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레비나스 철학의 맥락들](/img_thumb2/9788976821898.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76821898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0-03-25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왜 레비나스인가?
1장 _ 나의 철학 여정과 레비나스 : 내가 만난 레비나스 _ 강영안
2장 _ 왜 레비나스인가? _ 문성원
3장 _ 윤리와 종말론 : 『전체성과 무한』의 「서문」 읽기 _ 문성원
2부 레비나스와 철학자들
1장 _ 레비나스에 대한 데리다의 비판적 독해 _ 손영창
2장 _ 주체화의 두 가지 길 : 책임과 충실성 _ 서용순
3장 _ 상호성의 윤리와 타자 중심성의 윤리 : 리쾨르와 레비나스의 조우, 그리고 문화 간 관계에 대한 그 함축 _ 김정현
3부 레비나스 철학의 장소들
1장 _ 레비나스 얼굴 윤리학의 진보적 수용 : 주디스 버틀러의 ‘적(敵)의 얼굴을 향한 정치 윤리학’ _ 김혜령
2장 _ 타자의 철학자와 자문화 중심주의 _ 김정현
후기
엮은이/지은이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실 절대적 타자란 이해의 대상이 되기 어렵다. 우리가 무엇을 이해하거나 안다고 할 때, 그것은 우리가 그 대상의 어떤 성질을 포착한다는 뜻이고, 또 그 성질과 연결되는 무엇인가가 우리 안에 있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 그 대상과 나 사이에 공통적이고 동일적인 어떤 것이 있어야 앎이나 이해가 가능해진다. 그런데 타자의 타자됨은 이 동일적인 것을 벗어나는 데서 성립한다. 더구나 절대적 타자란 이 벗어남이 절대적이라는 것, 즉 어떤 방식으로도 이 벗어남이 극복될 수 없다는 것을 함축한다. 물론 우리는 타자의 몇몇 부분을 이해하고 알 수는 있다. 그러나 그렇게 알려진 부분들이 타자의 중심이거나 핵심일 수는 없다. 만일 그렇다면 그 타자는 이제 타자가 아닌 동일자에 속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비나스처럼 절대적 타자성을 운위할 때에는 그 타자를 인식이나 이해의 지평에 놓을 수 없다. 레비나스가 말하는 윤리는 근본적으로 이해의 지평에 서 있지 않다.
그러니까 레비나스에서 종말론이란, 우리와 관계하는 무한, 곧 전체성의 바깥이 전체성을 깨뜨리고 윤리적 삶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을 나타내는 용어다. 그렇기에 이 종말론은 기존의 종교에서 찾아볼 수 있는 종말론적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전체성을 파열시켜 종말론을 성립시키는 것이 이 종말론의 주요한 역할이다. 그 내용을 채워서 완성하는 것은 우리의 도덕적 경험에 맡겨진다. 물론 이 도덕적 경험과 그것의 원리인 윤리는 이해관계와 다툼을 규정하는 객관화와 전체화의 틀을 따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렇게 도덕과 윤리의 지평을 열어주는 종말론은 일종의 해체적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데리다의 해체론적 견지와는 다른데, 왜냐하면 레비나스는 이 종말론을 통해 ‘컨텍스트 없는 의미화의 가능성’을 내세우기 때문이다.
데리다는 레비나스가 말하는 타자의 언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타자의 언어가 행하는 “비폭력은 담론의 텔로스이지 담론의 본질은 아닌 것 같다. 혹자는 담론과 같은 것은 그 텔로스 속에 본질이 있으며, 그 미래 속에 현재의 현존을 가진다고 말할 것이다. 옳다. 그러나 담론의 미래와 텔로스가 비담론이라는 조건에서이다. 요컨대 말의 어떤 침묵, 말의 어떤 저 너머, 말의 어떤 가능성, 말의 어떤 침묵의 지평으로서의 평화일 조건에서이다”. 말하자면 레비나스가 주장하는 윤리적 언어가 기존의 철학들이 사용한 이성의 언어, 동일자의 언어를 넘어서는 새로운 언어라면, 이 언어는 기존의 담론이 아니라 아직 우리가 알지 못한 미래의 언어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