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5814686
· 쪽수 : 225쪽
· 출판일 : 2013-06-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저술의 취지와 방향
1. 저술의 취지
2. 용어의 범주와 선별방법
3.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4. 저술 방법과 이 책의 구성
제2장 저자별 고전독서이론 용어의 해설
1. 二程子의 경우
2. 張子의 경우
3. 朱子의 경우
4. 退溪의 경우
5. 南冥의 경우
6. 栗谷의 경우
7. 寒岡의 경우
제3장 고전독서이론 용어 총람 및 유형 분류
1. 용어 총람
2. 유형 분류
책속에서
독서완미讀書玩味
독서할 때는 그 책이 주는 맛을 즐길 줄 알아야 한다. 책을 읽을 때 자세하게 읽어야 할 것은 자세하게 읽는 게 완미가 되고, 또 많이 읽고 느껴야할 것은 반복하여 읽으면서 그 리듬이나 정감을 느껴야 할 것은 또 그렇게 하는 것이 완미가 된다. 비근한 예를 들면, ‘고기는 씹어야 맛이다.’라는 말처럼 고기의 참맛을 알려면 겉만 핥을 게 아니라 자꾸 씹어서 혀가 고기의 육즙을 음미할 수 있도록 해야 그 맛을 느낄 수 있다. 또 포도주의 맛을 볼 때는 혀가 단맛, 신맛, 짠맛, 떫은맛 등을 느끼는 부위는 각기 다르기 때문에, 포도주를 입 안에 머금고 혀의 각 부분에 포도주를 골고루 묻혀 맛을 음미해야 그 맛을 제대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책마다 그 성격이 따르기 때문에 완미하는 방법이 차이가 난다. 이를테면 인간의 감정을 표현한 글들은 여러 번 반복하여 읽으면서 그것이 주는 감정들에 스스로를 일치시키려고 노력해야 하고, 또 철학적인 깊은 뜻을 가진 책들은 어떤 중심이 되는 글자에 도달했을 때 그 글자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 자세히 생각하며 반성하는 것이 완미하는 자세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