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5987366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09-05-28
책 소개
목차
역사편
제1장 ‘인격체(Person)’ 개념의 서양 사상사적 배경 16
1. 고대 희랍철학에서의 타자 개념 18
2. 중세철학에서의 인격체 개념 22
3. 근세철학에서의 개체화 여정 26
4. 인격체화의 여정 28
5. 인격체화 여정에서 본 대화적 사고들 31
1) 야코비(F.H. Jacobi)와 훔볼트(W.v. Humboldt) 31
2) 포이에르바흐(L. Feuerbach)와 키에르케고르(S. Kierkegaard) 34
3) 딜타이(W. Dilthey)와 짐멜(G. Simmel) 37
4) 에브너(F. Ebner)와 로젠쯔바이그(F. Rosenzweig) 39
6. 현상학에서 본 대화적 사고 43
1) 발달 노선 43
2) 후설의 상호주체성(Intersubjektivitat) 44
3) 쉘러의 타자인식(Fremdwahrnehmung) 46
4) 하이데거의 실존 분석(Daseinsanalyse) 51
5) 뢰비트의 공존개념의 구조분석(Strukturanalyse des Miteinanderseins) 58
이론편
제2장 마틴 부버의 대화철학 62
1. 자아의 세계에 대한 이중의 존재 방식 62
1) 부버의 인간학적 주제 62
2) ‘나-너(Ich-Du)’ 근본어와 ‘나-그것(Ich-Es)’ 근본어 65
3) ‘원간격(Urdistanz)’과 ‘관계(Beziehung)’ 66
2. ‘나-그것’ 근본어 69
1) 개체로서의 ‘나’ 69
2) 경험과 이용의 주체로서 ‘나’ 71
3) ‘그것의 세계’에서의 독백 72
3. ‘나-너’ 근본어 73
1) 관계(Beziehung)로서 ‘나-너’ 근본어 73
2) 인격체적 관계의 특징 76
① 직접성(Unmittelbarkeit)과 배제성(Ausschließlichkeit) 76
② 상호성(Gegenseitigkeit)과 인정(Anerkennung) 78
③ 현실성(Aktualitat)과 잠재성(Latenz) 79
3) ‘만남’의 정의 81
4. ‘영원한 너(das ewige Du)’로서의 신(神) 83
1) 부버의 대화적 신(神) 개념 83
2) ‘영원한 너’ 83
3) 부버의 ‘종교(Religion)’와 ‘종교적인 것(das Religiose)’ 86
5. 부버 철학에서의 인간화의 길 87
1) 개체로서의 자아 87
2) 인격체로서의 자아 89
① ‘너의 세계’ 89
② 인격체화의 3 단계 90
③ 수평적 관계 92
④ 소통과 공존 93
⑤ 인간화 93
3) 관계의 거울 효과 95
4) ‘원만(圓滿)’의 철학 98
제3장 칼 뢰비트의 공존개념의 구조분석 101
1. 뢰비트의 문제 제기 101
2. 포이에르바흐의 인간학 103
3. 뢰비트의 세계 개념 106
1) 더불어 사는 세계(Mitwelt)와 더불어 사는 삶(Zusammenleben) 106
2) 더불어 사는 세계(Mitwelt)의 도출과 우위성 108
4. 더불어 사는 세계의 구조 110
1) 더불어 사는 세계의 분석 110
2) 관계 개념의 분석 113
3) 사람과 사물과의 관계 115
4) 나와 너의 관계 117
① 배제성(Ausschließlichkeit) 118
② 직접성(Unmittelbarkeit) 119
③ 상호성(Gegenseitigkeit) 120
5) 관계의 복의성(複意性, Zweideutigkeit) 121
6) 대화의 분석 123
① 포슬러(K. Vossler)와 훔볼트(W.v. Humboldt)의 언어철학 124
② 대화의 구조 125
5. 절대적 관계의 상호 독립성 127
1) ‘나’의 종속성과 뢰비트의 인격체 이론 127
2) ‘나 자체’와 ‘너 자체’와의 관계 129
6. 개체로서 인간의 고유성 133
1) 인격체와 개체와의 관계 133
2) 자기 스스로와의 유일한 관계 135
7. 마무리하면서 137
제4장 부버 사상과 뢰비트 사상의 비교 139
