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퍼팩트 수의학 영문용어

퍼팩트 수의학 영문용어

신태균, 문창종 (옮긴이)
전남대학교출판부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5,000원 -0% 0원
0원
1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퍼팩트 수의학 영문용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퍼팩트 수의학 영문용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수의학
· ISBN : 9788975988905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11-01-10

책 소개

수의학 영문용어의 단편적인 암기가 아닌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우리나라 수의학과 학생들에게는 영어용어의 체계를 잡아주는 교재. 용어의 차이점과 유래를 설명함으로써 어원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편집된 책으로 수의학을 처음 학습하는 학생들에게 호기심과 함께 의학의 묘미를 알려줄 수 있는 도서이며 수의학용어에 대한 전공도서로는 국내 최초여서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이다.

목차

역자 서문 2
미리읽기 3
저자 서문 4

제1장
수의학영어의 기본구조 Structure of Veterinary Medical Terms 7
1. 수의학영문용어의 구조
2. 몸의 방향과 위치를 표현하는 용어
3. 수의학용어와 의학용어의 차이
4. 몸의 각 부위
5. 발에서의 방향
6. 골격계통과 내장기관
7. 영어와 라틴어의 관계
8. 인간과 동물의 영어명칭

제2장
접두사 Prefixes 19
1. 접두사

제3장
접미사 Suffixes 29
1. 접미사
2. 염증
3. 통증

제4장
세포의 기본구조 The Structure of the Cell 47
1. 세포와 조직
2. 유전학

제5장
근육뼈대계통 및 질환 The Muscluoskeletal System and its Disorders 53
1. 뼈대계통
2. 관절
3. 근육계통

제6장
순환기계통 및 질환 The Circulatory System and its Disorders 65
1. 순환기계통
2. 림프기관
3. 면역학
제7징
호흡기계통 및 질환 The Respiratory System and its Disorders 85
1. 호흡기계통

제8장
소화기계통 및 질환 The Digestive System and its Disorder 93
1. 소화기계통
2. 간 및 쓸개주머니
3. 이자

제9장
비뇨생식기계통 및 질환 The Urogenital System and its Disorders 117
1. 비뇨기
2. 암컷생식기
3. 수컷생식기
4. 임상번식학

제10장
신경계통과 내분비계통 및 질환 The Nervous and Endocrine Systems and their Disorders 133
1. 신경계통
2. 내분비계통

제11장
감각기계통과 외피 및 질환 The Sensory and Integumentary Systems and their Disorders 141
1. 시각계통
2. 평형청각계통
3. 후각계통
4. 미각계통
5. 외피계통

제12장
종양학, 병리학, 기생충학 Oncology, Pathology and Parasitology 151
1. 종양학
2. 병리학
3. 기생충학

부록
I 전문분야와 전문가 159
II 수의학임상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 161
III 애완동물의 재활 162

색인 165

저자소개

문창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제주에서 태어나 제주대학교 수의학과를 졸업하고 인간 질병의 동물모델에 관한 연구로 수의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일본 류큐대학 의대 혜부학교실에서 인체해부와 뇌신경 관련 연구로 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의 교수로 재직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모리오우가이(森外)의 자서전 “ヰタ·セクスアリス”를 보면 젊은 시절 오우가이가 의학부에서 의학용어를 공부하는 장면이 나온다. 오우가이는 동급생들이 단어를 통째로 외우려고 고생하는 것과는 달리, 단어를 몇 개의 요소로 나눈 뒤 그 구성을 생각했다. 그리고 그 요소의 기원을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찾아 공책에 적어 단어의 뜻을 쉽게 이해했다.

●접두사, 어간, 접미사
오우가이는 어떻게 의학용어를 이해한 것일까?
영문용어의 대부분은 접두사 + 어간 + 접미사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모든 요소를 갖고 있지 않는 접두사 + 어간 또는 어간 + 접미사만으로 구성된 용어도 많지만, 이런 기본구조를 이해한다면, 전문용어에 한하지 않고 영어 전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그중에도 수의학, 의학용어는 길고 어려운 단어가 많지만, 실제 접두사, 어간, 접미사를 잘 조합하여 만들어진 복합어가 많다.

접두사는 예를 들어 endocrine (내분비)의 endo-, exocrine (외분비)의 exo- 부분이다. 이것은 endo- 가 안쪽, exo- 가 바깥쪽이라는 의미인 것을 알고 있다면, 한 번에 두개의 단어를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을 바탕으로 endoderm (내배엽), ectoderm (외배엽)이라는 발생학용어를 보면, 아하! 저 endo- 가 또 나왔구나 하고, exo- 와 ecto- 는 같은 의미구나 하고 추측할 수 있게 된다.

