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75813504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08-06-15
책 소개
목차
서문
chapter 1 미디어교육의 철학적 전제들
미디어의 확장과 교육의 부재
새로운 미디어 시대의 긍정성과 문제들
미디어교육의 문제
미디어교육의 원리들
주체적 인간교육으로서의 미디어교육
참고 문헌
chapter 2 미디어교육 내용의 발굴과 활용 원리
미디어교육의 정의
미디어교육내용 발굴 원리
미디어교육내용 발굴원리의 활용방안
미디어교육의 필요성
참고 문헌
chapter 3 미디어교육의 목표와 교수방법
미디어교육의 문제
미디어교육의 목표 : 무엇을 지향하는가?
미디어교육의 교수방법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미디어별 교수방법과 전략의 예
미디어교육 교수방법의 전망
참고 문헌
chapter 4 미디어교육 설문 조사 결과
교사 대상 설문 결과
학부모 대상 설문 결과
학생 대상 설문 결과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 간 의견 비교
설문 결과에 대한 분석과 제언
부록 미디어교육 설문조사결과
찾아보기
책속에서
“현대사회에서 살기 위해서는 국어나 수학을 알아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미디어를 알아야 한다. 미디어를 안다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미디어인 자신의 몸을 움직이고 타인과의 대화를 조직하는 것을 안다는 것이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들을 이해하고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기존의 미디어교육 관련 논의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폭 넓은 관점에서 미디어교육에 접근하고자 했다. 우리는 미디어를 가능한 넓은 의미에서 이해하며 미디어교육의 대상을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매스미디어에 국한시키지 않고 언어와 육체를 포함한 전 인간적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주목하고자 한다.”
“미디어교육이란 신문, 사진,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비디오, 인터넷 등 여러 미디어에 대한 개인들의 비판적인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고 그들을 이용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미디어교육은 또한 미디어 콘텐츠의 생산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미디어 산업의 조직과 구조에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미디어가 생산하는 의미를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
수용자는 미디어교육을 통해 미디어가 생산한 상품을 분석하고 콘텐츠를 직접 제작함으로써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능력을 발전시키게 된다. 또한 미디어가 제공하는 즐거움과 오락에 대한 이해도도 향상된다. 미디어교육은 미디어를 다루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와 함께 살아가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