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75047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4-02-29
책 소개
목차
제1부 영상 미디어의 의미
제1장 문자와 영상
제2장 전통 영상과 기술영상
제2부 영상 미디어의 역사
제3장 영화의 탄생
제4장 텔레비전의 발전
제5장 영화와 텔레비전
제6장 디지털 영상의 융합
제3부 영상예술의 역사
제7장 주류영화 미학의 전개
제8장 예술영화의 도전
제9장 텔레비전 실험과 디지털 영상예술
제4부 영상 언어의 세계
제10장 영상 언어의 구조
제11장 미장센: 대상의 배치
제12장 시네마토그래피: 촬영
제13장 편집: 의미의 구축
제5부 영상구조와 영상 읽기
제14장 사실주의와 반영의 영상
제15장 구조주의와 기호의 영상
제16장 후기구조주의와 성찰의 영상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화가 발명과 동시에 그 역사가 시작된 것과 달리, 텔레비전은 개발되고 난 뒤 수십 년이 지나서야 영상 미디어로서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었다. 이후 영화와 텔레비전은 서로 평행선을 달리듯이 발전했는데, 그것은 두 미디어가 서로 다른 기능을 담당했기 때문이다. 영화는 예술과 서사의 기능을 담당했고 텔레비전은 매스미디어의 기능을 담당했다. 두 미디어의 기능이 차이 나게 된 데에는 영상 제작 방식이 서로 다른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예술작품을 상호텍스트성 이론으로 분석한다는 것은 하나의 작품이 다른 작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이해하려는 시도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결국 예술작품도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상호텍스트성 이론이 옳은지 아니면 너무 과장되었는지에 대한 논란은 있지만, 이 이론을 통해 영화를 비롯한 많은 예술작품도 텔레비전처럼 프로그램의 속성을 지닌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