1. 방법론과 시스템 문제 139
2. 신(神)에 관한 문제 143
3. 세계 개념 145
1) 부버의 세계 개념(Weltbegriff) 145
2) 뢰비트의 세계 개념 147
4. 인격체 개념 149
1) 부버의 인격체 개념 149
2) 뢰비트의 인격체 개념 150
3) 부버와 뢰비트의 인격체 개념의 비교 151
제5장 한나 아렌트의 정치적 인간학 154
1. 아렌트의 정치철학 154
2. 아렌트의 인간이해 156
3. 노동하는 인간 160
1) 노동(Arbeiten) 160
2) 지배(Herrschaft) 개념 162
4. 제작하는 인간 163
1) 제작(Herstellen) 163
2) 폭력(Gewalt 개념 165
5. 행위 하는 인간 167
1) 행위(Handeln) 167
2) 권력(Macht) 개념 173
3) 행위 개념의 상실 175
6. 마무리하면서 178
응용편
제6장 한국인의 의식구조 무엇이 문제인가? 182
1. 한국인의 의식구조 182
1) 의식(意識)이란? 182
2) 전통사회의 제도와 의식 186
3) 사회제도의 변천과 의식의 변화 187
4) 한국병의 원인 191
2. 한국병의 현상학적 원인 분석 193
3. 의식발달의 3단계와 한국인 의식의 현주소 196
1) 의식발달의 3단계 197
① 1단계 공동체 의식 197
② 2단계 개체 의식 198
③ 3단계 인격체 의식 201
④ 의식발달 3단계와 부버의 대화철학과 비교 202
2) 한국인 의식의 현주소 203
3) 의식발달의 3단계와 소통 206
4. 공동체 중심의 수직적 의식구조의 문제 207
1) 인간관계 208
2) 대화 210
3) 자율과 타율 212
4) 책임과 공사(公私)구별 214
5) 권위주의 215
6) 열등의식 217
7) 필연성과 가능성 220
8) 폐쇄성과 개방성 221
9) 획일성과 다양성 223
10) 한(恨)과 스트레스 224
11) 친절 227
12) 자존심(自尊心, pride)과 자존감(自尊感, self-esteem) 228
5. 의식개혁의 방향과 새로운 공동체 개념의 정립 231
6. 마무리 하면서 234
부 록
1. 마틴 부버의 생애 236
2. 유대 사상이 부버 대화철학에 미친 영향 242
1) 유태교의 본질(Das Wesen des Judentums) 243
2) 하씨디즘(Chassidismus) 245
3) 히브리어 성경 247
3. 칼 뢰비트의 생애 248
참고문헌 255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양 사상사에서 인간이 인격체로서 확고한 자리 매김이 되기까지는 상당히 오랜 세월이 필요했다. 서양 사상사를 전체적인 안목에서 볼 때, 인격체에 관한 철학적 물음은 개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성찰에 의해서 비로소 문제 제기되어진다. 그러나 고대 희랍철학에서는 인간을 개체로서 보다는 ‘소우주’로서 보았거나 또는 우주의 원리로써 인간에 관한 문제를 이해하려고 했기에 결코 인격체에 관한 물음 자체가 제기될 수 없었다. 이러한 물음은 초기 그리스도교의 신학에서 인격체(Person)라는 개념 정립을 찾아 볼 수 있었으나, 이 개념 역시 개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성찰에서가 아니라, 삼위일체론(三位一體論, Trinitatstheorie)과 성육화(聖肉化, Incarnatio) 교리의 정립을 위해서 도입되었기에, 오늘날 사상사에서 사용되어지는 인격체 개념과는 구별되어진다. 하지만 오늘날 인격체 개념의 원조를 여기서 찾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러나 이 그리스도교 신학의 인격체 개념은 개체 개념의 반성에서 나온 것이 아니었다. 사실 그 당시는 아직 개체 개념이 철학적으로 정립되기 이전이었다. 또한 그에 대한 성찰도 없었기에 인격체 개념은 철학적으로 언급될 수 없었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