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방언과 중국문화

방언과 중국문화

주진학, 유여걸 (지은이), 전광진, 이연주 (옮긴이)
영남대학교출판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900원
17,100원 >
18,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방언과 중국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방언과 중국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88975812569
· 쪽수 : 411쪽
· 출판일 : 2005-05-30

책 소개

중국의 방언을 다룬 저서 가운데 가장 널리 읽히는 책으로, 학제간 연구를 통해 전문적이면서도 매우 흥미롭게 중국어 방언과 중국의 역사, 문화사를 다루고 있다. 방언과 중국 문화사의 연구를 결합시켜서 방언의 형성과 발전에 관련된 문화적 배경을 탐색하는 동시에 문화사에 관한 일부 과제들을 방언이라는 열쇠로 풀어보려고 시도하였다.

목차

서론
제1절 언어와 문화의 관계
제2절 방언과 언어의 관계
제3절 현대 중국의 언어와 방언
제4절 중국어 방언 분화의 역사적 배경
제5절 중국어 방언 연구사 개요

제1장 방언과 이민의 관계
제1절 이민의 특징과 방언의 변화 관계
제2절 이민 방식과 방언의 지리적 분포 유형
제3절 이민과 방언의 연원(淵源) 및 방언 지리의 형세
제4절 방언학과 이민사 연구
제5절 방언의 역사적 계층과 이민의 역사적 계층

제2장 방언 지리와 인문 지리
제1절 현대의 방언 구획과 역사 행정 지리
제2절 중국어 방언구분에 있어서의 역사 행정지리 분석법
제3절 권위 방언과 행정 중심지역 변경과의 관계
제4절 방언 지리와 교통 지리
제5절 방언 지리와 도시 지리 및 상업 지리

제3장 역대 방언 지리의 추정 및 그 문화적 배경
제1절 ≪시경≫ 시대 언어 구역의 추정
제2절 양한 시대 방언 구획의 추정
제3절 서진 시대 방언 구획의 추정
제4절 송대와 금대의 방언 구획 추정
제5절 명·청 시대 상해 지역의 방언 지리

제4장 언어 화석과 재배식물의 발전사
제1절 벼 재배의 역사와 전래
제2절 보리, 옥수수, 감자, 고구마
제3절 완두콩/잠두콩
제4절 유자와 올방개
제5절 얼룩조릿대와 주악, 사탕수수와 사탕
제6절 차, 고추, 그리고 기타

제5장 지명으로 본 문화 내적 함의
제1절 지명과 역사 문화의 경관
제2절 지명과 이민
제3절 지명과 경제사
제4절 지명 및 역사 교통 지리
제5절 지명과 민족사
제6절 지명과 역사 민족 지리
제7절 지명의 계층과 문화의 계층

제6장 방언과 희곡 및 소설
제1절 방언과 희곡 연구
제2절 방언과 소설

제7장 방언과 민속
제1절 방언과 민요연구
제2절 방언과 지방 문화의 풍격

제8장 언어 접촉과 문화 교류
제1절 기층어휘와 기층문화
제2절 외래문화와 중국어의 외래어
제3절 차용어와 중국 문화의 서구 전파
제4절 역외 방언과 중국 문화의 대외 전파

