허상Illusion이다. 미술은 사실이 아니라 사실에 대한 허상을 만드는 작업이고, 우리는 그 허상의 ‘사실성’에 감탄한다. 그 사실성은 사실이 아니다. 그것은 단지 우리가 사실로 보게끔 하는 허상일 뿐이다.
_본문 127-128쪽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