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8976660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4-05-2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능주의 초장지, 그 봄풀에 맺힌 지치至治의 꿈
Ⅰ. 왜 ‘정암靜菴 도학道學’인가?
1. 정암에 대한 올바른 인식
2. ‘지치至治’ 이해를 위한 기본 지식
3. 마음공부의 실천, 그 지치의 도학
Ⅱ. 정암 도학의 구도와 본질은 무엇인가?
1. 논의의 단서
2. 지치의 도학적 구도
3. 현실과 지치의 틈새
4. 틈새를 메우기 위한 방법
4.1 도덕 – 이익을 떠나 인의仁義로!
4.2 수양 – 수기修己하여 치인治人으로!
4.3 체용 – 체體로써 용用을 밝히고!
5. 정암 도학의 본질과 그 지향가치
Ⅲ. 정암 도학에서 제왕학帝王學은 어떤 의의를 지니는가?
1. 제왕학帝王學을 거론하는 이유
2. 경연강의經筵講義 전통과 제왕학의 방향
3. 정암이 제왕학을 강의한 의도
4. 제왕학을 통해본 중종과 정암의 관계
5. 정암의 제왕학 강의가 지닌 역사적 의의
Ⅳ. 훤두暄蠹는 정암 도학의 형성에 어떻게 기여했는가?
1. 훤두暄蠹의 영향을 거론하는 이유
2. 한훤당이 정암 도학에 끼친 영향
3. 일두가 정암 도학에 끼친 영향
4. 정암 도학의 입각점과 훤두학 융합 양상
5. 정암 도학에서 훤두 도학이 차지하는 비중
Ⅴ. 정암의 지치가 성공했다면, 사회가 어떻게 변했을까?
1. 지치에 대한 역사적 가정
2. 변화1 : 인재 등용의 개방성
3. 변화2 : 상하계층의 융평 지향
4. 변화3 : 군신공치君臣共治의 대두와 전개
5. 변화의 종합적인 특징이 내포한 시대적 경고
Ⅵ. 정암 도학시道學詩의 유형과 그 지향가치는?
1. 정암 도학시道學詩의 성격
2. 주제의 표출 양상
3. 도학시의 형성 원리
4. 도학시의 유형과 그 지향가치
5. 지향가치가 지니는 사회적 의의
Ⅶ. 정암에게 『소학』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1. 1498년 겨울, 아주 특별한 인연
2. 소학에 대한 정암의 인식
3. 한훤당에게서 받은 소학 자산
4. 정암 그 자신이 늘린 소학 자산
5. 정암의 소학 자산이 함축한 의미
Ⅷ. 정암은 사물을 어떤 방법으로 인식했는가?
1. 이치와 형상에 대한 정암의 생각
2. 정암이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는 까닭
3. 정암이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
4. 사물을 인식할 때 느끼는 정암의 고뇌
5. 고뇌를 통해본 정암 사물관의 특징
Ⅸ. 정암 도학에 대한 질문, 그 답변을 어떻게 할까?
1. 〈화병발畫屛跋〉에서 얻는 질문 방법
2. 청소년기 도학에 대한 질문과 답변
3. 성년기 도학에 대한 질문과 답변
4. 환로기 도학에 대한 질문과 답변
5. 평생기 도학에 대한 질문과 답변
Ⅹ. 정암 도학이 현대인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
1. 정암에 대한 상·하층인의 기억
2. 수기 방법이 주는 교훈
3. 체용 인식이 주는 교훈
4. 경세 논리가 주는 교훈
5. 각 교훈의 의의와 그 수용 방안
참고논저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