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89766528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4-08-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체용론적 도학의 산실, 그 악양정 / 9
Ⅰ. 왜 ‘일두 도학’인가? 16
1. 일두에 대한 올바른 인식 16
2. ‘체용론’ 이해를 위한 기본 지식 20
3. 일용함양의 체용론, 그 광풍제월 구현 24
Ⅱ. 논자마다 ‘일두가 체용론을 통달했다.’라고 하는 까닭은? 30
1. 여러 논자들의 견해 30
2. 체용론이 반영된 자료 36
3. 자료의 유형과 그 특징 48
4. 용用에 대한 의구심, 그 해법 52
5. 체용론적 도학의 사상사적 의의 56
Ⅲ. 일두는 체용론적 도학에 사우師友들을 어떻게 끌어들였는가? 61
1. 일두의 사우師友들 61
2. 한훤당에게 구사한 전략 65
3. 추강에게 구사한 전략 69
4. 탁영에게 구사한 전략 75
5. 사우지도 탁마의 경과와 성과 80
Ⅳ. 일두는 성리학 이론을 어떻게 전개했는가? 85
1. 근원으로, 좀 더 근원으로! 85
2. 시詩에 나타난 성리학 이론 88
3. 문文에 나타난 성리학 이론 92
1) 문文의 전반적 개황 93
2) 소疏와 제문祭文과 서書에 용해된 성리학 이론 96
4. 시詩ㆍ문文을 통해본 일두 성리학의 의의 101
Ⅴ. 일두가 추구한 도학적 이상향은 어떤 형상일까? 108
1. 도학적 이상향의 세 층위 108
2. 형상1 : 생업 영위의 일상적 터전 111
3. 형상2 : 도체 인식의 형이상학적 영역 115
4. 형상3 : 요산요수와 그 흥취의 현장 119
5. 도학적 이상향이 일두학에서 지니는 의미 124
Ⅵ. 일두 도학시道學詩의 세계가 지향하는 가치는? 130
1. 일두 도학시道學詩의 성격 130
2. 도학시 주제의 표출 양상 133
3. 도학시에 나타난 환희와 한탄 142
4. 일두 도학시의 지향가치, 한탄을 환희로! 149
Ⅶ. 일두는 후학들에게 도학을 어떻게 교육했는가? 155
1. 교육 방법, 실천을 최우선으로! 155
2. 함양군 안음현에서 펼친 도학 교육 158
3. 거창군 수포대에서 펼친 도학 교육 163
4. 유배지 종성군에서 펼친 도학 교육 167
5. 도학 교육이 지역사회에 끼친 영향 172
Ⅷ. 일두와 한훤당의 광풍제월론, 그 동이점은? 177
1. 광풍제월론을 따져야 하는 이유 177
2. 공통점 180
1) 도맥으로서의 광풍제월 계승 180
2) 소학에 입각한 행위규범 설정 184
3. 차이점 188
1) 체용론의 비중 189
2) 치인의 층위와 성격 193
4. 광풍제월론의 동이점이 시사하는 의미 198
Ⅸ. 일두 도학에 대한 질문, 그 답변을 어떻게 할까? 204
1. 질문의 유형과 성격 204
2. 청소년기 도학에 대한 질문과 그 답변 207
2. 성년기 도학에 대한 질문과 그 답변 209
3. 환로기 도학에 대한 질문과 그 답변 215
4. 평생기 도학에 대한 질문과 그 답변 220
Ⅹ. 일두 도학이 현대인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 225
1. 교훈 담론의 단서, 그 <화개현구장도花開縣舊莊圖> 225
2. 실천 의지가 주는 교훈 229
3. 체용 인식이 주는 교훈 235
4. 경세 논리가 주는 교훈 240
5. 각 교훈의 의의와 그 수용 방안 246
▪ 참고논저 252
▪ 찾아보기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