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3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1992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였고 그 뒤 동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수학했다. 199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문학평론 「여자들이 스러지는 자리-윤대녕 론」이 당선되어 문학평론가가 되었고, 대학원에서는 드라마(연극)를 전공하여 2000년 「오태석 희곡의 개방성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2003년 「1960~70년대 문예영화 시나리오의 영상 미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년 『조선일보』에 「숨어 있는 희망을 기다리는 두 사내」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연극평론 활동을 시작했고, 2007년에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영화평론 「경박한 관객들-홍상수 영화를 대하는 관객의 시선들」이 당선되어 영화평론가가 되었다.
연극 관련 연구서로 『조선의 여배우들』(2006년), 『조선의 대중극단들』(2010년), 『조선의 대중극단과 공연미학』(2013년), 『전위무대의 공연사와 공연미학』(2013년), 『부두극단의 공연사와 공연 미학』(2014년), 『연변의 연극과 조선족 극작가들-역사적 상흔과 그 기록으로서 희곡문학』(2018년), 『조선의 지역 극장』(2018년), 『영남의 지역 극장』(2018년), 『조선 대중극의 용
광로 동양극장(1~2)』(2018년), 『전북의 지역 극장』(2020년), 『조선 연극과 무대미술(Ⅰ~Ⅱ)』(2021년), 그리고 『조선 신극의 기치 극예술연구회(Ⅰ/Ⅱ-1/Ⅱ-2)』(2023년)을 저술한 바 있다.
1930년대를 근간으로 한 한국 근대극의 풍경을 탐구하려는 마음을 끝까지 잃지 않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1920년대 조선 연극 풍경을 다룬 이 책 역시 그러한 마음과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집필하고자 했다. 한 책에서 이미 말했던 바와 같이, 넓은 연극의 길에서 길을 잃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 가득하고, 나 자신이 가고자 하는 길을 멈추지 않고 떠날 수 있는 용기를 간직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 역시 가득하다.
펼치기
김용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미국 중서부의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캠퍼스의 언론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위를 받은 뒤에는 방송위원회 정책연구실 책임연구원으로 일하면서 방송사업자 재허가 실질심사제의 도입과 방송3D 평가제의 법제화에 힘썼다. 동국대학교를 거쳐 부경대학교에 자리 잡은 후 영상 이해와 제작 실습에 대한 관심을 방송 분야를 넘어 광고 영상, 영화 영상, 게임 영상, 멀미미디어 영상 등 미디어 전반으로 확장했다. 저서로 「영상의 이해」(2009), 「방송제작의 이해」(2004), 「방송평가론」(2004)이 있고, 역서로 「매체현실구성론」(2003), 「방송수용자의 이해」(1998)가 있다.
펼치기
김영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속 :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전자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전공 : 전산학 (컴퓨터 그래픽스)
학위 : 박사
최종학위교 :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저서 : 컴퓨터마당 - 그래픽활용 (홍릉과학출판사)
주요논문(관심분야) : 시뮬레이터개발, 영상처리, 열굴인식, 얼굴 애니메이션 등의 관심분야를 수행중.
펼치기
김무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독어독문학을 전공하고 독일 콘스탄츠 대학교 미디어학과에서 상호미디어성(intermediality)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국립부경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영화이론, 영상이론, 미디어이론을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서사적 영상에서 성찰적 형상으로: 영화 미디어론』, 『뉴미디어 영화론: 수용에서 수행으로』가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