접미사는 예를 들어 encephalitis (뇌염), gastritis (위염), colitis (대장염) 등은 모두 -itis 로 끝나는데, 여기에서 -itis 부분이 염증과 관련된 용어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접미사이다. 이것을 안다면 bronchitis 라는 단어를 보고 bronchus 가 기관지이고, -itis가 염증을 뜻하므로 사전을 볼 필요 없이 bronchitis의 뜻이 기관지염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의학용어에서는 공통되는 질병과 수술법에서 같은 접미사를 갖는 것이 많기 때문에, 그것을 알면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다. 이 책의 Chapter 2에서는 접두사, Chapter 3에서는 접미사에 대해 공부할 것이다.

어간에는 통상 장기명이나 조직명이 들어간다. 예를 들어 위의 bronchitis (기관지염)는 bronchus + -itis 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경우 bronchus 가 어간에 해당한다. 이 책에서는 Chapter 5 이후에서 몸의 장기명칭과 각 계통 (system)에서의 고유단어를 살펴본다.
접두사, 어간, 접미사라는 영단어의 구성은 수의학, 의학용어에 국한되지 않고, 영어전체에 통하는 기본이기 때문에, 이 책을 모두 읽은 후 독자는 전문영어만이 아닌 일반적 영어실력 또한 좋아졌다는 느낌이 올 것이다.

●그리스문명, 라틴문명의 영향
수의학, 의학용어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 라틴문명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것에 중세, 근대유럽의 언어가 가해져, 현재의 용어가 되었다. 수의학과 의학은 고도의 전문적인 학문이기 때문에 지금도 그리스어, 라틴어의 깊은 영향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영어로 간은 liver 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단어일 것이다. 이것에 덧붙여 라틴어로 간은 Hepar 라는 것을 알고 있으면, 간염이 왜 hepatitis 인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언어의 구성을 아는 것은 즐겁다. 다른 한가지의 예를 들어보자. 콩팥(신장)은 영어로 kidney 이지만, 라틴어로 Ren 이다. 그렇다면 콩팥동맥(신장동맥)이 왜 renal artery 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결국 수의학, 의학용어를 공부를 통해 역사의 흐름을 같이 한 현인들의 지식을 계승하는 감동을 맛보게 되는 것은 아닐까?

●일본어의 수의학, 의학용어
이 책의 서문에 적은 글과 같이 일본어의 수의학, 의학용어의 대부분이 메이지(明治)유신전후 서양문명이 급속도로 유입되던 때에 무리하게 번역하여 만들어졌으며, 현존하는 한자를 조합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오류가 있는 용어들이 있다. 예를 들어 “舌骨舌筋(설골설근)”은 4개의 문자에서 “舌(설)”이라는 한자가 2번이나 나온다. 이 단어는 영어로는 “hyoglossus muscle”이다.3) 번역시 일본어 舌骨 (hyoid bone, 목뿔뼈)와 舌(glossus, 혀)가 영어원형과는 다른 것끼리 임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을 무리하게 연결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된 것이다.
전문용어를 배우다보면, 일본의 선인들이 한문의 소양을 바탕으로 의학용어를 번역하려고 고심한 노력이 보이는 것 같다.
반대로 어떤 것은 일본에서 중국으로 역수출된 한문용어도 있다. nerve 는 “神經(신경)”이라고 중국에서도 번역되고 있으나, 이것은 nerve 이라는 개념과 함께 일본에서 중국으로 넘어간 용어라고 한다. 또한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문마저 있다. 예를 들어, “腺(선, gland (샘))”은 일본이 독자적으로 만든 한자라고 들은 기억이 있다.
어쨌든, “舌骨舌筋”으로는 떠올리기가 어렵지만, “hyoglossus”라고 기억한다면, 보다 쉽게 이 근육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문영어를 공부하면서, 보다 더 쉽게 수의학 지식을 얻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수의학용어의 특이성
수의학용어는 대부분이 의학용어와 같다. 그러나 모두 같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의학 전문영어의 특이성을 말한 책은 매우 적다. 이 책은 일반적인 의학용어 뿐만 아니라 수의사가 알아야 할 수의학용어까지 설명하였다.
이 책을 읽은 후에는 처음으로 본 단어라도 기존의 지식과 합하여 의미를 추측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 책을 잘 이용하여 공부하여 모리오우가이(森外)와 같이 여유 있게 수의학용어를 습득하였으면 한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