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로기준법의 이론과 사례

근로기준법의 이론과 사례

김소영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부(CNU Press)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2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로기준법의 이론과 사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로기준법의 이론과 사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노동법
· ISBN : 9788975994265
· 쪽수 : 442쪽
· 출판일 : 2012-02-28

책 소개

노동관계를 규율하는 법규범의 총체 중에서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의 개별적 근로관계를 규율하는 근로기준법의 법이론적 쟁점과 판례를 중심으로 집필된 강의용 교과서이다. 또한 법학전문대학원과 법과대학 학생들의 변호사시험 내지 공인노무사시험 준비를 위한 기본서에 적합하게 정리되었다.

목차

제1장 근로기준법 입문
제1절 개별적 근로관계법으로서의 근로자보호법 | 14
Ⅰ. 개별적 근로관계법의 구성 및 범위 | 14
Ⅱ. 근로자보호법으로서의 근로기준법 | 15
Ⅲ. 근로기준법의 성격 - 근로계약에 대한 근로기준법의 효력 | 16
제2절 근로기준법의 연혁 | 16
Ⅰ. 근로기준법의 제정 | 16
Ⅱ. 제3공화국 ~ 제5공화국 시기의 근로기준법 강화 | 17
Ⅲ. 노동시장 유연화를 위한 근로기준법의 再제정(1997년 개정법)과 외환위기 이후의 개정 | 18
Ⅳ. 2000년대 이후의 개정 | 19
제3절 근로조건결정 시스템과 근로조건결정 규범 상호간의 효력 | 19
Ⅰ. 근로조건 결정 시스템 | 19
Ⅱ. 근로조건결정규범 상호간의 효력 | 20
1. 노동법의 법원(法源)과 ‘법원 경합시’의 일반원칙 | 20
2. 법령과 단체협약·취업규칙·근로계약간의 관계 | 29
3. 단체협약과 취업규칙·근로계약간의 관계 | 31
4. 취업규칙과 근로계약간의 관계 | 33
제4절 근로기준법의 실효성 확보 | 33
Ⅰ. 민사적 실효성 - 근로계약에 대한 효력 | 33
Ⅱ. 형사적 실효성 - 벌칙 | 34
1. 벌칙 | 34
2. 행정감독·지도에 의한 실효성 확보 | 34
3. 과태료 부과에 의한 이행 담보 | 35
Ⅲ. 근로감독관제도 | 35
Ⅳ. 근로감독행정에 관련된 사용자의 의무 | 37
제5절 근로기준법의 현대적 과제 | 38
Ⅰ. 노동시장의 유연안정성(Flexicurity) 추구 | 38
Ⅱ. 노동시장의 구조적 차별의 해소 | 39
Ⅲ. 노동시장의 주변부에 있는 영세사업장 근로자, 특수형태 근로자에 대한 보호 | 39
Ⅳ. 일과 생활·가정 양립의 지원 | 40

제2장 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와 근로자·사용자개념
제1절 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 | 42
Ⅰ. 상시(常時) 5인 이상 사업장 | 42
1. 상시 근로자의 판단 | 43
2. 사업의 판단 | 44
Ⅱ. 근로기준법의 적용 제외 | 45
Ⅲ. 근로기준법의 부분적용 사업장 | 46
제2절 근로자·사용자 개념 | 47
Ⅰ. 근로자 개념 | 47
1. 노동법상 근로자 개념의 유형 | 47
2.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개념 | 48
Ⅱ. 사용자 개념 | 59
1. 사업주 | 59
2. 사업경영담당자 | 60
3.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 | 61

제3장 근로기준법 적용의 기본원칙
제1절 근로조건 대등결정의 원칙 | 80
제2절 평등대우 원칙 | 81
Ⅰ. 성 차별 금지 | 81
1.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 | 81
2. 차별의 개념 | 82
3. 임금에 관한 차별 | 84
4. 정년·해고·퇴직에 관한 차별 | 84
5. 복리후생 및 교육·배치·승진에 관한 차별 | 88
Ⅱ. 국적·신앙·사회적 신분에 따른 차별 금지 | 88
1. 국적에 따른 차별 | 88
2. 신앙에 따른 차별 | 89
3. 사회적 신분에 따른 차별 | 90
Ⅲ. 근로기준법 이외의 법률에 의한 새로운 유형의 차별 금지제도 | 91
1. 연령 차별 | 91
2. 장애인 차별 | 91
제3절 인격존중의 원칙 | 92
Ⅰ. 강제근로 금지 | 92
Ⅱ. 폭행 금지 | 92
Ⅲ. 공민권행사 보장 | 94
Ⅳ. 성희롱의 방지 | 95
제4절 중간착취의 금지 | 104
Ⅰ. 근기법 제9조가 금지하는 행위 | 105
Ⅱ. 근로자공급사업과 근로자파견사업 | 107

제4장 근로계약
제1절 근로계약의 의의와 성립 | 115
Ⅰ. 근로계약의 의의 | 115
Ⅱ. 근로관계의 성립 | 116
Ⅲ. 과도적 근로관계 | 120
제2절 근로계약상의 충실의무 - 경업금지의무를 중심으로 - | 124

