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75814242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1-10-10
책 소개
목차
제1장 도입
1.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
2. 내용분석과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
3. 내용분석과 제작 상황
4. 내용의 중심성
5. 연구 목적 가운데 하나로서의 기술記述
6. 내용분석의 적용: 다른 연구방법과의 연계
7. 내용분석의 적용: 다른 분야에서의 내용분석
8. 요약
제2장 사회과학의 한 도구로서의 내용분석
1. 여러 정의 살펴보기
2. 내용분석의 정의
3. 하나의 연구기법으로서의 내용분석의 이슈들
4. 현재적 내용에 대한 양적 내용분석의 장점
5. 요약
제3장 내용분석의 설계
1. 내용분석에서의 개념화, 목적 및 연구 설계
2. 좋은 설계와 나쁜 설계
3. 연구 설계의 구성요소
4. 내용분석을 위한 일반 모델
5. 요약
제4장 측정
1. 내용의 유형
2. 단위를 통한 내용 측정
3. 단위와 숫자의 연결
4. 측정의 단계
5. 요약
제5장 표집
1. 표집기간
2. 표집기법
3. 미디어 분석을 위한 유층 표집
4. 미디어 표집 전반
5. 인터넷 표집
6. 개인 커뮤니케이션 표집
7. 요약
제6장 신뢰도
1. 신뢰도 : 기본 개념
2. 개념 정의 및 범주 구축
3. 내용분석 프로토콜
4. 코더 훈련
5. 코더 신뢰도 평가
6. 범주 신뢰도 검정
7. 요약
제7장 타당도
1. 타당도의 개념화
2. 측정 신뢰도와 타당도 문제
3. 측정 타당도 검정
4. 내용분석에서의 외적 타당도와 그 의미
5. 요약
제8장 데이터 분석
1. 내용의 분석에 대한 소개
2. 내용분석의 기초
3. 연구 결과의 기술 및 요약
4. 관계의 발견
5. 통계적 가정
6. 요약
제9장 컴퓨터 사용
1. 내용 찾기 및 내용 접근을 위한 컴퓨터 사용
2. 컴퓨터 내용분석
3. 요약
참고문헌
책속에서
미디어가 사람들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가지기보다 사람들이 미디어 메시지를 가지고 무엇을 하는지 그리고 메시지로부터 배운다면 어떻게 배우는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분석은 여전히 모든 형태의 내용을 분류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과거에는 커뮤니케이션 메시지가 가정된 설득 효과 때문에 분석되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제 커뮤니케이션 메시지가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미디어소비자들이 미디어 이용을 통해 얻는 심리적 혹은 사회적 충족의 차이(예,지루함으로부터의 탈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일과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 또는 무언가 이야기할 거리를 가짐), 미디어 소비자들의 머릿속에 생성되어 있는 인지적 이미지의 차이(예, 적절한 성 역할에 대한 견해, 세상이 얼마나 안전한지 혹은 ‘비열한지’에 대한 견해 또는 경제 상태에 대한 견해), 그리고 뉴스 미디어 의제의 중요한 것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예, 정치 캠페인의 어떤 이슈가 생각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지 그리고 이슈의 어떤 속성이 결정적으로 중요한지)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태도에 미치는 효과가 아닌) 다양한 인지적 효과와 미디어와 미디어 내용의 사회적·심리적 이용 및 충족에 관한 다른 이론이나 가설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바우어(1964)가 비판한 “도덕적으로 불균형적인” 견해와 매우 다른, 수용자들의 경험에 대한 다른 견해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이론이나 가설은 미디어 이용 및 효과와 관련된 내용변인 측정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