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5815553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7-08-15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제1장 ‘땅을 나누어 다스린다’에서 ‘사람을 나누어 다스린다’로의 변화
행정구획의 유래
들어가며: 설자(楔子) 20
행정구역의 유래 24
제2장 두 번의 짧은 부흥 - 군현제의 ‘봉건제’적 변형
한대(漢代) 봉건제의 시행 32
서진(西晉) 봉건제의 착오 40
덧붙이는 말 45
제3장 2천년에 걸친 3차례의 변화 행정구 등급의 증감
행정구의 등급과 관리 면적 50
2급제에서 3급제로의 첫 번째 변환 51
2급제에서 3급제로의 두 번째 전환 58
다급제(多級制)에서 2급제로 축소되는 역변화 68
본 장의 결론 77
제4장 땅의 크기를 헤아려 읍을 조성하고,
경작지의 넓이를 고려하여 민을 거주하게 한다
- 행정구 면적의 확대와 축소
행정구 면적의 척도
‘100리의 현[百里之縣]’ 면적의 상대적인 안정
‘1,000리의 군[千里之郡]’ 면적의 축소 경향
‘10,000리의 주[萬里之州]’ 면적의 변화
본장의 덧붙이는 말
제5장 ‘견아상입’인가, ‘산천형편’인가?-행정구역 분할의 원칙
행정구역 경계의 개념
‘산천형편(山川形便)’ 원칙의 운용(運用)
‘견아상입(犬牙相入)’ 원칙의 시작과 전개
‘견아상입(犬牙相入)’ 원칙의 극단화와 ‘비척탑배(肥瘠搭配)’ 원칙
제6장 ‘외중내경’인가 ‘내중외경’인가?-행정구획 변화의 정치적 요소
중앙과 지방 사이 상대적 중요성의 변화
정치주도(政治主導)의 원칙
제7장 ‘대체적인 일치’에서 ‘부분적인 이탈’로
- 행정구의 분할과 자연지리적 구획 사이의 관계
자연지리적 구역에 대한 고대인의 인식
「우공(禹貢)」의 지리구획
진대(秦代) 군(郡)의 자연지리적 배경
당대(唐代) 10도(道)의 지리구획
원대(元代) 행성(行省)과 지리구역 사이의 괴리
본장의 결론
제8장 ‘북밀남희’에서 ‘남밀북희’로행정구역의 지리적 분포변화
행정구의 설치, 폐지, 분할, 병합
전통시기 경제 중심의 ‘북-남’ 이동
북방과 남방의 행정구 분포밀도가 역전되는 현상
동남지역의 경제발전과 행정구 분포의 관계
이민과 행정구의 설치·폐지 및 분포 간의 관계
교통노선과 행정구 분포
행정구 분포에 대한 비경제적 요소의 영향
제9장 적·기·망·긴·상·중·하-행정구 내의 등급변화
현급(縣級) 행정구의 등급
통현(統縣) 행정구와 고층(高層) 행정구의 등급
행정구 등급분할의 의의와 작용
제10장 도위, 도호부와 도사위소-군사관리형의 특수행정구
서한(西漢), 동한(東漢), 위진(魏晉) 시기의 도위(都尉)
한(漢), 당(唐) 시기의 도호부(都護府)
북위(北魏)의 진수(鎭戍)
명대(明代)의 도사위소(都司衛所)
당대(唐代) 기미부주(羈府州)와 명대(明代) 기미도위(羈都衛)
-덧붙이는 말: 송대(宋代)의 군(軍)
행정구에 대한 군사적 요소의 영향
제11장 ‘6·6·36’행정구획의 변화 과정에 내재된 문화적 요소
행정구와 수(數)의 관계
행정구와 종교의 관계
행정구와 문화구의 결합
제12장 여론
역사 상황에 대한 소결(小結)
현재 상황에 대한 분석
미래 상황에 대한 전망
역자후기
찾아보기
책속에서
행정구(역)는 중앙과 지방 사이의 종적인 분권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정치현상(政治現像)이다. 동시에 인위적으로 나누어진 지리영역이고 영역의 경계, 면적의 확정은 자연지리와 인문지리의 조건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리현상(地理現像)이기도 하다. 또한 그 원류가 매우 깊고 계승성과 안정성을 갖고 있어 역사현상(歷史現像)이라고도 할 수 있다.
중국의 행정구는「우공」의 ‘9주(州)’를 시작으로 영역이 구분되었고 진시황의 36군(郡)을 거치면서 군현제를 통해 본격적으로 제도화했다. 이후 봉건제와 군현제가 서로 부침하는 상황이 출현하기도 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중앙집권의 군현제적 경향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 과정에서 행정구의 등급, 면적, 경계가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영향을 받으며 끊임없이 변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