제5장 취업규칙
제1절 취업규칙의 의의와 효력 | 133
Ⅰ. 취업규칙의 의의 | 133
Ⅱ. 취업규칙의 효력 | 134
Ⅲ. 취업규칙의 법적 성질 | 134
제2절 취업규칙의 작성과 변경 | 135
Ⅰ. 취업규칙의 작성 | 135
1. 작성의무와 주지의무 | 135
2. 필요적 기재사항 | 136
3. 취업규칙 내용에 대한 제한 | 136
Ⅱ. 취업규칙의 변경 절차 | 137
1. 불이익 변경에 대한 판단 | 137
2. 의견청취 | 138
3. 동의(불이익변경의 경우) | 139

제6장 근로관계의 종료(해고 등)
제1절 해고의 개념과 법적 규제 | 174
Ⅰ. 해고의 개념 | 174
1. 해고의 개념 및 법적 성질 | 174
2. 해고와의 구별 여부가 문제되는 경우 | 175
Ⅱ. 해고에 대한 제한 | 184
1. 근로계약기간의 정함의 유무에 따른 제한 | 184
2. 해고의 사유에 따른 제한 | 186
3. 해고예고의 존부에 따른 제한 | 186
4. 해고시기에 관한 특별제한 | 187
5. 해고사유에 관한 특별 제한 | 187
6. 형사처벌에 의한 제한 | 188
제2절 근로자의 귀책사유를 이유로 하는 해고 | 190
Ⅰ. 정당한 이유 | 190
Ⅱ. 구체적 해고사유 | 191
1. 一身上의 사유 | 191
2. 행태상의 사유 | 191
제3절 정리해고(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 | 197
Ⅰ. 개요 | 197
Ⅱ. 정리해고의 정당성 요건 | 198
1.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성 | 199
2. 해고회피노력의무 | 203
3. 해고대상자 선발의 합리성, 공정성 | 205
4. 사전통보 및 협의절차 | 207
제4절 부당해고의 구제 | 208
Ⅰ. 개요 | 210
Ⅱ. 이행강제금 제도 | 210
Ⅲ. 금전보상제 | 211
Ⅳ. 구제명령의 내용 - 원직복직과 해고기간중의 임금지급 | 211
1. 원직복직의 의미 | 211
2. 해고기간중의 임금지급과 중간수입공제 | 212

제7장 기업변동과 근로관계
제1절 경영주체의 변경 | 257
제2절 합병 | 258
Ⅰ. 근로관계의 승계 여부 | 258
Ⅱ. 근로관계 승계의 법률효과 | 259
제3절 영업양도 | 261
Ⅰ. 근로관계 | 261
1. 근로관계의 승계 여부 | 261
2. 근로관계 승계의 요건 | 263
Ⅱ. 근로관계 승계 후의 법률관계 | 267
제4절 경영주체의 변경이 있는 경우의 집단적 노사관계 | 268

제8장 임금과 퇴직금(퇴직급여제도)
제1절 임금 | 294
Ⅰ. 임금의 정의 | 299
Ⅱ. 평균임금 | 300
Ⅲ. 통상임금 | 302
Ⅳ. 임금지급의 원칙 | 302
제2절 퇴직급여제도 | 325
Ⅰ. 퇴직급여제도 | 328
Ⅱ. 퇴직금중간정산제 | 330
Ⅲ. 임금채권우선변제 | 331
Ⅳ. 임금채권보장법 | 331
Ⅴ. 연봉제 | 332

제9장 근로시간과 휴가
제1절 근로시간의 의의 | 361
Ⅰ. 근로시간의 개념 | 361
Ⅱ. 대기시간 | 361
제2절 법정근로시간제와 연장근로 | 362
제3절 근로시간 탄력화(유연화) 제도 | 366
제4절 휴식(휴게, 휴일, 연차휴가) | 368
제5절 근기법상 근로시간, 휴게·휴일규정의 적용제외 | 370

제10장 산업재해보상보험
제1절 산재보험의 의의 | 396
Ⅰ.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특색 | 396
1. 재해보상제도 | 396
2. 근로기준법의 재해보상제도와의 관계 | 397
Ⅱ.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적용대상 | 397
제2절 보험당사자 | 398
제3절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 | 399
제4절 보험급여 | 403
제5절 산재보험급여 청구 및 불복절차 | 404
제6절 재해보상과 민법상 손해배상청구 | 405
제7절 재해보상과 제3자에 대한 구상 | 406
Ⅰ. 제3자에 대한 구상권 | 406
Ⅱ. 제3자의 범위 | 407
1. 사업장내 다른 근로자 | 407
2. 일반 제3자 | 407

색 인 | 438

저자소개

김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평화안보대학원장 -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 - 최저임금위원회 공익위원 - 인사혁신처 갈등관리위원회 위원장
펼치기

책속에서

노동법은 근로자와 사용자가 대등한 위치에서 자율적으로 근로조건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근로자들의 경제적·사회적 지위향상을 꾀함으로써 근로자를 보호하고, 아울러 노동시장에 관한 rule을 정비함으로써 근로자들의 노동기본권 보장과 고용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이 노동법은 광의의 근로자보호법이라 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 특히 근로자와 사용자간의 개별적 근로관계를 규율대상으로 하는 개별적 근로관계법을 협의의 근로자보호법에 해당된다. 근로기준법이 국가에 의한 최저 근로조건 보장에 의하여 근로자를 보호하는 반면에 집단적 노사관계법은 근로자들의 집단적 自助(노동조합의 단결 및 단체협약 체결)를 통하여 개별적 근로관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개별적 근로관계법에는 근로기준법,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최저임금법, 임금채권보장법,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외국인근로자의 고용개선 증에 관한 법률, 선원법 등이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