저자소개

주진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 하문(厦門) 출생으로 1959-1963년 사이 하문대학(厦門大學)과 복주대학(福州大學)에서 수학했다. 1978년, 복단대학(復旦大學) 대학원에 입학하여 담기양(譚其?)의 지도를 받았고, 1983년에『서한시기 행정구 지리(西漢政區地理)』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문화대혁명 이후 중국의 첫 번째 문과박사(文科博士) 2명 중 한 명이다. 행정구지리, 문화지리, 지방제도사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손꼽힌다. 주요 저서로 『방언과 중국문화(方言與中國文化)』,『중국지방행정제도사(中國地方行政制度史)』 등이 있으며 관련 논문이 100여 편에 달한다. 현재(2017년)에도 복단대학 중국역사지리연구소 교수이자 박사생 도사(導師)로 활동하고 있으며 복단대학 중화문명 국제연구중심 학술위원회 주임을 맡고 있다.
펼치기
유여걸 (지은이)    정보 더보기
復旦大學(중국 상해) 중문과 교수. 현대중국어연구, 중국어방언학, 한장어개요 등에 관한 연구 및 강의 담당. 국제중국언어학회 이사 역임. 현재 중국언어학회 이사. 중국사회언어학회 이사. ≪方言與中國文化≫(공저), ≪漢語方言學導論≫, ≪社會語言學敎程≫, ≪中國文化語言引論≫ 등 10종 저작과 30 여 편의 전문 학술 논문을 발표한 바 있음.
펼치기
전광진 (감수)    정보 더보기
문학박사이자, 성균관대 종신 명예교수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능력 신장을 위해 한자의 속뜻을 활용한 LBH 교수학습법을 창안하였어요. 저술한 책으로는 『속뜻풀이 초등국어사전(속뜻사전앱)』, 『선생님 한자책』(전1권 1370쪽), 『초등한자 창인교육』 등이 있어요.
펼치기
이연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중문과 교수로 연구 분야는 중국어 음운론, 중국언어사, 중국어 교육론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문화사를 연구할 때 사람들은 흔히 문화 그 자체의 발전 양상에만 관심을 둘 뿐, 그 문화를 창조한 사람이나 그러한 사람들의 이주 및 이주와 문화 발전과의 관계에 대하여는 소홀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각기 다른 유형의 문화들이 상호 격리 상태로부터 침투와 융화의 상태로 접어드는 가장 중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바로 인구의 이동, 즉 이민(移民)에서 기인한다. 이민은 문화의 전파를 이루기도 하고, 또한 각기 다른 지역의 문화들을 교류시키거나 새로운 문화를 탄생시켜서 문화의 발전을 촉진시키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민사가 문화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인구의 이동은 문화 발전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언어에도 매우 큰 변화를 일으킨다.

방언은 언어가 점진적으로 분화된 결과이며, 언어의 분화는 종종 이민으로부터 시작된다. 방언의 형성이 이민과 유관한 것은 적어도 다음의 두 가지 기본적인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하나는, 동일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두 집단으로 나뉘어 각각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을 때, 그들의 언어가 저마다 다른 조건 하에서 변화 발전을 거치면서 결국 각기 다른 두 가지 방언으로 분화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갑 지역의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 가운데 일부가 어느 시기에 을 지역으로 이주하여 오랜 세월이 지나면 원래 동일한 방언을 사용하던 갑 지역과 을 지역이 결국에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방언으로 분화되는 것이다.

또 어떤 방언은 그것이 형성된 역사가 비교적 특수한 경우가 있는데, 이를테면 민(閩) 방언의 주요 연원(淵源)은 마땅히 동한(東漢) 말에서 삼국(三國) 시기의 오(吳) 방언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복건 지역의 한족(漢族)들이 주로 이 시기에 절강 일대에서 그곳으로 이주해 갔기 때문이다. 그들이 가지고 들어간 당시의 오 방언이 그곳의 민월족(閩越族) 언어와 융화(融和)를 거치면서 점차로 오늘날의 오 방언과는 크게 다른 민 방언을 형성시켰을 것이다.

그러므로 분명한 사실은 이민사가 방언 형성의 여러 요인들 가운데 일부를 해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반대로 방언 현상 또한 이민사의 증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둘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다는 것이다. 추상적인 말이기는 하지만, 이 둘 사이는 함수 관계와 비슷한 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이민 형식의 변화는 방언 유형의 변화를 불러일으킨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방언과 이민의 관계는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다. 하나는 이민의 특징과 방언의 변화 관계이고, 다른 하나는 이민 방식과 방언의 지리학적 분포 유형의 관계이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